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부사시사 / 요점정리 / 윤선도
by 송화은율윤선도의 ‘어부사시사’ 전체 개관
․작품 해설 : 1651년(효종 2)에 윤선도가 지은 40수의 단가. 작자와 창작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려 후기의 <어부가>를 전승받아 이현보에 이어 재창작한 작품이다. 보길도를 개경으로 지은 것으로 춘하추동 10수로, 작품마다 여음이 삽입되어 있다. 이 여음은 출범에서 귀선까지의 과정을 조리정연하게 보여 준다. 즉, 먼저 배를 띄우고, 닻을 들고, 돛을 달아 놓고 노를 저으며 노래를 읊다가 돛을 내리고 배를 세우고, 배를 매어 놓고, 닻을 내리고, 배를 뭍으로 붙여놓는 것으로 여음이 짜여 있다. [악장가사]에 수록되어 있는 작자 미상의 <어부가>와 이현보가 새로 창작한 <어부사>는 모두 자연을 관조하고 그것을 완상하며 즐기는 관찰자 시점, 혹은 유람자 관점으로 어부생활을 읊은 것이다. 즉, 이들은 고기잡이를 생존의 수단으로 삼는 진짜 어부가 아니라 강호자연을 즐기는 사대부계층으로서 가어옹(假漁翁)이기에 생산자 관점에서 보는 자연과의 투쟁이나 어부생활을 통한 생계유지 혹은 생명의 위협 같은 것은 문제되지 않는다. 윤선도도 이들 작품과 마찬가지로 가어옹의 입장에서 <어부사시사>를 재창작하였기에 관찰자 혹은 유람자적 관점에서 자연을 노래하고 있다. 윤선도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자연에서 추상된 관념의 내포, 즉 의미를 찾는 탐구자 관점도 상당히 드러낸다. 그리하여 이 작품에는 아름답게 파악된 자연의 서경만으로 일관하는 지향이 상당히 보인다. 거기에는 자연의 아름다움 존재하고 인간의 존재는 부정되는 듯하다. 즉 무심의 낙과 흥에 젖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강호자연의 생활도 임금의 은혜로 돌리지 않을 수 없다는 충성된 마음을 표백한 <산중신곡> 중의 ‘만흥’을 이 작품의 여음으로 채택하여 각 편의 끝에 노래부르게 하였다는 사실은 이 작품에 보이는 현실과의 단절이 참다운 의미의 단절이 아님을 알 수 있게 한다. 즉, 자연과 인간사회의 조화와 합입을 추구하고 있다. <고산유고>에 실려 전한다.
․갈래 : 평시조, 연시조, 정형시
․운율 : 3․4조, 4․4조, 4음보
․성격 : 강호 한정가
․표현 : 대구법, 반복법, 의성법
․제재 : 어부의 생활
․주제 : 자연 속에서 살아가는 여유와 흥취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