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사구시(實事求是)의 유래
by 송화은율실사구시(實事求是) //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일.
《出典》‘漢書’ 河間獻王德傳
이 말은《漢書》‘河間獻王德傳’에 실려 있는, ‘학문을 닦아 예를 좋아하고, 일을 참답게 하여 옳음을 구함.(修學好古 實事求是)’에서 나온 말이다.
19세기 초기, 즉 청나라 말기에서부터 중화민국 초기에 걸쳐 계몽사상가로서 활약한 양계초(梁啓超)는《淸代學術槪論》을 써서 淸代 학술의 개론을 시도한 사람이다.
양계초는 다시 능정감(凌廷堪)이 대진(戴震)을 위하여 지은《事略狀》에서 다음과 같은 논평을 이용하여 대진의 실사구시(實事求是)의 정신을 드러내 밝히고 있다.
“옛날 하간(河間)의 헌왕(獻王)은 실사(實事)에 대하여 옳음을 구하였다. 도대체 실사(實事)의 앞에 있으면서 내가 옳다고 하는 것도 사람들은 억지로 말하여 이것을 그르다고 하지 못하고, 내가 그르다고 하는 것도 사람들은 억지로 말하여 이것을 그르다고 하지 못한다.” (《교례당집》35권 )
더구나 ‘실사구시(實事求是)’를 학문의 표적으로서 존중한 것은 대지 혼자만의 일이 아ㅇ니다. 그보다도 후배에 해당하는 청나라 왕조의 학자들 중에는 주대소(朱大韶)나 왕정진(王廷珍)과 같이, 스스로를 ‘實事求是齌’라고 아호를 붙인 사람들도 있었다.
‘실사구시(實事求是)’란 사실을 토대로 하여 진리를 탐구하는 것을 말하며, 청조(淸朝)의 고증학파가 공론(空論)만 일삼는 양명학(陽明學)에 대한 반동으로 내세운 표어이다.
고증학자(考證學者)들은 정확한 고증을 존중하는 과학적이며 객관적인 학문연구의 입장을 취했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