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隨筆) 총정리
by 송화은율수필(隨筆)의 종류와 특성
종류
1. 진술 방식에 의한 수필의 종류
(1) 교훈적 수필
필자의 오랜 체험이나 깊은 사색을 바탕으로 하는 교훈적인 내용을 담은 수필을 말한다. 그 내용이라든가 문체가 다 같이 중후하며, 필자 자신의 인생관이라고 할 수 있는 신념과 삶의 태도 등이 강하게 드러나 있다.
1. 이광수 <우덕송>(牛德頌)’: 소(牛)의 덕성을 찬양하면서, 그것을 우리 인간들이 본받을 것을 권장
2. 심훈 <대한의 영웅> : 일제 치하라는 30년대의 암담한 시점에서 우리 나라 젊은이들이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를 일깨우고 있음.
적지아니 탈선이 되었지만, 백 가지 천 가지 골이 아픈 이론보다도 한 가지나마 실행하는 사람을 숭앙하고 싶다. 살살 입술발림만 하고, 턱 밑의 먼지만 톡톡 털고 앉은 백 명의 이론가, 천 명의 예술가보다도, 우리에게는 단 한 사람의 농촌 청년이 소중하다. 시래기죽을 먹고 겨우내 ‘가갸거겨’를 가르치는 것을 천직이나 의무로 여기는 순진한 계몽 운동자야말로 참다운 대한의 영웅이다.
나는 영웅을 숭배하기는 커녕, 그 얼굴에 침을 뱉고자 하는 자이다. 그러나, 이 농촌의 소영웅들 앞에서는 머리를 들지 못한다.
그네들을 쳐다볼 면목이 없기 때문이다.
3. 이양하 <나무> : 나무의 덕성을 찬양하면서 인간이 그것을 배울 것을 강조 --- <나무>
4. 조지훈 <지조론> : 혼란한 사회에서 우리가 바르게 살아가는 태도를 제시 --- <지조론>
(2) 희곡적 수필
필자 자신이나 다른 사람이 체험한 어떤 사건을 생각나는 대로 서술하되, 그 사건의 내용 자체에 극적인 요소들이 있어서, 대화나 작품의 내용 전개가 다분히 희곡적으로 이루어지는 수필로서 사건의 전개가 소설에서처럼 유기적, 통일적인 진행을 이룬다. 그리고, 극적인 효과를 위해서 문장에 있어 극적 현제의 시제가 흔히 쓰인다. 즉, 현제 시제를 사용한다. 필자가 어떤 곤란을 겪게 될 때나 슬픈 일을 겪게 될 때, 어떻게 대처했는가를 보여 주는 점에서 각별한 흥미를 끈다.
1. 계용묵 <구두> : 자신의 구두 발자국 소리가 기이했던 탓으로, 어떤 낯 모르는 여인에게 자칫 불량배로 오해받을 뻔한 수모를 당한 체험담
2. 이숭녕 <오봉산 등산기> ‘너절하게 죽는구나’ : 낯선 산에서 길을 잃고 죽을 뻔한 조난의 체험
3. 김소운 <가난한 날의 행복>
4. 피천득 <은전 한 닢>
(3) 서정적 수필
일상 생활이나 자연에서 느끼고 있는 감상을 솔직하게 주정적, 주관적으로 표현하는 수필이다. 서정의 내용은 정서, 즉 희(喜)·노(怒)·애(哀)·낙(樂)·애(愛)·오(惡)·욕(欲) 이라고도 설명된다.
교훈적 수필에 공리성이 강하다면, 서정적 수필에는 예술성이 강하다. 그것은 작자의 의도가 자기의 정서적 경험을 독자에게 전달해서 감동을 불러일으키는 데 있으므로 표현에서 주로 기교에 유의하는 것과도 관련된다.
1. 이효석 <청포도(靑葡萄)의 사상(思想)>, <화초(花草)> --- <화초>
2. 이양하 <신록예찬(新綠禮讚)> --- <신록예찬>
3. 김진섭 <백설부(白雪賦)> --- <백설부>
4. 이병기 <백련(白蓮)>
5. 피천득 <꿈>
어려서 나는 꿈에 엄마를 찾으러 길을 가고 있었다. 달밤에 산길을 가다가 작은 외딴집을 발견하였다. 그 집에는 젊은 여인이 혼자 살고 있었다. 달빛에 우아하게 보였다. 나는 허락을 얻어 하룻밤을 잤다.
