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쉽게 쓰여진 시- 윤동주

by 송화은율
반응형

쉽게 쓰여진 시 - 윤동주

 

 

() 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시인(詩人)이란 슬픈 천명(天命)인 줄 알면서도

한 줄 시()를 적어 볼까.

 

땀내와 사랑내 포근히 품긴

보내 주신 학비 봉투(學費封套)를 받어

 

대학(大學) 노트를 끼고

늙은 교수(敎授)의 강의(講義) 들으러 간다.

 

생각해 보면 어린 때 동무를

하나, , 죄다 잃어버리고

 

나는 무얼 바라

나는 다만, 홀로 침전(沈澱)하는 것일까?

 

인생(人生)은 살기 어렵다는데

()가 이렇게 쉽게 씌여지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 밖에 밤비가 속살거리는데,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시대(時代)처럼 올 아츰을 기다리는 최후(最後)의 나.

 

나는 나에게 작은 손을 내밀어

눈물과 위안(慰安)으로 잡는 최초(最初)의 악수(握手).

 

--시집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1948)--


<핵심 정리>

 

감상의 초점

이 시는 윤동주가 일본에 유학 중이던 1942년에 쓰여진 것이다. 식민지 시대에 조국을 떠나와 일본에 살면서 시()나 쓰고 있는 자기 자신의 무기력함을 자책하고, 자아를 성찰하여 자신의 갈 길을 정립하고자 한 작품이다. , 자기 자신에 대한 끝없는 좌절과 번민, 무력감을 부끄럽게 느끼면서 끝없는 모색의 노력을 포기하지 않음으로써, 시인의 사명감을 자각해 가는 성찰의 모습을 솔직하고도 섬세하게 보여주는 작품인 것이다.

윤동주가 어떻게 자신의 생활을 준엄하게 비판하고, 도덕적으로 어떤 결벽성을 지녔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 육첩방 : 작은 다다미방. 억눌리고 암담한 공간. (자아를 구속하는 숨막히는 공간)

* 천명(天命) : 하늘이 내린 피할 수 없는 명령

* 어둠 : 절망적인 당시의 상황. (일제의 탄압)

* 아침 : 새로운 세계. (조국의 광복)

* 등불 : 암담한 현실을 헤쳐가는 정신적 지표

성격 : 명상적, 관조적, 고백적, 성찰적, 저항적, 미래지향적

심상 : 주로 서술에 의한 심상, 시각적 심상, 대립적 심상

어조 : 차분하게 자기를 반성하는 어조

특징 : 상징어의 사용

구성 : : 배경의 제시(1)

: 무기력한 생활(2-4)

: 부끄러움의 각성(5-7)

: 현실 극복의 의지(8-10)

제재 : 시인의 생활.(시가 쉽게 씌어지는 부끄러움)

주제 : 암담한 현실 극복의 결의.(이국에서의 고독과 시인으로서의 천명성 확인)

 

 

<연구 문제>

1. 이 시에 쓰인 과 관련된 시어 중에서, (1)시상(詩想)이 응결된 것을 찾아 쓰고, (2)그 상징 의미를 두 어절로 쓰라.

(1) 아침 (2) 조국 광복

 

2. 이 시의 화자는 어떤 생활로 인하여 갈등을 일으키는지 80자 내외로 설명하라.

인생의 어려움을 해결해 주지 못하는 무의미한 시나 쓰고, 현실과 거리가 먼 지식이나 얻으러 다니는 생활을 하는 자신을 발견하고 갈등을 일으킨다.

 

3. 마지막 연에는 두 개의 가 화해하는 장면이 나온다. 각각 어떠한 자아인지 차이점을 70자 내외로 쓰라.

하나는 암담한 현실에서 부끄러운 삶을 살고 있는 무기력한 자아이고, 또 하나는 현재의 상황을 반성하고 극복하려는 자아이다.

 

 

< 감상의 길잡이 1 >

10연으로 된 이 시는 생활의 성찰과 극복의 의지로 구분할 수 있다.

1연은 자신이 처한 상황을 단적으로 제시했다. ‘육첩방은 일본이라는 낯설고 부자유스러운 공간을 뜻하며, ‘밤비는 암담하고 쓸쓸한 당시의 상황과 관련된다.

2연은 시인으로서의 괴로움을 표명한 것이다. 시인이란 당시의 현실에 직접 대응하지 못하고 다만 언어를 다듬고 있는 천명(天命)을 지닌 사람이라는 데서 괴로움을 느낀다.

3-4연은 현실을 외면하고, 낡은 지식이나 얻으려 대학에 다니는 자신의 생활을 부끄러워하는 것이다. ‘늙은 교수의 강의는 현실과 거리가 먼 낡은 지식으로 해석된다.

5-6연은 유년 시절에는 꿈이 많았는데 지금은 그것을 다 잃어버리고 일본에서 무의미한 생활을 하고 있다는 것에 대한 회의(懷疑)가 싹튼다.

