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소설의 주제

by 송화은율
반응형

소설의 주제

1. 주제의 의미

*'이 소설은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라고 질문을 던진다면 그것이 바로 소설의 주제를 묻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소설에서 주제의식은 어떤 것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 수 있는가를 모색한 것으로, 또 인간이 인간다운 삶을 쟁취하려는 모습을 제시하려 한 것이다. 달리 말하면 소설의 주제는 휴머니즘으로 귀납된다고 할 수 있다.

*소설은 사실의 진술에 머무르지 않고 그 사건의 이면에 숨은 의미를 나타내려고 한다. 이 의미가 바로 작가가 하고 싶은 말이며, 이 하고 싶은 말이 곧 주제이다.

* 주제는 제재, 인물, 상황, 이야기의 뒤에 숨어서 그 모든 것을 지배하는 작품의 통일 원리이기도 하다. 따라서, 작품의 모든 요소는 주제의 구현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 이때에 가장 중요한 것은 동기(motif)이다. 동기는 작가가 어떤 소재에 대하여 처음에 받은 감동인데 이 동기의 구체화가 바로 주제인 것이다. 예를 들어, 윤홍길의 '장마'는 작가가 친구로부터 비극의 이야기를 듣고, 시대의 아픔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여기서의 동기는 친구의 가족사적인 비극이 주는 아픔이라고 할 수가 있다.

* 소설의 주제는 작가의 인생관과 세계관을 뜻하는 것이다.

* 소설의 주제는 작가가 자신의 삶과 이 세계에 대해 지니고 있는 문제의식을 구현한 것이다.

* 소설의 주제는 작품 속에 구체적으로 용해되어 나타나는 중심 사상이요, 핵심적인 의미이다.

= 주제와 제재

* 주제는 소설이 말하고자 하는 그 무엇에 해당되는 것이며 제재는 주제를 낳기 위해 동원되는 재료나 근거라 할 수 있다. 제재가 특수한 상황이나 경우를 일러주는 것이라면 주제는 이러한 제재의 속성을 일반화, 추상화한 끝에 얻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주제는 추상화의 산물이지만 제재는 구체적인 과정으로 비유할 수 있다. 가령, 현진건의 <빈처>를 예로 들자면 제재는 일제 때 어느 소설가 지망생의 무능과 가난, 아내의 희망 등이 될 것이나 주제는 지식인의 궁핍 정도로 그 윤곽을 잡아볼 수 있다. 좀더 추상화해 본다면 빈처의 주제는 '예술가 지망생의 의욕과 현실 사이의 거리'란 말로 표현 가능하다. 주제가 반복되는 것이라면 제재는 끊임없이 바뀌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조남현 소설원론>

 

2. 주제의 파악

주제는 쉽사리 명료하게 파악할 수 있는 주제와 작품 속에 잠입해 있는 함축적인 주제로 나누어진다. 이광수의 '흙', 심훈의 '상록수' 같은 소설들은 주제를 겉으로 드러내고 있다. '허숭'과 '박동혁', '채영신' 등의 주인공들이 지닌 의식과 발언 내용은 작품 전체의 주제와 직접적으로 닿아 있다. 말하자면, 그들 주인공은 작가가 지닌 사상과 감정의 대리인(代理人)에 불과하다. 그것은 곧 문학적 형상화의 미숙성을 의미한다. 주제를 과도하게 의식한 나머지 그것을 외부로 드러나게 언급한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현대 소설에 이르면서 주제의 내면화가 이루어져 왔으며, 이런 현상을 현대 소설의 특징으로 보는 경향도 있다.

단일한 주제를 제 1의 원칙으로 삼고 있는 단편 소설에서는 주제를 파악하기 쉬우나 작가의 개성, 생활 감정, 인생관, 가치관, 같은 것이 좀더 광범위하게 반영되는 장편 소설에서는 주제를 가려내기가 쉽지 않다.

= 주제를 파악하는 방법

①행동을(action)을 통한 주제의 파악

김동인의 '감자'의 경우, 주인공 '복녀'가 작품 속에서 직접 경험하는 내용이 곧 이 작품의 행동이다. '왕 서방'이 새로 장가를 들었다는 것은 이 작품의 행동이 될 수 없다. '복녀'가 작품 속에서 직접 경험하는 내용이 곧 이 작품의 액션이다. 기자묘 솥밭에서 송충이를 잡을 때부터 복녀의 인생관은 변하게 된다. 감독,거지,왕 서방 등에게 몇 푼씩의 돈을 받고 몸을 허락하는 '복녀'의 행적이 바로 '감자'의 행동이며, 이 작품의 주제 파악에 커다란 단서가 되는 것이다.

