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양약고구(良藥苦口)의 유래

by 송화은율
반응형

 

양약고구(良藥苦口) // ‘효험이 좋은 약은 입에 쓰다는 뜻으로, 충언(忠言) 귀에는 거슬리나 자신에게 이롭다는 말. 出典史記 留侯世家 / ‘孔子家語 六本篇

 

이것은 孔子의 말씀으로孔子家語六本篇’,설원(說苑)정간편(正諫篇)’에 실려 있다. 효과가 있는 좋은 약은 입에 넣을 때 쓰고, 사람들에게 듣는 충고는 좋은 말일수록 귀에 들어올 때 거슬린다는 뜻이다.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좋은 약은 입에는 쓰지만 병에는 이롭고, 충고하는 말은 귀에는 거슬리지만 행실에 이롭다. 나라 탕왕(湯王)은 곧은 말을 하는 충신이 있었기 때문에 번창했고, 나라의 걸왕(桀王) 나라의 주왕(紂王)은 무조건 따르는 신하들이 있었기 때문에 멸망했다. 임금에게 다투는 신하가 없고, 아버지에게 다투는 아들이 없고, 형에게 다투는 동생이 없고, 선비에게 다투는 친구가 없다면 그 잘못을 저지르지 않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임금이 잘못을 저지르면 신하가 해야 하고, 아버지가 잘못을 저지르면 아들이 해야 하고, 형이 잘못을 저지르면 동생이 해야 하고, 자신이 잘못을 저지르면 친구가 해야 한다. 이렇게 한다면 나라에 위태하고 망하는 징조가 없고, 집안에 패란(悖亂)의 악행도 없고, 부자와 형제에 잘못이 없고, 친구와의 사귐도 끊임이 없을 것이다."

 

孔子曰 良藥苦於口而利於病 忠言逆於耳而利於行 湯武以諤諤而昌 桀紂以唯唯而亡 君無爭臣 父無爭子 兄無爭弟 士無爭友 無己過者 未之有也 故曰 君失之 臣得之 父失之 子得之 兄失之 弟得之 己失之 友得之 是以國無危亡之兆 家無悖亂之惡 父子兄弟無失 而交遊無絶也.

 

원 말양약고어구(良藥苦於口)

동의어충언역어이(忠言逆於耳), 간언역어이(諫言逆於耳), 금언역어이(金言逆於耳)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