7연은 시를 쓰는 일, 공부를 하는 일 등이 현실 상황과 괴리(乖離)되어 있음을 자각하고 부끄러워한다. 윤동주의 부끄러움은 현재의 암담한 상황에 대처하지 못하는 자신의 무의미한 삶에 연유한다.

8연은 제1연을 변형한 것으로 배경의 제시다. 부자유한 상황과 암담한 현실이 자신을 자꾸 압박해 온다.

9연에서 시적 화자는 이런 상황과 현실에서 체념하지 않고 극복하려는 결의를 보여 준다. 어둠을 조금씩 몰아내기 위해 등불을 밝혀야겠다. 그러면 밝은 시대가 올 것이다. ‘등불은 광명의 심상으로 새로운 시대를 위한 노력이며, ‘아침은 새 시대로 어둠과 대립을 이룬다. ‘최후의 나는 굳은 의지의 자아로 보인다.

10연은 어두운 시대를 살아가는 두 자아가 화합을 하는 장면이다. 여기에 두 가 나오는데 암담한 현실에서 우울하게 살아가는 체념적인 자아와 현실을 반성하고 이를 극복하려는 자아가 그것이다. ‘최초의 악수는 새로운 출발을 위한 분열된 자아의 화해, 일치를 뜻한다.

 

전체적으로 볼 때, 이 시는 부끄러움의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형상화 하고 있다. 그 부끄러움은 학문과 현실 사이의 괴리감(乖離感), 시를 쓰는 자신과 시 사이의 거리감(距離感) 등에서 오는 것이다. 그래서 시적 화자는 소외 의식과 내적 갈등을 일으킨다. 그러나 그는 부끄러워하지만 결코 절망하지는 않는다.

 

< 감상의 길잡이 2 >

이 작품은 윤동주가 일본에 유학 중이던 1942년에 씌어졌다. `육첩방은 남의 나라'라는 구절에서 그가 처해 있는 상황이 단적으로 드러난다. 그것은 그가 익숙하지 않은 일본식의 생활 공간인 동시에 다다미 여섯 장의 넓이로 그의 세계를 한정하는 구속, 부자유의 은유이다. 그는 이러한 공간 안에 갇혀 있으면서 시를 쓴다. 이 때 `시인이란 슬픈 천명'이라고 그가 말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아마도 시인이 현실을 직접 움직이는 자가 아니라 언어를 다루는 사람이라는 데 대한 괴로움에 연유하는 듯하다.

 

3연부터 제6연까지는 바로 이 상황 속에서 이루어지는 자기 성찰의 내용이다. 그는 부모님이 보내 주신 학비를 받아 낯선 세계에서 대학을 다니며 생활한다. `늙은 교수'라는 말이 암시적으로 풍기는 것처럼 그가 듣는 강의는 번민하는 한 젊은이의 절실한 문제들과는 거리가 먼 회색빛 메마른 지식으로 가득 차 있다. 거기에는 들끓어 오르는 정열도 힘찬 생명의 약동도 없는 듯하다.

 

이처럼 현실에서 뿐 아니라 그가 동경하던 학문의 세계에서조차 회의적인 생각을 맛보면서 그가 현재의 자신을 우울하게 되새겨 보게 됨은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생각해 보면 소중한 것들을 모두 잃어버리고 이 답답하고 음울한 세계에서 하루하루를 견디면서 그는 자신이 삶의 밑바닥으로 끝없이 가라앉아 간다고 느낀다.

 

여기에서 다시 윤동주 시의 중요 내용의 하나인 `부끄러움'이 등장한다. 그것은 삶의 어려움과 엄숙함에 대해 자신의 시가 정직하지 못한 것이 아닌가 하고 반성적으로 묻는 성실성의 소산이다.

 

이처럼 괴로운 반성과 연민의 시간에도 비는 내린다. 그리고 육첩방은 그 좁음과 낯설음으로 그의 영혼을 압박한다. 세상에는 어둠이 가득 차 있고, 그의 가슴 속에는 번민이 숨쉰다.

 

그러나 별 헤는 밤의 경우와 비슷하게 윤동주는 이 음울한 상황에 체념하지 않고 자신을 일으켜 세운다. 온 세상에 가득한 어둠을 한 번에 없앨 수는 없지만 자신의 마음 속에 등불을 밝혀 그것을 조금 내몰 수는 있다. 그는 이렇게 어둠과 절망을 견디면서 `시대처럼 올 아침'을 기다린다. 이 때의 아침이란 좁게는 개인적 번민으로부터의 해방일 터이고, 더 넓게는 정직한 영혼으로 하여금 끊임없이 괴로워할 수밖에 없게 하는 시대가 무너지고 새로운 세계가 열리는 때를 의미한다. 마지막 연에 보이듯이 그는 어두운 시대를 살아야 하는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이면서 그러나 결코 체념하지 않고 자신의 손을 잡는다. 이 때 두 사람의 `'는 곧 현실 속에서 우울한 삶을 살아가는 자아와 그것을 반성적으로 바라보는 또 하나의 자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해설: 김흥규]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