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神)의 눈초리 / 요점정리 / 유주현
by 송화은율 작자소개
유주현(柳周鉉: 1912-1982)
경기도 여주 출생. 호는 묵사(墨史). 일본 와세다 대학 전문부 문과 수학. 1948년 <백민>에 단편 <번요의 거리>를 발표하여 등단. <백민> 편집 동인. 6 25 전쟁 때 공군 문인단에 참가. <신태양사> 주간, 중앙대 문예창작과 교수 역임. 그는 인간과 역사와 현실에 대한 예리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작품 세계를 구축한 작가이다.
주요 작품으로는 <자매 계보>, <태양의 유산>, <파천무>, <신의 눈초리>, <조선 총독부>, <회천문> 등이 있다.
요점정리
시점 : 1인칭 관찰자 시점.
인물 : 강군 - 원래 내성적인 성격의 소유자였으나 베트남 전쟁과 아버지의
중풍으로 인하여 성 격이 급격히 변화된 인물.
주제 : 인간 생명의 순수한 의지와 인간애.
이해와 감상
유주현의 작품은 한마디로 말하면, 문장이 난잡하지 않고 간명하여 살아 움직이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어느 작품을 대해도 장면 묘사나 대화가 선명하다.
<신의 눈초리>는 외부적이며 감각적이지 않고 내부적이며 정신적인 인간 본연의 생명 의식과 인간의 원시적인 순수성을 보여 준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강군은 선과 악, 회한, 고집, 사생관(死生觀)이 담긴 아버지의 눈초리를 저주라고까지 생각한다. 그러나 결국은 강군이 아버지를 사랑하고 있다는 휴머니티임을 독자에게 보여 주고 있다. 유주현의 작품은 이 같이 삶에 대한 회의라든지 아니면 강한 집념을 드러내고 있다.
줄거리
아버지의 행동 변화로 인해서 죽음마저도 낭만이라 생각했던 강군의 생각이 바뀌게 되었다. 한식 날이 되어 강군은 상계동으로 가고 있었는데 그날 따라 빗줄기가 심하게 내리고 있었다 강군은 진달래꽃을 먹으면서 원시적인 행복감을 느낀다고 하는 둥 그의 행동은 당황스러울 경우가 종종 있었다. 그 날도 강군은 돌아올 길에 모래를 뿌리고 기다리고 있었다.
그는 나를 전망이 확 트인 방으로 안내한 후, 두견주를 권하더니 처절하고 엄숙한 한 인간의 표정을 보여 준다고 하면서 오십대 후반으로 보이는 우람한 체격의 사내에게로 나를 안내했다. 그 사내는 중풍에 걸려, 몸이 한 켠으로 쏠리고 왼팔과 왼쪽 다리가 흉하게 건들거리면서 온몸을 단장(短杖) 하나에 의지하고 있었다. 그 오십대의 중풍 환자는 운동을 하면서도 눈은 기와집의 용마루 끝을 쏘아 보곤 했다. 그러나 나는 그 눈빛이 보는 곳은 용마루 끝이 아니라 먼 하늘이란 생각이 들었다. 강군은 그 눈총을 보면 미칠 것 같다고 했다. 살인자의 눈초리보다 더 무섭다고 했다. 그 중풍 환자는 강군의 아버지였다.
중풍을 앓는 강군의 아버지는 같은 운동을 반복하여 자신의 목숨을 연장하려 했다. 그것을 강군은 생명을 연장하려는 동물적인 행동으로 보고 아버지의 일그러진 웃음과 눈초리를 미워하고 있었다. 그러나 강군은 아버지를 미워한다 하면서도 중풍에 좋다는 진달래술을 담그기도 하는 이중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나는 운동하는 아버지를 지켜보는 강군의 눈빛에서 또 다른 눈빛을 보았다. 그것은 마치 살인이라도 할 듯한 무서운 눈초리였다.
강군의 아버지는 남의 도움을 받는 것을 제일 싫어했다. 그때 우연히 강군의 아버지가 쓰러져 버둥거렸다. 이 때, 그 아버지의 눈빛은 죽음과 겨루는 눈이었다. 허탈과 실의에 빠져 모든 의욕이 싹 까부라진 순간에 나타나는 분노의 눈초리였다. 강군은 자신이 월남전에서 본 베트콩의 저주 섞인 눈빛과 베트콩 여인의 애원 어린 눈빛이 생각나서 눈을 아래로 깔았다. 그때 강군의 내리깐 눈빛은 폭발 직전의 증오이며 울분이었다.
그 일이 있은 후, 일주일도 되지 않아 강군은 진달래술을 먹고 복상사(腹上死)했다. 팔십까지 살겠다던 말도 잊은 듯이 한마디 말도 남기지 못한 채 죽었다. 그러나 나는 강군의 죽음을 아버지 때문도, 진달래술 때문도 아닌 절대자의 뜻이라고 생각했다. 나는 중풍 환자인 강군의 아버지가 넘어졌던 지점에서 위로 하늘을 똑바로 노려보았다. 나는 거기에서 아주 싸늘하고 비정한 어떤 눈초리를 분명히 본 것 같아, 가슴 속에서 재채기처럼 솟구치는 경련을 지그시 누르려고 안간힘을 썼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