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시(詩) 총정리

by 송화은율
반응형

()란 무엇인가

 

. 시의 본질과 특성

 

󰊱 정의

* 시 삼백 편을 한 마디로 말하면 생각함에 사악함이 없는 것을 말한다.(공자)

--- 󰃫 <시경(詩經)>

* 시는 뜻을 서술하는 것이다. (서경(書經))

* 시는 무용, 산문은 보행(步行) (발레리)

* 시는 상상력과 정열의 언어이다. (헤즐리트)

* 시는 율격있는 언어에 의한 모방이다. (아리스토텔레스)

* 시는 사상의 정서적 등가물(等價物)이다. (엘리어트)

* 시는 상상과 감정을 통한 인생의 해석이다. (허드슨)

* 시는 강한 감정의 자발적 유로이다. (워즈워드)

* 시란 우리들이 상상하는 것 위에 환상을 불러 일으키는 방식으로 언어를 사용하는 기술,  화가가 색채로 하는 일을 언어로 표현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맥컬리)

* 시는 아름다움의 운율적 창조이다. (포우)

* 시는 오직 상상의 언어다. 상상은 사물을 있는 그대로가 아니라, 다른 여러 생각과 감정에 의하여 무한한 형상과 힘의 화합으로 빚어진 그대로를 나타내는 능력이다. (해즐리트, )

 

󰊲 시의 특성

 

(1) 1인칭 현재 시제의 문학

시의 감정 표현은 화자가 혼자 말하는 일종의 <독백적> 성격을 띠게 된다. 현실적으로 존 재하는 시의 독자는 이 때 그 독백을 몰래 엿듣는 사람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2) 가장 짧은 형태의 문학 양식

내용의 단순성이 아니라 표현 자체의 압축성을 의미한다. 절제된 언어와 압축된 형태로 되 어 있는 노래하기 양식이다.

 

(3) 언어 의식이 가장 날카로운 문학 양식

표현의 압축을 추구하기에 시는 높은 암시성을 지닌다. 함축적이고 내포적인 의미로 사용 되어 정감적 효과를 나타내며, 여러 가지 뜻을 지니는 다의성이 있어 암시성과 상징성을 지니 게 된다. 따라서 <언어> 자체에 가장 민감한 문학 양식이다.

 

(4) 음악성(운율)을 추구하는 문학

--- 󰃫 <운율>

 

󰊳 시의 내용

정서 + 사상

[ 감화적 요소 ] [ 관념적 요소 ]

[ 주 요소 ] [ 종속적 요소 ]

 

. 시의 분류

 

󰊱 형식상 분류

 

(1) 정형시(定型試)

일반적으로 시의 구조나 시구, 리듬에 일정한 형식적 제약을 받는 시. 한시의 경우 평측법과 압운법이라는 운율적 제한과 5언 절구(율시), 7언 절구(율시) 등의 형식적 제약을 받는데 이것이 정형시의 전통적 모습이다. 시조의 3 6구 형식, 3.4조의 음수율, 4음보 율격도 이에 속한다.

 

(2) 자유시(自由詩)

정형시의 운율적, 형식적 제약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시

 

(3) 산문시(散文詩) --- 󰃫 <산문시>

 

󰊲 내용상 분류

 

(1) 서정시(敍情詩)

시인 자신의 주관적인 체험, 특히 심리적 미의식과 결부된 감정의 앙양(昻揚) 상태를 표현한 시이다.

(2) 서사시(敍事詩) --- 󰃫 고전 <동명왕편>,  <제왕운기>,  <국경의 밤>

한 사람의 이야기꾼이 등장하여 일정한 사건을 객관적으로 서술하는 시이다. 서사시는 <객관성> <설화성>을 특징으로 한다. 고대의 서사시는 신, 영웅 등 초인적 주인공의 행위를 중심으로 민족 집단의 운명적 사건을 장중하고 웅대하게 노래한 것이었으나, 후대에 오면서 객관적 사건을 서술한 장시(長詩)면 이를 서사시로 부른다.

(3) 극시(劇詩)

극의 형식을 따오거나 극적인 수법을 사용하여 표현한 시다. 희곡에서의 대사가 시적 언어로 이루어진 것이 극시이다. 따라서 극적인 내용을 전개한다는 점에서 <객관성>, 시적 언어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주관성>을 지닌다.

