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시상 전개방식에 대하여

by 송화은율
반응형

시상 전개 방식(시의 구성)

 

'시상(詩想)'이란 시에 담긴 시인의 생각이나 상념을 말하는 것으로, 시인은 이러한 자신의 시상을 일정한 질서에 의해 한 편의 시로 조직해 나간다. 또한 소재를 배열하여 주제를 구현하는 과정과 시의 구조를 일컬어 '시상의 전개'라고 한다. 이러한 시상의 전개는 무질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각 시에 따라 나름의 규칙성을 띠고 있다. 시상 전개 방식을 파악하는 것은 시 전체의 특징, 더 나아가 그 시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사상이나 정서, 즉 주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수미 상관(首尾相關), 수미쌍관((首尾雙關)

시의 처음과 끝을 동일하거나 유사한 시구로 구성하는 방법이다. 이는 형태와 시상의 균형미와 안정감을 얻는 효과를 거둔다.

 

)

 

고 향-정지용

 

나룻배와 행인-한용운

 

진달래꽃-김소월

 

산유화-김소월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김영랑

 

누이의 마음아 나를 보아라-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김영랑

 

-박목월

 

떠나가는 배-박용철

 

산에 언덕에-신동엽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이상화

 

승무-조지훈

 

울릉도-유치환

 

-김영랑

 

어머니6-정한모

 

그리움-이용악

 

눈오는 밤에-김용호

 

 

 

♠ 시간적 흐름에 따른 구성

하루 중의 시간, 계절, 시대, 또는 과거현재미래의 이동에 따라 시상을 전개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통일성과 조화미를 나타낸다. 시간의 변화는 순행적인 것뿐만 아니라 때에 따라서는 역순행적인 변화도 나타난다.

 

)

 

농가월령가-작자미상(1-12)

 

동동-작자미상(1-12)

 

서시-윤동주[과거 미래 현재 (혹은 미래)]

 

성호부근-김광균(공간의 이동)

 

외인촌-김광균(해질 무렵부터 다음 날 아침까지의 시간의 흐름)

 

속미인곡-정철(계절의 변화를 기준으로, 계절마다의 특성에 따른 감상 서술)

 

낙조-이태극(일몰 직전 일몰 순간 일몰 직후)

 

아침 이미지-박남수(어둠 아침)

 

사향(思鄕)-김상옥(현실 회상 현실)

 

도봉-박두진(저녁 무렵의 산을 배경으로 하여 밤까지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광야-이육사(시간의 흐름에 따른 추보식 구성. 과거(13) 현재(4) 미래(5)

 

개화-이호우(꽃이 피는 진행 순서에 따라)

 

두만강-김규동(과거 회상 현재 의문 미래 의지)

 

생의 감각-김광섭(좀 특이한 예이긴 하지만 시간의 흐름에 역순으로 구성됨)

 

 

♠ 공간(장면, 대상, 시선․시각)의 이동에 따른 구성

 

'아래', '아래', '먼 곳가까운 곳', '가까운 곳먼 곳' 등등의 방법으로 공간이나 장면, 또는 표현 대상을 이동하거나, 시선(시각)을 변화시켜 표현함으로써 시각적 이미지의 효과를 거두게 된다. 때에 따라서는 여러 가지 대상을 나열식으로 묘사하여 특정 장면이 파노라마처럼 제시되기도 한다.

 

)

 

난초-이병기(잎새 줄기(대공) 이슬),

 

청노루-박목월[(원경(遠景) 근경(近景)]

 

성호부근-김광균(공간의 이동)

 

불국사-박목월(달빛 어린 불국사의 여러 야경 나열)

 

데생-김광균(노을, 전신주, 고사선, , 구름, 목장 깃발, 능금나무, 들길)

 

오월-김영랑(근경 원경, 낮은 곳 높은 곳)

 

면앙정가-송순(면앙정 주변의 자연 경관을 노래하면서 공간의 이동에 따른 시상 전개)

 

고풍의상(古風衣裳)-조지훈[저고리치마운혜, 당혜(수직적 순서에 의한 시선의 이동)]

 

사향-김상옥(원경 근경)

 

농무-신경림(텅빈 운동장장거리)

 

()-윤동주(화자의 이동에 따른 전개)

 

 

♠ 점층적 반복 나열

 

)

 

깃발-이호우(의미의 점층)

 

의자-조병화(단어의 형태론적 변형을 통해 점층적적 내용 심화)

 

