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時調) 총정리
by 송화은율시조(時調)에 대하여
(Ⅰ) 시조의 기원
(1) 형태 : 고대민요 --- 향가 ---- 고려가요 ---- 시조
* 시조의 기원과 관련한 가요
① 정읍사 : 후렴구를 제외하면 3장 6구 형태
② 만전춘
(2) 시기 : 고려 중엽 형성 , 고려 말에 완성
시조의 기원설(異論)
외래기원설
㉠ 정래동 : “중국에서 온 것이 아닌가 의심한다. 調자가 중국 佛曲에서 나온 것이 사실인 것 같다. 한시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것이 아닌가 한다
㉡ 안자산 : 한시의 단율, 즉 절구의 조자를 본받아 성형
고유문학 전래설 - 고려말 정착설
㉠천태산인 : 정래동의 견해 반박, 시조는 한국 고유의 것. 향가에서 기원하며 그 형성은 별곡의 붕괴에서 생긴 단가에서 만들어진 형식
㉡ 조윤제 : 오래전부터 한국 시가에 배태되어 막연히 사용, 형식의 가치가 인정되어 민요를 떠나 독립함
㉢ 이택 : 향가의 3장 6구라는 형식과 시조의 형식이 유사함
㉣ 정병욱 : 고려가요 붕괴 후 형성. 성리학의 이념을 담시에 적절한 형식을 갖고 있음
만전춘 2, 5연은 3장 형태, 리듬의 템포, 호흡의 완급, 수사법이 유사함
㉠ 이능우 : 조선 중엽. 시조가 귀족문학으로서 고려와 같은 불안시기에 산출될 수 없었다.
㉡ 김수업 : 이능우 견해 동조. 고려말 정착설 반박의 근거로 단심가, 하여가 등은 모두 16세기 이후의 문헌에 등장한다고 함
무가기원설
㉠ 이희승 : 무가에 의한 종교적인 神歌(노랫가락)의 脫化로 기원을 잡음
(Ⅱ) 시조의 성격
(1) 정의 : 3장 6구 , 4음보격, 우리나라 고유의 정형시
(2) 내용 : 사대부의 서정을 반영하는 내용이 주류를 형성
(3) 율격 : 3-4음절, 4음보 (단, 종장 제 1음보는 3음절로 고정 )
(4) 성격 : 국민문학적 성격 --- 현대까지 지속.
(Ⅲ) 시조의 명칭
(1) 短歌 -- 歌曲(가곡), 永言(영언), 詩餘(시여), 新調(신조), 新飜(신번)
(2) 영조 때 가객(名唱) 李世春(이세춘)이 붙인 창곡상의 명칭인 時節歌調(시절가조)의 준말
* 참고 : 一般時調排長短, 來自長安李世春
(일반시조배장단, 래자장안이세춘)
(3) [낙하생고(洛下生稿)], [고불고시집(觚不觚詩集)] 감사(感事) 24장
* 時調亦名時節歌 皆閭俚語 曼聲歌之
(4) [임원경제지](순조 때) : 시조의 음조까지 기록
(5) 유만공 [세시풍요]
* 寶兒(기생이름) 隊太癡狂 載路聯衫小袖裝 時節短歌音調蕩 風冷月白唱三章
(6) [악학궤범] : 악시조(樂時調)라는 곡조명이 등장
(Ⅳ) 시조의 종류
(1) 형태상
① 평시조 (短型時調) : 3장 6구 45자 내외 (기본형)
② 엇시조 (中型時調) : 기본형에서 어느 한 구가 길어진 형태
③ 사설시조(長型時調) : 산문정신의 발흥, 두 구 이상 길어진 형태
* 명칭 : 장형시조, 장시조, 만횡청(蔓橫淸), 농악(弄樂)
* 특징
· 형식 : 소설적으로 길어짐, 가사투·민요풍이 혼입했음, 대화체가 있음. 새로운 종장 문구 개척
· 내용 : 구체적, 형이하학적 이야기, 비유의 대담한 도입, 육욕의 기탄없는 표출, 어 희, 재담, 욕설 사용, 적나라한 자기 폭로, 비시적 사물의 시화 시도
(3) 작가 : [청구영언] 서, “閭井閨秀 無名氏作”
* 신진 중인작가, 창곡가, 창극가, 부녀자, 기녀, 민요시창자, 몰락양반 등
(4) 발생 : 산문정신으로 시조의 파격화 시도
(짧은 서정시형으로 산문화 의욕을 담을 수 없었음)
연시조 작품 총정리
작품명 연대 작자 출전 형식
강호사시가 세종 맹사성 해동가요 4수