 

. 시적 언어와 표현 기교

 

󰊱 시적 언어의 개념과 기능, 특성 및 구성 요소

 

(1) 개념

시에만 쓰이는 특수한 언어가 있는 것은 아니다. 고전주의 시대에는 흔히 시어(poetic diction)라고 말하는 특수 언어가 있기는 했다. (예를 들면, 고시조의 어즈버’, ‘아희야 ) 그러나 현대에 와서는 세계적으로 시어라는 특수한 언어가 거의 소멸했다. 그래서 김수영 시인은 내가 써 온 시어는 지극히 평범한 일상어 뿐이다. ············ 나의 시어는 어머니한테서 배운 말과 신문에서 배운 시사어의 범위 안에 제한되어 있다.”고 말했다.

 

시어는 일상의 언어이면서도 일상의 언어 속에 용해될 수 없는 독자성,  <함축성, 정서적 기능, 모호성, 다의성 등>을 갖는 언어이다.

 

(2) 기능

시적 언어의 기능은 <지시적 기능> <함축적 기능>이 있다.

<지시적 기능>은 사전적 의미를 뜻하는 것으로 말의 의미가 고정되어 있으며 그 말의 지시 대상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함축적 기능>은 그 언어가 풍기는 분위기, 다의성, 상징적 의미>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화자의 주체적 조건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것을 뜻한다. 이 지시와 함축의 두 기능은 외연(外延, extension)과 내포(內包, intension)라고도 불리는데, 모든 언어가 외연은 가지지만 모든 언어에 내포의 기능이 있는 것은 아니다. 내포는 외연으로부터 비롯되는 것이다.

 

이처럼 모든 언어는 지시적, 외연적이라 불리는 <보편성>과 함축적 또는 내포적이라고 불리는 <개별성>을 두 기둥으로 하여 성립한다.

 

그러나 일상적 언어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 구성원들이 모두 그것이라고 인정할 수 있는 이해의 공통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야만 하므로 언어의 지시적 기능이 중시되고, 시는 개별적 체험의 전달, 정서의 전달을 목적으로 하기에 언어의 함축적 기능이 중시된다.

 

(3) 시의 언어의 특성

 비실용성 : 실용적, 전달적 목적보다 독자의 관심을 그 자체로 끌어들이려는 성질을 가진 자기 목적적인 글이다.

 함축성 : 화자의 주체적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개별적 의미를 지닌다.

 정서의 환기성 : 독자에게 특별한 정서적 감응을 불러 일으킨다.

 모호성, 다의성 : 시어의 해석은 독자마다 그것에 특정한 의미를 부여하는 행위라 볼 수 있 . 여기에서 시어의 다의성이 드러나게 된다.

 

(4) 구성 요소

 음악적 요소 : 자음과 모음 등의 소리가 지니는 음 자체의 성질, 의성어, 의태어 등의 음성 상징어가 지니는 음악성, 음의 반복이나 교묘한 배열, 통사구조의 반복 등에 의해 나타나는 요 (:비슷하거나 같은 음의 배치, :음의 고저·장단·강약)

 

󰃚 갈래 갈래 갈린 길 <>(김소월)

그립다 / 말을 할까 / 하니 그리워 <가는 길>(김소월)

 

 회화적 요소 : 언어의 청각적인 요소인 소리는 의미와의 결합을 통해 곧 어떤 상징으로 나 타난다. 그리고 그 상징은 동시에 그것이 지시하는 어떤 심상(心象)으로 나타난다.

 의미적 요소 : 언어에 의해 환기되는 개념 또는 사상

 

󰊲 시의 표현 기교

 

(1) 비유(比喩) : 비유란 <언어의 전이(轉移)> 현상이다. 어떤 사물이나 의미를 그 자체에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물이나 의미로 유추하여 표현하는 방식이다.--- 󰃫 <비유>

(2) 상징(symbol) --- 󰃫 <상징(象徵)>

(3) 반어(irony) --- 󰃫 어휘 <반어와 역설>

(4) 역설(paradox) --- 󰃫 어휘 <반어와 역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