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마(驛馬) / 소설 / 해설과 감상 / 김동리
by 송화은율역마(驛馬) / 김동리
길잡이 | |||
<백민(白民)>(1948)에 발표된 단편소설로, 역마살 또는 당사주(唐四柱)로 표상되는 한국인의 운명관을 그린 작품이다. 운명에 패배하는 인간의 모습이 아니라, 오히려 그에 순응함으로써 인간 구원에 도달할 수 있다는 작가의 문학관이 짙게 깔려 있다.
이해와 감상 | |||
이 소설의 테마는 역마살(驛馬煞)로 대변되는 운명론이다. 남사당과의 하룻밤 인연의 소산인 옥화는 다시 떠돌이 중[僧]과의 인연으로 성기를 낳는다. 성기는 태어나면서부터 역마살을 운명적으로 갖게 된 것이다. 그 역마살을 풀어 보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결국 성기는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소설은 종결된다.
사실성을 요구하는 소설의 관습으로 본다면, 이 작품은 우연으로 점철된 기이한 모습을 하고 있다. 하루 저녁 놀다 간 남사당(현재의 채 장수)에게서 옥화를 낳은 할머니, 떠돌이 중[僧]으로부터 성기를 낳게 된 옥화, 마침내 엿목판을 메고 유랑의 길에 오르는 성기 등 삼대(三代)에 걸친 역마살의 내력이나, 옥화와 계연의 만남, 옥화가 계연이 자기의 이복동생임을 알아차리는 계기 등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는 주요한 사건들이 우연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 우연들은 김동리의 소설 속에서는 단순한 우연에 그치지 않고 운명의 지위로 올라선다. 이 소설에서 등장 인물들의 삶은 자신의 의지나 선택에 의해서 결정되지 않는다. 그들의 삶은 이미 운명적으로 주어져 있고 아무리 발버둥쳐도 벗어날 수 없는 단단한 테두리에 둘러싸여 있다. 민속적인 소재를 통하여 토속적인 삶과 그 운명이 시적(詩的)으로 승화된 이 작품은『무녀도(巫女圖)』,『황토기(黃土記)』,『바위』등의 작품과 함께 김동리의 운명론적 문학관을 나타내 주는 초기 대표작 중의 하나이다.
▶『역마(驛馬)』의 인물 구조
주모 체 장수(과거 남사당 출신) 어떤 여인
떠돌이 중 옥화 ---- 계연 (옥화의 이복동생, 성기의 이모)
성기 ----
등장 인물 | |||
▶성기(그) :역마살을 타고난 인물. 계연과의 사랑의 좌절로 방랑의 운명에 순응하여 고향을 떠남.
▶옥 화 : 성기의 모친. 체 장수의 딸. 화개 장터에서 주막을 운영하고, 아들의 역마살 제거에 실패하고
운명에 순응하게 됨.
▶체 장수 : 옥화의 부친. 36년 전 떠돌이 여인과의 사이에서 옥화를 낳았음.
▶계연(그녀) : 체 장수의 딸. 옥화의 이복 자매.(성기의 이복 이모)
핵심 정리 | |||
▶갈래 : 단편소설. 순수소설. ▶배경 : 전라․경상도의 경계 지역인 화개 장터
▶성격 : 무속적(巫俗的), 운명적(運命的) ▶시점 :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
▶갈등 : 개인과 운명간의 갈등(역마살을 제거하려는 인간들의 노력과 운명적인 역마살의 갈등)
▶주제 : ① 운명(역마살)에의 순응과 그에 따른 인간의 구원
② 역마살(驛馬煞)이라는 인간의 운명론에 바탕을 둔 인생 순응
구 성 | |||
▶발단 : 옥화는 아들 성기의 역마살을 없애려 노력하고, 체 장수 영감이 딸 계연을 옥화에게 맡기고 장사를 떠남.
▶전개 : 성기와 계연은 서로 사랑하게 됨.
▶위기 : 옥화가 계연의 왼쪽 귓바퀴의 사마귀를 발견하고 동생이 아닐까 하는 예감을 가지게 됨.