주제가 이렇게 행동을 통하여 나타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인 현상이며, 어느 작품이든지 그 작품의 주제는 행동을 매개로 하여 독자에게 전달된다. 행동을 통한 주제를 파악하는 데 있어 우리가 주의해야 할 점은 부차적 스토리의 전개 상황에 대하여 필요 이상으로 집착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다. 부차적인 스토리는 행동을 보조해 주는 구실밖에는 해 주지 않는다.

② 어조(tone)를 통한 주제의 파악

어조를 통한 주제의 파악은 작품에 나타난 작가의 태도를 중시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어조라는 것은 소재와 독자에 대한 작가의 태도가 작품 속에 반영된 것을 말한다. 하나의 사물을 작품에 나타낼 때에도 그것은 작가의 시각에 따라 다양한 편차를 가지고 다가오고, 주제도 달라지는 것이다. 이상의 소설 '날개'는 역설적인 어조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첫 부분에 나타나는 프롤로그에서도 알 수가 있지만, 서로의 대립항을 설정하여 '골방'의 이미지와 날고 싶다는 '자유'의 이미지 등의 역설적인 상황 설정으로 주제를 암시하고 있는 것이다. 손창섭은 냉소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면서 자신의 작품에 나오는 주인공들의 행동을 조소하듯 그리고 있다.

현대 작가 가운데 어조를 가장 잘 살린 사람은 채만식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의 '태평천하'같은 작품은 거의 어조에 의해서 풍자성을 표출하고 있다.

허리를 안아 본다면, 아마 모르면 몰라도, 한 아름하고도 반은 실히 될까 봅니다. 그런데다가도 알맞게 다섯 자 아홉 치는 넉넉합니다. 얼핏 알아듣기 쉽게 빗대면, 지금 그가 타고 온 인력거가 장난감 같고, 그 큰 대문간이 들어서기도 전에 그들먹합니다. 얼굴도 좋습니다.

<채만식, '태평천하'>

여기서 작가는 등장 인물의 외형을 정확하게 묘사하기보다는 그 인물에 대한 작가의 태도를 암시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허리 둘레가 한 아름하고도 반이 된다든가, 키가 알맞게 다섯 자 아홉 치라든가, 대문에 들어서기도 전에 꽉 찬다든가 하는 표현은 그 의도가 묘사에 있는 것이 아니라 윤직원 영감을 희화화하면서 작품 전체를 풍자적으로 전개하려는 데 있는 것이다.

③ 분위기를 통한 주제의 파악

분위기는 배경이나 인물, 정황 등에 의해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정조를 말하며, 이것은 한편으로 심리적인 측면을 내포하고 있다. 작가 입장에서 분위기를 고양시키려면 독자로 하여금 어떤 배경 또는 장면에 관하여 읽고 연상 작용을 일으키게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독자 입장에서는 작가가 의도하는 심리적인 연상 작용이 무엇인가를 정확하게 이해하여야 한다.

황순원의 단편 소설 '별', '송아지', '소나기' 같은 작품들은 분위기가 주제의 윤곽을 암시해 준다.

현대 소설의 주제

 

① 합리적 판단에 근거한 인간의 본성 탐구

② 환상적, 심리적 기법에 의한 인간의 본성 탐구

③ 인간의 사회 관계, 즉 넓은 의미의 풍속에 대한 해석과 비판

주제를 표현하는 방법

 

1. 작가가 직접 제시한다.

2. 작중 인물의 대화에 의해 간접적으로 제시한다.

3. 갈등 구조와 그 해소를 통해 제시한다.

4. 심상과 상징에 의해 암시한다.

5. 어구나 분위기에 의해 주제를 환기시킨다.

3. 소설의 요소들과 주제와의 관련성

유기적 구조 :

소설의 요소들은 주제를 향하여 유기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어떤 요소가 어떤 구실을 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그 소설을 더 잘 이해하는 방법이 된다.

구성과 주제 :

작품의 주제는 결국 구성에 의해서 드러난다. 황순원의 「학」의 경우, 순행적 '길'의 구조에 역행적 회상의 구조를 더함으로써 '우정의 회복을 통한 인간성의 옹호'라는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문체와 주제 :

서술에 의한 주제의 요약적 제시, 묘사나 대화에 의한 주제의 극적 제시 등 소설의 주제는 문체에 따라 효과적으로 표현된다.

시점과 주제 :

서술자의 위치와 성격은, 작품과 독자의 거리와 작가의 인생관 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면서 주제를 형상화한다.

배경과 주제 :

배경은 등장 인물의 활동 공간이라는 단순한 개념을 넘어서서 주제를 향하여 통일성 있게 배치됨으로써 효과를 극대화한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