그 이튿날 아침, 주인 아주머니가 아무리 기다려도 일어나지 않았다. 불러 봐도 대답이 없다. 문을 열고 들여다보니, 거기에 엄마가 자고 있었다. 몸을 흔들어 보니 차디차다. 엄마는 죽은 것이다. 그 집 울타리에는 이름 모를 찬란한 꽃이 피어 있었다. 나는 언젠가 엄마한테서 들은 이야기를 생각하고 얼른 그 꽃을 꺾어 가지고 방으로 들어왔다.
하얀 꽃을 엄마 얼굴에 갖다 놓고 “뼈야 살아라!”하고, 빨간꽃을 가슴에 갖다 놓고 “피야 살아라!” 그랬더니 엄마는 자다가 깨듯이 눈을 떴다. 나는 엄마를 얼싸안았다. 엄마는 금시에 학이 되어 날아갔다.
(4) 서사적 수필
인간 세계나 자연계의 어떤 사실에 대하여 대체로 필자의 주관을 개입시키지 않고, 객관적으로 서술하는 수필이다.
1. 최남선 <백두산 근참기(白頭山覲參記)>, <심춘순례(尋春巡禮)>
2. 이광수 <금강산유기(金剛山遊記)>
3. 이병기 <낙화암을 찾는 길에>
4. 김동인 <대동강>
5. 이희승 <딸깍발이> --- <딸깍발이>
2. 태도상의 종류
(1) 경수필(비격식 수필, 인포멀 에세이, informal essay, 미셀러니, miscellany).
: 내용과 분위기가 친근하며, 주로 개인적 신변의 일들이 소재가 됨.
[ 수기(手記), 수상록(隨想錄), 잡문(雜文) 등 ]
· 예술적 가치 추구
· 개인적 감성과 개성 중심
· 신변적 이야기
· 감성적, 주관적 성격을 지니되, 일정한 ‘주제보다 사색이 주가 되는 서정적 수필.
(2) 중수필(격식 수필, 포멀 에세이, formal essay)
· 지성적, 객관적 성격을 지니되, 직감적, 통찰력이 주가 되는 비평적인 글
· 논리적, 지적인 문장이다.
※ 경수필과 중수필의 대비
경 수 필 | 중 수 필 |
① 문장의 흐름이 가벼운 느낌을 준다. ② 연문장적(軟文章的)이다. ③ 몽테뉴적인 수필이다. ④ 개인적, 주관적인 표현이다. ⑤ ‘나’가 겉으로 드러나 있다. ⑥ 개인적인 감성, 정서로써 짜여져 있다. ⑦ 시적(詩的)이다. ⑧ 정서적, 신변적이다. |
① 문장의 흐름이 무거운 느낌을 준다. ② 경문장적(硬文章的)이다. ③ 베이컨적인 수필이다. ④ 사회적, 객관적인 표현이다. ⑤ ‘나’가 드러나 있지 않다. ⑥ 보편적인 논리, 이성으로써 짜여져 있다. ⑦ 소논문적(소논문적)이다. ⑧ 지적(知的), 사색적이다. |
3. 내용상의 종류
(1) 사색적 수필(思索的隨筆) : 인생의 철학적 문제를 다룬 글이나 감상문
(2) 비평적 수필(批評的隨筆) : 작가에 관한 글이나, 문학·음악·미술 등 예술작품에 대한 글쓴이의 소감을 밝힌 글.
(3) 기술적 수필(記述的隨筆) : 주관을 배제하고 실제의 사실만을 기록한 글.
(4) 담화 수필(譚話隨筆) : 시정(市井)의 잡다한 이야기나 글쓴이의 관념 등
(5) 개인적 수필(個人的隨筆) : 글쓴이 자신의 성격이나 개성, 신변 잡기 성격.
(6) 연단적 수필(演壇的隨筆) : 실제의 연설 초고는 아니나, 연설적, 웅변적인 글.
(7) 성격 소묘 수필(性格素描隨筆) : 주로 성격의 분석·묘사에 역점을 둔 글.
(8) 사설 수필(社說隨筆) : 개인의 주관이나 의견이긴 하지만, 사회의 여론을 유도
특성
(1) 자유(自由)로운 산문
(2) 개성(個性)의 표현 : 1인칭 고백체
(3) 제재(題材)의 광범위함
(4) 길이가 짧은 산문
(5) 주관적(主觀的), 주정적(主情的) 산문
(6) 유머, 위트, 비평정신
(7) 비전문성(非專門性)
(8) 무형식의 형식 : 형식은 다른 장르에 비해 다소 자유로우나 형식 곧, ‘철학성’을 갖추는 것 이 필요.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