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서방가(西方歌)​

by 송화은율
반응형

서방가(西方歌)

요점 정리

형식 : 경기체가

연대 : 미상

작자 : 미상

주제 : 서방 세계의 삶을 노래함

내용 연구

 

작자 창작연대 미상의 경기체가 염불작법에 전한다. 염불작법은 1572년(선조5)4월에 개간하였다는 간기와 이 작품의 형식을 총하여 볼 때에 창작연대는 세종 때로 추정된다. 염불작법에는 작자가 의상으로 되어 있으나, 후대인이 의상의 위명을 빌어 쓴 것으로 생각된다.한편, 염불작법에 각종 진언과 여래십대발원문 나옹화상발원문 등이 함께 수록된 점, 서방가의 내용이 불교세계를 읊은 점 등을 통하여 볼 때에 불교의식 또는 불교적인 신앙생활을 위하여 창작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내용은 전체 10장으로 되어 있는데, 제1장이 극락세계의 실존을 읊고, 제2장이 극락세계 주위환경의 장엄함과 극락인이 중생의 고통없이 즐거움을 누리는 모습을, 제3장이 극락내부의 미묘하고 향기롭고 깨끗한 경치와 서방정토의 아홉 종류의 생물들도 쾌락을 향유하는 모습을, 제4장이 공양하고 섬기는 모습을, 제5장이 극락조들도 화기롭고 우아한 소리로 설법하여 연년삼매에 이른 경지를, 제6장이 미풍에도 천악성이 울려 염물 염법의 마음이 생기며, 보배로운 나무와 밝은 달도 능히 설법하고 법을 들어 권선하는 모습을, 제7장이 극락인의 영생하는 모습을, 제8장이 보살과 성문(聲聞)들이 상선인과 벗하며 선심을 증진하는 모습을, 제 9자이 아미타불의 빼어난 공덕을, 제10장이 중생을 교화하는 아미타불의 무한한 자비로움을 각각 읊고 있다. 형식은 각 장이 6행인데, 제1~3행은 3음보격이며, 제4~6행은 4음보격으로 된 정격형이다.

다만, 제 6행 끝에 "

 

"가 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가사에 소박하나마, '一·二'와 같은 악조가 표시되어 있다. 악조의 표시는 '염불작법'이 간행된 선조 때까지는 적어도 경기체가가 노래로 불려졌다는 증거를 말하여준다. 그리고 '서방가'의 내용이 불교적이고, 그 작자가 승려로 추정된다는 점에서 경기체가류의 작가군이 유학자뿐만 아니라, 승려에까지 확대된다는 증거를 보여준다.

1장

從是西 過十萬億 佛國土

有世界 名極樂 安養淨土

其土有佛 號阿彌陀 現在說法

爲 敎化衆生景 긔엇더 �닝잇고

唯心淨土 自性彌陀 再唱

爲 返淨卽是景 나  됴해라

2장

其國人 無衆苦 但受諸樂

七重欄 七重網 七重行樹

皆是四寶 周 圍繞 爲故名極樂

爲 功德莊嚴景 긔엇더 �닝잇고

極樂不離 眞法界中 再唱

爲 撻矢成佛景 나  됴해라

3장

七寶池 八功德水 充滿其中

寶開上 有樓閣 衆寶合成

池中蓮花 大如車輪 雜色光明

爲 微妙香潔景沙 긔엇더 �닝잇고

九品招生 坐寶蓮花 再唱

爲 受諸快樂 나  됴해라

4장

黃金池 碧虛空 常作天樂

雨天花 香分付 晝夜六時

常公淸但 合以交械 成衆妙花

爲 供養他方景伊 긔엇더 �닝잇고

十方佛刹 正行自在 再唱

爲 勝事諸佛景伊 나  됴해라

5장

彼國有 雜色鳥 種又奇妙

白鶴與 孔雀等 鶯鵡舍利

加凌頻加 共命之鳥 出和雅音

爲 演暢說法景 긔엇더 �닝잇고

欲令法音 宣流變化 再唱

爲 緣念三昧景 나  됴해라

6장

微風吹 動諸樹 及寶羅網

出妙音 百千樂 同時俱作

聞是音者 自然心生 念佛念法

爲 念僧景 긔엇더 �닝잇고

寶樹光明 亦能說法 再唱

爲 聞法歡喜景沙 나  됴해라

7장

佛光明 佛壽命 無量無邊

往生人 壽長遠 與佛無異

阿彌陀佛 成佛移來 於今十劫

爲 壽命長遠景沙 긔엇더 �닝잇고

乘佛願力 自然皆生 再唱

爲 永斷生死景沙 나  됴해라

8장

菩薩衆 聲聞衆 其數甚多

皆不退 亦多有 一生補處

衆生聞者 應當發願 生彼國土

爲 但會一處景 긔엇더 �닝잇고

諸上善人 以爲朋伴 再唱

爲 熏習增進景 나  됴해라

9장

阿彌陀佛 四十八 大誓願生

十念者 皆往生 佛說分明

何況一念 全持名號 成就三昧

爲 直證上品景沙 긔엇더 �닝잇고

阿彌陀佛 慈悲願力 再唱

爲 殊勝功德景沙 나  됴해라

 

10장

極樂國 大敎主 阿彌陀

觀世音 大勢至 諸大菩薩

娑婆世界 念佛衆生 攝受無邊

爲 寶皆接人景 긔엇더 �닝잇고

知與不知 相逢勸念 再唱

爲 生生極樂景 나  됴해라

 

