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새떼 - 문정희

by 송화은율
반응형

새떼 - 문정희


 

작가 : 문정희(1947- ) 전남 보성 출생. 동국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 1969월간문학불면, 하늘이 당선되어 등단.

원초적이고 순수한 시의식을 감각적이고 섬세한 기교로 표출시키고 있으며, 새로운 형태의 역사의식을 열어 보임으로써 신선한 감동을 주고 있다.

시집으로는 꽃숨(한국정판사, 1965), 문정희 시집(월간문학사, 1973), 새떼(민학사, 1975), 혼자 무너지는 종소리(문학과예술사, 1984), 아우내의 새(일월서각, 1986), 찔레(전예원, 1987), 우리는 왜 흐르는가(문학사상, 1987), 하늘보다 먼곳에 매인 그네(나남, 1988), 수필집 젊은 고뇌와 사랑(관동출판사, 1975), 청춘의 미학(관동출판사, 1977), 우리 영혼의 암호문 하나(문학사상, 1987), 시극 나비의 탄생(1974), 도미(1986) 등이 있다.

 

< 감상의 길잡이 >

이 시는 하늘을 날으는 새떼를 보며 시인이 펼친 단상(斷想)을 담고있다. 실제로 시 속에는 새가 등장하지 않는다. 다만 새떼의 날아오름을 상상하고 유추할 수 있게 하는 이미지들이 시의 공간을 채우고 있다. 그 이미지들은 1연에서는 `흐른다'는 서술어를 통해 하나로 모아지며, 2연에서는 `오른다'`간다'의 의미망 속에 놓이게 된다. 이들은 모두 한 곳에 머무르지 않고 끊임없이 움직이는 유동(流動)의 속성을 지닌 점에서 공통점이 발견된다.

 

이 시에서 화자는 사뭇 감탄조의 고조된 목소리로 독자의 이목을 집중시킨다. 1연의 첫 시행은 이렇게 시작된다. `흐르는 것이 어디 강물뿐이랴'. 이 진술은 강물 이외에도 많은 것들이 흐름의 행로(行路)에서 예외적이지 않다는 뜻을 함축하고 있다. 생명의 상징인 `'도 흘러서 하늘로 가고, 자연물의 상징인 가랑잎도 흘러서 하늘로 간다. 지상 위의 많은 것들은 시간의 흐름을 타고 변화하여 결국은 한 곳에서 만나게 된다. 어디서부터 흐르는지 모르게 출발하였어도, 대다수의 존재는 언제나 길 위에 있으며 어디론가 떠나가고 있는 중인 것이다. 이같은 생각은 동양의 전통적인 순환론적 사유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모든 만물은 하나라는 일원론적 세계관과도 맥이 닿아 있다.

 

흐른다는 것은 시간과 궤를 같이하여 변화한다는 뜻이다. 흐르는 동안 시간은 우리를 지나쳐 사라진다. 한 번 지나가면 기억에서 소멸되어 버리는 시간들이 얼마나 많은가. 그러나 그 중 몇몇의 시간은 지워지지 않고 끝까지 살아남아 우리 삶의 소중한 의미를 형성하게 되며, 그 눈부신 시간들은 우리로 하여금 `빛으로 포효하'게 만들어 줄 것이다. 시인의 시선 가득 지금 새떼가 날아오르고 있다. `끝까지 잠 안든 시간을 / 조금씩 얼굴에 묻혀가지고 / 빛으로 포효하며 / 오르는 사랑', 이것이 바로 시인 문정희가 새떼의 날아오름을 보며 얻은 깨달음의 내용이다. 시인은 그걸 따라 우리도 모두 흘러서 하늘로 가고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가고 있다기보다 그렇게 가야 한다는 것이 시인이 의도한 뜻에 더 가까울 것이다.

새떼가 비상(飛上)하는 순간적인 광경에서 존재의 참다운 존재 방식을 읽어내는 시인의 예리한 직관력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해설: 최동호]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