오륜가 중종 주세붕 무릉잡고 6수
어부가 명종 이현보 농암집 단가(6),장가(9)
도산십이곡 명종 이황 청구영언 12수
고산구곡가 선조 이이 청구영언 10수
한거십팔곡 선조 권호문 송암속집 18수
훈민가 선조 정철 송강가사 16수
조홍시가 선조 박인로 노계집 4수
오륜가 선조 박인로 노계집 25수
입암곡 선조 박인로 노계집 29수
강호연군가 선조 장경세 사촌집 12수
오륜가 인조 김상용 선원유고 5수
당쟁비가 선조 이덕일 칠실유고 28수
율리유곡 인조 김광욱 해동가요 14수
국치비가 인조 이정환 송암유고 10수
당쟁비가 광해 이덕일 칠실유고 28수
사우가 인조 이신의 석탄집 4수
견회요 광해 윤선도 고산유고 5수
산중신곡 인조 윤선도 고산유고 18수(만흥6,오우가6 포함)
산중속신곡 인조 윤선도 고산유고 2장(추야조 1, 춘효음 1)
어부사시사 효종 윤선도 고산유고 40수
몽천요 효종 윤선도 고산유고 3수
영매가(매화사) 고종 안민영 가곡원류 8수
사설시조의 작자층(조태영)
ⅰ) 평시조 작가 연구와 대조적임
ⅱ) 연구성과
㉠ 우리어문학회 [국문학개론](1949)
: 문학-사회의 대응관계, 임란·병란 후 양반사회 몰락으로 인하여 시조의 향유층변화(양반관료 신진중인 창곡가), 시조의 형식변화(평시조 장형시조)
㉡ 김동욱, 사설시조발생고 [국어국문학](1-12 합집)
: ㉠의 견해 수용하면서도 사설시조가 창에 의해 제약받음을 중시, 생성시기를 숙종 대, 향유층 을 평민층의 창의 그룹, 양반층은 적극적인 참여 않음
㉢ 이능우, 만횡청의 戱詩騂 [고시가론고](선명문화사, 1966)
: 작자층은 中人, 庶人, 상인, 발생은 평시조에서 발생한 것이 아니라 평시조와 병행, 독자적으로 생성
ⅲ) 사설시조 작가 - 소수의 사대부계층 관계 논의
㉠ 이태극 [시조개론](새글사, 1961)
: 정철, 권호문 등 선조대 이전으로 소급
㉡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속](선명, 1975), 최동원, [고시조연구](형설, 1977)
: 숙종 이전의 사설시조 작가 찾아냄(고응척·高應陟-중종26) (중서층 발생설 부인함)
㉢ 김 종, 사설시조의 연원고 [한국어문학 16]
: 19세기까지 양반 사대부층의 사설시조 작가 언급
(지배층 내의 일부 비찬적 유학도 + 평민가객)
ⅳ) 음악으로서의 사설시조 연구
㉠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신구문화사, 1978), 강길운, 평시조, 사설시조, 가사의 발생 [관악 어문연구] 3 (1980)
: 평·사설시조는 오래전부터 양반귀족층의 오유(娛遊)의 자리에서 함께 불려짐
* 근거 1 : 음악향유 실상
· 신분 계층이나 생활양식상의 집단에 따라
(풍류나 가곡을 즐기는 층, 선소리나 잡가를 부른 층)
* 근거 2 : 가곡이라는 한 음악형식의 테두리 안에서 불려짐
· 우조(羽調) 10곡, 계면조(界面調) 13곡 순서에 따라 불림
(초-3)數大葉까지는 雅正한 평시조로 부름
위기가 고조되면 소용(騷聳)이하 弄·樂·編의 곡조로 내려가 외설, 골계의 내용의 사설시 조로 부름
Ⅴ) 문학으로서의 사설시조
㉠ 김학성, 사설시조의 장르형성 재론 [대동문화연구] 제20집 (1986)
: 양반층을 사설시조의 중추적 작자층으로 잡음
* 교화적 주제를 한문어투에 담는 부류, 戱樂的 주제를 우리말 어투에 담는 부류 - ‘蔓橫淸 類’ [청구영언]
④ 연시조(連時調) : 한 제목 아래 두 수 이상 겹침 --- <연시조 일람>
* 최초의 연시조 : 맹사성(孟思誠)의 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
(2) 제작 연대상
① 고시조 : 갑오경장(甲午更張) 이전