1장

종시서 과십만억 불국토

유세계 명극락 안양정토

기토유불 호아미타 현재설법

위 교화중생경 긔엇더 �닝잇고

유심정토 자성미타 재창

위 반정즉시경 나  됴해라

2장

기국인 무중고 단수제락

칠중란 칠중망 칠중행수

개시사보 주 위요 위고명극락

위 공덕장엄경 긔엇더 �닝잇고

극락불리 진법계중 재창

위 달시성불경 나  됴해라

3장

칠보지 팔공덕수 충만기중

보개상 유루각 중보합성

지중련화 대여차륜 잡색광명

위 미묘향결경사 긔엇더 �닝잇고

구품초생 좌보련화 재창

위 수제쾌락 나  됴해라

4장

황금지 벽허공 상작천락

우천화 향분부 주야륙시

상공청단 합이교계 성중묘화

위 공양타방경이 긔엇더 �닝잇고

십방불찰 정행자재 재창

위 승사제불경이 나  됴해라

5장

피국유 잡색조 종우기묘

백학여 공작등 앵무사리

가릉빈가 공명지조 출화아음

위 연창설법경 긔엇더 �닝잇고

욕령법음 선류변화 재창

위 연념삼매경 나  됴해라

6장

미풍취 동제수 급보라망

출묘음 백천락 동시구작

문시음자 자연심생 염불념법

위 염승경 긔엇더 �닝잇고

보수광명 역능설법 재창

위 문법환희경사 나  됴해라

7장

불광명 불수명 무량무변

왕생인 수장원 여불무이

아미타불 성불이래 어금십겁

위 수명장원경사 긔엇더 �닝잇고

승불원력 자연개생 재창

위 영단생사경사 나  됴해라

8장

보살중 성문중 기수심다

개불퇴 역다유 일생보처

중생문자 응당발원 생피국토

위 단회일처경 긔엇더 �닝잇고

제상선인 이위붕반 재창

위 훈습증진경 나  됴해라

9장

아미타불 사십팔 대서원생

십념자 개왕생 불설분명

하황일념 전지명호 성취삼매

위 직증상품경사 긔엇더 �닝잇고

아미타불 자비원력 재창

위 수승공덕경사 나  됴해라

 

10장

극락국 대교주 아미타

관세음 대세지 제대보살

사파세계 염불중생 섭수무변

위 보개접인경 긔엇더 �닝잇고

지여불지 상봉권념 재창

위 생생극락경 나  됴해라

서방정토 (西方淨土)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정토를 말하며 극락정토(極樂淨土)라고도 한다. 《아미타경》에 "여기서 서쪽으로 10만 억 국토를 지나서 하나의 세계가 있으니, 이름을 극락이라고 한다"고 한 데서 나온 말로, 곧 극락세계를 말한다. 이곳을 또 동거토(同居土)라고도 하는데, 그곳에서는 부처와 중생이 동거한다는 뜻이다.

이해와 감상

 

조선 세종 때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작자 미상의 경기체가. 전체 10장. ≪염불작법 念佛作法≫에 전한다. ≪염불작법≫에는 작자가 의상(義湘)으로 되어 있으나, 후대인이 의상의 위명(威名)을 빌려 쓴 것으로 생각된다.

이 작품의 형식이나 ≪염불작법≫이 1572년(선조 5) 4월에 개간되었다는 간기(刊記)를 통하여 볼 때, 이 작품의 창작연대는 세종 때로 추정된다.

한편, ≪염불작법≫에 각종 진언(眞言)과 여래십대발원문(如來十大發願文)·나옹화상발원문(懶翁和尙發願文) 등이 함께 수록된 것이나 〈서방가〉의 내용이 불교세계를 읊은 것 등을 통하여 불교의식 또는 불교적인 신앙생활을 위하여 창작된 작품임을 알 수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 극락세계의 실존을 읊고, 제2장에서는 극락세계 주위환경의 장엄함과 극락인이 중생의 고통없이 즐거움을 누리는 모습을 읊었다.

제3장은 극락내부의 미묘하고 향기롭고 깨끗한 경치와, 서방정토의 아홉 종류의 생물들도 쾌락을 향유하는 모습을 노래한 것이다. 제4장이 공양하고 섬기는 모습을, 제5장이 극락조들도 화기롭고 우아한 소리로 설법하여 연념삼매(緣念三昧)에 이른 경지를 읊고 있다.

제6장이 미풍에도 천악성(天樂聲)이 울려 염불·염법의 마음이 생기며, 보배로운 나무와 밝은 달도 능히 설법하고 법을 들어 권선(勸善)하는 모습을 노래한 것이다.

제7장에서는 극락인의 영생하는 모습을, 제8장에서는 보살과 성문(聲聞)들이 상선인(上善人)과 벗하며 선심(善心)을 증진하는 모습을 노래하였다. 제9장에서 아미타불의 빼어난 공덕을, 제10장에서 중생을 교화하는 아미타불의 무한한 자비로움을 각각 읊고 있다.

형식은 각 장이 6행인데, 제1∼3행은 3음보격이며, 제4∼6행은 4음보격으로 된 정격형(定格型)이다. 다만, 제6행 끝에 “……景긔엇더悧니잇고” 대신 “……景나勘됴해라”가 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가사에 소박하나마 ‘一’·‘二’와 같은 악조가 표시되어 있다. 악조의 표시는 ≪염불작법≫이 간행된 선조 때까지는 적어도 경기체가가 노래로 불려졌다는 것을 의미하는 근거가 된다.

그리고 〈서방가〉의 내용이 불교적이고 그 작자가 승려로 추정되는 점에서, 경기체가류의 작가군이 유학자뿐만 아니라, 승려에까지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念佛作法, 義湘和尙의 西方歌硏究(金文基, 東洋文化硏究 5, 慶北大學校, 1978).(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