연목구어(緣木求魚)의 유래
by 송화은율
연목구어(緣木求魚) // 나무에 올라 고기를 구하듯 불가능한 일을 하려고 함.
《出典》‘孟子’ 梁惠王篇
전국시대인 주(周)나라 신정왕(愼靚王) 3년(BC 318), 양(梁 : 魏)나라 혜왕(惠王)과 작별한 맹자(孟子)는 제(齊)나라로 갔다. 당시 나이 50이 넘은 孟子는 제후들을 찾아다니며 인의(仁義)를 치세의 근본으로 삼는 왕도 정치론(王道政治論)을 유세(遊說) 중이었다.
“전하의 대망(大望)이란 무엇입니까?”
선왕은 웃기만 할 뿐 입을 열려고 하지 않았다. 맹자 앞에서 패도(覇道)를 논하기가 쑥스러웠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맹자는 짐짓 이런 질문을 던져 선왕의 대답을 유도하였다.
“전하, 맛있는 음식과 따뜻한 옷, 아니면 아름다운 색(色)이 부족하시기 때문입니까?”
“과인에겐 그런 사소한 욕망은 없소.”
선왕이 맹자의 교묘한 화술에 끌려들자 맹자는 다그치듯 말했다.
“그러시다면 전하의 대망은 천하통일을 하시고 사방의 오랑캐들까지 복종케 하시려는 것이 아닙니까? 하오나 종래의 방법(무력)으로 그것(천하통일)을 이루려 하시는 것은 마치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하는 것[緣木求魚]’과 같습니다.”
‘잘못된 방법[武力]으론 목적[天下統一]을 이룰 수 없다’는 말을 듣자 선왕은 깜짝 놀라서 물었다.
“아니, 그토록 무리한 일이오?”
“오히려 그보다 더 심합니다.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하는 일은 물고기만 구하지 못할 뿐 후난(後難)은 없습니다. 하오나 패도(覇道)를 좇다가 실패하는 날에는 나라가 멸망하는 재난을 면치 못할 것입니다.”
曰 王之所大欲 可得聞與 王笑而不言 曰 爲肥甘 不足於口與 輕煖不足於體與 抑爲采色 不足視於目與 曰 吾不爲是也 曰 然則 王之所大欲 可知已 欲辟土地 朝秦楚 `莅中國而撫四夷也 以若所爲 求若所欲 猶緣木而求魚也 王曰 若是其甚與 曰 殆有甚焉 緣木求魚 雖不得魚 無後災.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