② 현대시조 : 갑오경장 이후
(3) 배열방법상
① 장별 배행 : 초, 중, 종장으로 배행
② 구별 배행 : 각 장 2구씩 6행으로 배열 ( 현대시조에만 )
(Ⅴ) 시조의 변천
특 징 시 대 내 용
고려말 - 선초 * 사대부의 서정
형식의 정제 * 회고, 충절 - 숭고미
( 평시조 ) 비장미
조선 전기 * 사대부의 교양물
다양한 내용 (임진왜란 전) * 한정, 연정 - 우아미
(연시조) * 서경적, 묘사적
형식의 파격 조선 후기 * 평민의식
(사설시조) (임란-갑오경장) * 해학, 풍자 - 골계미
* 상징적, 풍자적
전통의 계승 현대 * 시조부흥운동-국민문학파
(갑오경장 이후) * 현대시의 한 갈래 정착
* 전통과 현대의 조화
(Ⅵ) 주요 고시조집
(1) 靑丘永言 영조 4년 金天澤 * 998수
청구영언 (1728) 김천택 * 곡조별, 주제별
* 최초의 고시조집
(2) 海東歌謠 영조 39년 金壽長 * 작가별 분류
해동가요 김수장
(3) 歌曲源流 고종 13년 박효관 * 곡조별
가곡원류 안민영
[청구영언] : 정윤경의 서문을 받고 김천택이 권말지를 붙여 편찬한 가집으로 영조 3년까지 전래해 오던 시조 수록, 편집
* 異本
(1) 진본 청구영언(오장환 본) : 580여 수 수록, 곡조에 따라 분류
(2) 육당본 : 998수 수록
(3) 일석본 : 727수 수록
(4) 이가원본 : 이한진이 순조 15년(1815)에 편찬한 필사본
[해동가요] : 1755 1차, 1763 2차, 1770 改修
* 異本
(1) 일석본 : 638수(무명씨 320수) 작가별, 연대순 배열
(2) 최남선본 : 김천택(57), 김수장(117) 등 250여 수 유명씨 작품
[가곡원류] : 고종 13(1876), 19세기 말 시조문학의 총결산
[병와가곡집(甁窩歌曲集)] : 영조 연간의 작가, 작품 수록(정조 때 추정), 이형상(1653-1733)의 노력으로 추정. 1권 1책 필사본. 내용과 체제는 진본 청구영언과 비슷. 작가수(172), 작품수(1109수)
[고금가곡(古今歌曲)] : 영조 이후. 송계연월옹. 편자 작품 14수 등 294수 수록
(어부가, 감군곡, 상저가,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장진주사, 차천로의 강촌별곡, 규원가 등의 가사도 수록)
[동가선(東歌選)] : 순조 때 백경현. 235수. 평·우조의 용어에 대한 간단한 해설을 서두에 붙였으며, 곡조 위주로 편찬
[남훈태평가(南薰太平歌)] : 편자, 연대 미상. 다른 가집과는 달리 음악적 목적을 위해 편찬되어 종장 끝구가 탈락
[객악보(客樂譜)] : 영조이후
[시조유취(時調類聚)] : 1928년, 최남선. 1405수. 내용별. 청구영언, 가곡원류, 해동악부 등에서 뽑음
(Ⅶ) 가단(歌壇)의 형성
(1) 경정산가단(敬亭山 歌壇) : 영조 때 김천택(金天澤), 김수장(金壽長)--자연 노래, 산수 찬 양 ( 강호가도를 이룸 )
(2) 승평계(昇平契) : 고종 때 박효관(朴孝寬),안민영(安玟英) --시조 동호회 ( 시조의 이론 체 계수립 )
김천택과 김수장
김천택과 김수장은 전대 문학의 총아였던 시조 문학을 총결산하고 또 총보고를 하는 양대 가집을 편찬하였고, 시조 작가로서 각기 일가의 경지를 개척하였던 것이다. 특히 <김수장>은 시대적 요구를 가장 감각적으로 체득하여 운문 형태인 평시조형을 극복하고 산문정신을 도입하여 이른바 <사설시조를 열성적으로 창작>하였다. 이 새로운 형태는 오직 김천택이나 김수장 같은 현관달사(顯官達士)가 아닌 서민층을 그 배경으로하여 발흥한 형태이었다는 데에 일반적인 문학의 새로운 경향을 규정지을 수 있으리라 본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