교목(喬木)-이육사(의지의 점층적 전개)

 

개화(開花)-이호우(개화의 진행과정의 상승)

 

 

 

♠ 대조(대칭)적 심상의 제시에 따른 시상 전개

작품의 중심이 되는 대표적 소재(제재)가 지니는 심상이나 의미를 대조적으로 설정하여, 대조적인 둘의 관계를 중심으로 시상을 전개함으로써 강조의 효과는 물론이고, 드러내고자 하는 의미를 더욱 더 선명하게 부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

 

-박남수[포수(인간의 세계, 공격성, 비생명성, 탐욕)와 새(자연의 세계, 순수성, 생명성, 사랑, 순수)의 대립적 관계]

 

모란이 피기까지는-김영랑(기다림-설움-절망-설움-기다림의 대조적 구조)

 

껍데기는 가라-신동엽[껍데기(허위, 가식, 불의, 외세, 무력 등)와 알맹이(순수, 진실, 의로움 등)의 대립적 관계]

 

-김수영[(약자, 민중)과 바람(강자, 권력자)의 대립적 관계]

 

가을-김현승[(지상, 육체적 성숙, 외면적, 일시적)과 가을(천상, 정신적 성숙, 내면적, 항구적)의 대립적 관계]

 

봄은 고양이로다-이장희(감각적정태적인 것(1,3)과 관념적동태적 이미지(2,4)의 대칭적 구조)

 

바다와 나비-김기림[흰나비(백색, 가냘픔, 낭만적, 순진무구)와 바다(청색, 거대함, 현실적, 모험과 시련의 공간)의 대립적 관계]

 

 

♠ 기승전결(起承轉結)

원래는 한시의 절구(絶句)와 율시(律詩) 구성법에서 유래한 것으로, 우리의 현대시에서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 전개 방법은, 시상제시[()]시상의 반복 심화[()]시적 전환 시도[()]중심 생각 또는 정서의 제시[()]의 형식이다. 보통 4연으로 이루어진다.

 

 

)

국화 옆에서-서정주[1():꽃이 피기까지의 인고의 과정 2() : 과정의 고뇌와 아픔3() : 자아 발견의 원숙한 경지 4(): 시련과 깨달음]

 

 

♠ 선경후정(先景後情)

 

처음에 사물 또는 풍경을 그리듯이 보여 주고 후반에 가서 시적 화자의 정서를 표출하는 방법으로서, 서경(敍景)서정(敍情)의 형식이다. 본래 한시에서 발달하였으며, 고시조 등을 거쳐 현대시에서도 다양하게 구사되고 있다.

 

)

 

춘망-두보(봄 경치의 묘사 후에 그것을 바라보는 심경 읊음)

 

강촌-두보[여름날 강촌의 한가롭고 평화로운 정경을 제시한 후(선경), 안분지족할 줄 아는 화자의 삶의 자세가 이어진다(후정).

 

봉황수-조지훈[퇴락한 궁궐의 모습을 서경으로 묘사한 후(선경), 작자의 심정을 후반에서 봉황새에게 이입하여 표현하고 있다(후정)]

 

살구꽃 핀 마을-이호우(살구꽃 핀 마을의 모습을 언급한 후 자신의 감회 서술)

 

 

♠ 연상작용

 

하나의 시어가 주는 이미지를 이와 관련된 다른 관념으로 꼬리에 꼬리를 무는 방식으로 시상을 전개하는 방법

 

)

 

피아노-전봉건(건반을 두드리는 여인의 손가락(피아노 선율) 펄펄 뛰는 물고기 연상 바다연상 시퍼런 파도연상 날이 시퍼렇게 선 칼날 연상)

 

꽃나무-이상('벌판 한복판의 꽃나무'는 시인의 자유 연상에 의해 의식 속에 설정해 놓은 자아이며, 시인의 일상 속의 자아, 또는 현상적 자아이다.)

 

 

♠ 어조의 변화에 따른 시상 전개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이상화(비애, 자조적 어조의욕적 어조허탈, 비애의 어조)

 

바라건대는 우리에게...-김소월(좌절의 어조 의지적 어조)

 

십자가-윤동주(좌절의 어조신념의 어조)

 

별 헤는 밤-윤동주(슬픔, 고뇌의 어조 신념, 의지의 어조)

 

서시-윤동주(고통, 좌절의 어조 의지적 어조)

 

님의 침묵-한용운(슬픔의 어조의지적 어조)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