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방록(三芳錄)
by 송화은율삼방록(三芳錄)
작자 · 연대 미상의 한문소설집. 78장. 필사본. 겉표지 제목은 ‘ 三芳要路記(삼방요로기) ’ 로, 안 제목이 ‘ 삼방록 ’ 이다. 〈 삼방록 〉 은 〈 왕경룡전 王慶龍傳 〉 (일명 玉檀傳) · 〈 유영전 柳泳傳 〉 (일명 雲英傳) · 〈 상사동기 相思洞記 〉 (일명 英英傳) 등 여인의 순정을 주제로 한 세 소설을 묶었다는 뜻이다. 여기에 〈 요로원기 要路院記 〉 를 덧붙였으므로 ‘ 삼방요로기 ’ 라고도 한 것이다. 원본은 국립중앙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 왕경룡전 〉 (옥단전)은 인조반정 이후 서인정권의 중신이었던 김집 ( 金集 )의 수택본 한문소설집에도 수록되어 있었다. 또, 이본으로 김동욱(金東旭) 소장본이 있는데, 김동욱본에서는 여주인공 옥단이 아직 살아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 소설은 명나라 가정(嘉靖)말에서 만력(萬曆) 때까지를 무대로 하였으므로, 김동욱본의 필사시기는 광해군 · 인조연간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 소설의 성립시기도 그때까지 올려 잡을 수 있다. 이는 인조 때 김집이 이 소설을 보았다는 사실과도 부합된다. 그런데 이 〈 삼방록 〉 에 수록된 〈 왕경룡전 〉 에서는 옥단이 아직 살아 있다고 한 부분이 빠져 있으므로, 훨씬 후대에 필사되었으리라 짐작된다. 더구나, 함께 수록된 〈 요로원기 〉 가 빨라야 1708년(숙종 34)에 출현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이 〈 삼방록 〉 의 필사시기는 그 이후로 보지 않을 수 없다.
이 소설은 당나라의 백행간(白行簡)의 〈 이와전 李娃傳 〉 에서 파생된 백화소설(擬話本小說)로서 명나라의 풍몽룡(馮夢龍)의 ≪ 경세통언 警世通言 ≫ 에 실린 〈 옥당춘낙난봉부 玉堂春落難逢夫 〉 와 내용이 같다. 특히, 왕경룡 · 옥단 · 조아무개는 〈 옥당춘낙난봉부 〉 의 왕경륭(王景隆) · 옥당춘 · 심홍(沈洪)에 해당한다. 또, 〈 왕경룡전 〉 은 주인공 왕경룡을 정유재란 때 조선에 감군 ( 監軍 )으로 왔던 왕사기(王士琦)에 연결시키려는 뜻이다. 곧, 〈 왕경룡전 〉 은 〈 옥당춘낙난봉부 〉 의 번안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 〈 삼방록 〉 에 수록된 〈 왕경룡전 〉 은 김동욱본보다도 4언 1구 중심의 문체로 더욱 정제되어 있다. 그러나 김동욱본은 삽입한 시가 빠져 있고, 삼방록본과 오자(誤字)와 탈자(脫字) 부분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삼방록본의 직접 선행본은 아니다. 〈 왕경룡전 〉 은 이후 1917년 11월 5일 신구서림 ( 新舊書林 )에서 〈 撈 누지렬녀 靑樓之烈女 〉 로 국문 번역하여서 발행하기도 하였다.
〈 유영전 〉 (운영전)은 안평대군 ( 安平大君 )의 궁녀인 운영과 김진사의 비극적 사랑을 다룬 한문소설이다. 이 소설은 두 혼령이 수성궁(壽聖宮) 폐허에서 유영이라는 선비에게 비련의 전말(顚末)을 말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액자소설의 형식을 취하였다. 이본으로는 국립중앙도서관본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장서각본 · 이시시로본(石城衛中謄書本) · 이마니시본(今西龍文庫本) 등이 있다. 국문본으로 장서각본(표제명 金華寺記, 附 雲英傳) · 이재수본(李在秀本) · 김기동본(金起東本)이 있다. 신활자본으로 영창서관 발행 〈 연정 운영전 演訂雲英傳 〉 이 있다.
〈 상사동기 〉 (영영전)는 성종의 다섯째 아들 회산군(檜山君)의 궁녀인 영영과 성균관 진사인 주인공의 사랑을 다룬 한문소설이다. 〈 운영전 〉 과는 소재가 같으나 행복한 결말을 맺는 점이 다르다. 신소설 작가인 이해조 ( 李海朝 )는 이 소설의 사건 설정을 빌려 한문소설 〈 잠상태 岑上笞 〉 를 지어 1906년 11월부터 1907년 4월까지 ≪ 소년한반도 少年韓半島 ≫ 에 연재하기도 하였다. 또, 이본(異本)으로는 일사문고본(一 侶 文庫本)이 있다.
〈 요로원기 〉 는 박두세(朴斗世)가 1708년 요로원(충청남도 아산군 음봉면 신정리에 있던 객사)에서 하룻밤 지낸 이야기를 적은 기행문으로 알려져 있다. 낙방 거자 ( 擧子 )인 주인공과 서울 양반 사이에 주고받은 육담풍월(肉談風月)이 흥미로우며, 서울의 벌열이 권력을 독점하여 빚어지는 세태를 풍자한 것도 주목을 끈다.
이본으로 이원명 ( 李源命 )의 ≪ 동야휘집 東野彙輯 ≫ 에 실린 〈 요로원이객문답 要路院二客問答 〉 , 이양오(李養吾)의 ≪ 파수록 罷睡錄 ≫ 에 실린 〈 요로원기 〉 , 국립중앙도서관본(부분), 이마니시본(天理大學 今西春秋文庫本)이 있고, 국문본으로 가람문고본이 있다.
≪ 참고문헌 ≫ 최문헌전에 대하여(정병욱, 한국고전의 재인식, 홍성사, 1979), 朝鮮後期小說考證 1(심경호, 한국학보 56, 일지사, 1989).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