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시인 안도현과 함께 떠나는 여행 - 군산항과 금강 하구를 찾아

by 송화은율
반응형

시인 안도현과 함께 떠나는 여행

군산항과 금강 하구를 찾아

 

전주에서 군산으로 가는 전군가도(全群街道)에는 벚꽃이 만개해 있었다. 그 길이로는 전국에서 가장 길다는 40의 벚꽃길. 그래서 이곳 사람들은 이 길을 󰡐벚꽃 백리길󰡑이라 부른다. 지금이야 󰡐꽃놀이󰡑 길이다. 총선은 끝났고, 봄은 왔고, 벚꽃은 흐드러졌다. 벚꽃 마라톤이 벌어지고, 어김없이 자리잡은 팔도풍물시장에는 21세기풍 금속성 의상을 입은 DDR 걸들이 길가에 늘어서 춤추며 운전자들의 시선을 빼앗고 있었다.

 

경북의 오지 예천에서 태어나 안동, 대구에서 이십 년을 살다가 전주로 와서 다시 이십 년을 살고 있는, 올해로 등단한 지 꼭 20년이 되는 시인 안도현씨에게 그러나 이 길은 한때 󰡐게다짝󰡑의 길이었다. 1980년대였다.

 

벚꽃이 진다니

바람도 사무치며 떠는 날

번영로라 전군가도 연분홍, 벚나무들

비 젖어 허둥대는 꼴 좀 보러 가야겠다

날씨 때문이 아니다 제국주의 물러갈 때

40년 전 챙기지 못해 남긴 게다짝

게다짝 같은 꽃 벚꽃 구경 가야겠다

벚꽃이 진다니 군산으로 가야겠다('군산행2'부분).

 

만경강을 건너 만경평야를 좌우에 두고 벚꽃 백리길을 지나면 군산에 이른다. 경상도 내륙 지역에서 20년을 살다가 내로라하는 문인선배들을 배출했던 전주의 원광대로 진학했던 청년 안도현에게 군산 앞바다는 별세계였다. 그는 󰡒삶이 지글지글 끓고 있는 바다였다󰡓고 이 바다를 처음 보았던 때를 되새김했다. 󰡒낡은 배 한 척만 봐도 시가 될 것 같았다. 그 진득한 삶의 냄새가 배어있는 갯비린내, 군산 바다를 통해서 역사를 보고 현실을 보았다.󰡓

 

이 군산 앞바다가 바로 <탁류(濁流)>이다. 1930년대 '초봉이'라는 여인의 삶을 통해 거친 탁류 같은 속악한 식민지 사회현실을 비판했던 채만식의 소설 󰡐탁류󰡑. 역시 벚꽃과 진달래가 함께 만개한 군산시내 월명공원에는 채만식 문학비가 서 있다. 문자 그대로 탁류이다. 금강의 물줄기가 서해 바다로 발목을 집어넣는 군산항 내항은 마치 내륙의 오물과 역사의 오점들을 한꺼번에 토해내겠다는듯 시커먼 물길이다.

 

이십대 초반의 새파랗던 문학청년 안도현은 이곳에서 첫 시집 <서울로 가는 전봉준(全琫準)>과 두번째 시집 <모닥불>에 실린 많은 시편들을 썼다.

 

시커먼 물이 돌이킬 수 없도록/금강 하구 쪽에서 오면/꾸역꾸역, 수면에 배를 깔고/수만 마리 죽은 갈매기 떼도 온다/사랑도 역사도 흉터투성이다/그것을 아둥바둥, 지우려고 하지 않는 바다는/늘 자기반성하는 것 같다('군산 앞바다' 부분).

 

다른 여느 386청년들처럼 그도 '이 엉망진창 속에 닻을 내리고 물결에 몸을 뜯어먹히는 게 즐거운 낡은 선박 몇척'으로 '검은 멍이 드는 서해'를 보며 숭어회 한 접시에 소주가 쓰라렸다. "술 먹다가 계엄군한테 실컷 두드려 맞은 적도 있지요. 나의 역사인식이란 것이 보통의 젊은이들 수준이었지만 '가려지고 뒤틀린 역사 속으로 머리를 들이밀어야겠다'는 심정은 절박했습니다."

 

'게다짝 벚꽃'과 군산항에서의 '송어회 한 접시'를 통과한 그는 전교조 해직교사가 된다. 1985년 이리중학교 교사로 임용된 처음에는 '학생들 두들겨 패기도 하는' 자칭 엉터리 선생이었다. 2년 여 교사생활을 거치자 그는 '내 현장이 바로 학교'라는 것을 깨닫고 교사운동에 투신한다. 전교조가 설립되던 1989년에 이른바 '해직교사'가 됐다. 이후 1994년 복직하기까지의 심정들이 시집 <외롭고 높고 쓸쓸한>에 투영돼 있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