▶절정 : 계연이 성기의 이복 이모임이 밝혀지고, 둘의 사랑이 운명적으로 좌절됨.
▶결말 : 성기는 중병을 앓게 되고 병이 낫자 운명에 순응, 길을 떠남.
줄거리 | |||
화개 장터에서 주막을 운영하며 살고 있는, 마음 착하고 인심 좋은 옥화는 아들 성기의 타고난 역마살을 없애기 위해 갖은 노력을 기울인다. 역마살이 끼면 집에 머물지 못한다기에 아들 성기를 쌍계사로 보내고 장날만 집에 오게 한다. 어느 날, 체 장수 영감이 딸 계연을 데리고 와 옥화네 주막에 맡기고 떠난다. 옥화는 계연을 성기와 가까이 하게 해서 둘을 결혼시켜 역마살을 극복, 아들 성기를 정착시키려 한다. 그러던 어느 날, 옥화는 계연의 왼쪽 귓바퀴 위에 난 사마귀를 발견, 자신의 동생이 아닐까 의심한다.
체 장수 영감이 돌아와 들려준 이야기로 예감은 현실로 증명된다. 즉, 36년 전 화개 장터에서 어떤 떠돌이 여인과 하룻밤 관계한 일로 태어난 딸이 옥화이며, 계연은 결국 옥화의 이복 동생임이 밝혀진다. 계연과 성기의 사랑은 천륜에 의해 운명적으로 좌절된다. 그 일이 있은 후 계연은 아버지인 체 장수를 따라 아버지의 고향인 여수로 떠나고, 성기는 중병을 앓는다. 병이 낫자 성기는 운명에 순응, 역마살에 따라 화개 장터를 떠난다.
☢ 생각해 봅시다
1. 이 작품의 제목인 '역마(驛馬)'가 상징하는 의미를 생각해 보자.
2. 이 작품의 배경 설정이 갖는 의미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3. 이 작품의 결말 부분에서 성기는 활달한 노래인 육자배기를 부르며 길을 떠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알 수 있는 '육자배기'를 부르는 의미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4. 이 작품에서 볼 수 있는 금기는 무엇인지 살펴보자.
5. 계연과 성기의 사랑이 좌절되는 이유를 생각해 보자.
6. 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변두리 인간(한계 인간)으로 부를 수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7. 성기가 역마살에 순응함으로써 죽음에서 재생한다는 이 운명에의 사랑이 생명의 리듬으로 극적으로 나타 난 부분을 살펴보자.
8. 이 글에서 옥화와 계연이 실질적인 자매 사이임을 입증하는 증거를 찾아보자.
9. 이 작품의 공간적 배경이 되는 '화개 장터'의 상징성을 알아보자.
☞ 이것만은 꼭 알아야
1. '역마'에 나타난 인간의 운명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 이 소설의 등장 인물들은 모두 무엇인가 그리움을 안고 그것이 한이 되어 살고 있는데, 무엇인가에 대 한 한없는 그리움이 곧 역마살이다. 이 소설의 인물은 모두 역마살이 끼어 있다. 이들은 역마살을 극복하려 고 온갖 방법을 동원한다. 그 방법이란 바로 문학적 장치인 셈인데, 그것은 작품 속에서 불교(성기를 쌍계 사로 보냄)와 결혼(계연과의 사랑)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계연이 옥화의 이복 동생임이 판명되어 역마살의 극복은 실패하고 만다. 따라서 운명에 따르는 수밖에 없게 된다.
2. 역마살을 극복할 수 있는 문학적 장치로 작품에 나타난 것을 살펴보자.
▶ 쌍계사 절로 들어가는 행위, 결혼을 통한 역마살의 극복
3. 핵심적인 내용 정리
① 운명에의 순응을 통해 인간 구원에 이르는 형상을 보여 준다.
② 전지적 작가 시점을 쓰고 있다.
③ 신비적 색채를 띠고 있는 소설이다.
④ 무속적 상상력에 바탕한 소설이다.
⑤ 계절과 공간 모두 상징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