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숙창궁입궐일기(淑昌宮入闕日記)

by 송화은율
반응형

숙창궁입궐일기(淑昌宮入闕日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반궁체 순한글 흘림체로 쓰여져 있다. 필사연대나 작자를 추단하기는 어려우나, 글의 내용으로 미루어보아 풍산홍씨(豊山洪氏) 가문, 특히 정조 때의 세도가였던 홍국영 ( 洪國榮 ) 일가의 인물이 지은 것으로 보인다.

숙창궁은 정조의 후궁으로 입궐한 홍국영의 누이(홍낙춘의 딸)의 궁호이다. 이 작품은 한 후궁의 입궐과정을 그린 생생한 실록체 소설로, 세도가 홍국영의 한 단면을 보는 듯하다. “ 무술하유월(戊戌夏六月)에 원빈(元嬪)을 입궐하실새 ” 의 첫 대목에서 보면 원빈 숙창궁의 입궐이 정조 2년(1778) 여름으로, 이는 실록의 기록과 일치한다.

이 작품에는 겨우 열세 살의 나이로 정조의 후궁에 뽑혀 입궐하는 원빈 홍씨의 입궐례를 전후하여 정조 · 효의왕후 ( 孝懿王后 ) · 혜경궁(惠慶宮) · 왕대비가 등장한다. 어린 원빈이 입궐하여 정궁 효의왕후를 만나려 하자 중궁은 유월의 더위를 핑계로 회피한다.

김대비(정순왕후)는 중전에 대한 인사가 늦어지자 입궐한 돈녕부인(홍낙춘의 처)을 설득한다. 왕(정조)은 첩을 들이는 심정과 같고, 중전 역시 인사를 미루다가 마지못해 납폐례를 받고 대비전과 혜경궁에게 예를 드린 후 입궐의식이 끝난다.

역사 기록에는 효의왕후에게 후사(後嗣)가 없다 하여 후궁을 맞아들이게 한 것은 영조 계비 김대비의 지교에 의한 것으로 되어 있다. 김대비는 곧 정순왕후로, 이 작품에도 숙창궁의 호를 김대비가 내리며, 혜경궁은 효의왕후 쪽인 인상을 준다.

정조가 등극한 후 홍국영이 세도를 잡자 효의왕후에게 후사가 없음을 빌미로 13세의 제 누이를 후궁으로 들이고, 누이가 죽자 다시 은언군 ( 恩彦君 )의 아들 담(湛)을 원빈의 양자로 삼고 완풍군(完豊君)이라 칭하다가 끝내는 그도 유폐시켜 자살하게 한다.

이 일이 효의왕후의 노여움을 사자 원빈의 죽음이 효의왕후의 음모 때문이라 하여 수라에 비상을 타서 왕비 독살을 시도한다. 이 사실이 탄로나자 정조도 어쩔 수 없이 홍국영의 가산을 몰수하고 강릉으로 내쫓게 되는데, 여기서 33세를 일기로 홍국영의 세도정치가 막을 내리게 된다.

이 작품에는 특히 당시 원빈의 입궐과정을 둘러싼 등장인물들의 정신적 갈등과 변천과정을 소상하게 읽을 수 있다. 또한, 대가족제도의 표본인 궁중의 제반 법도와 의식 · 풍속 등을 알아보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이 밖에 궁중을 배경으로 한 작품으로 〈 계축일기 癸丑日記 〉 · 〈 계해반정록 癸亥反正錄 〉 · 〈 인현왕후전 仁顯王后傳 〉 · 〈 한중록 閑中錄 〉 이 있다. 이 작품은 한 세도가의 여자가 후궁으로 입궐하는 과정과 그에 따른 여러 가지 갈등을 생생하게 기술하고 있는 점에서 문학적 가치가 높이 평가된다. 김영한(金英漢)이 소장하고 있다.

≪ 참고문헌 ≫ 淑昌宮入闕日記論攷(蘇在英, 文學思想 31호, 1975.4.), 淑昌宮入闕日記(蘇在英, 古小說通論, 二友出版社, 1980).

(자료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