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주의(寫實主義)
by 송화은율사실주의(寫實主義)
1. 사실주의(寫實主義)의 개념
(1) 어원
사실주의 원어인 'realism'은 '실물(實物)'을 뜻하는 라틴 어 'realis'에서 유래하였다. 관념과 상상에 대립되는 이 말은 원래 철학적인 용어로 실재론(實在論)을 의미한다. 플라톤이 자연의 원상(原象)인 이데아를 말한 것이 실재론의 기원이며, 이 개념과 문학상의 리얼리즘은 상반되는 뜻을 갖는다. 이같이 원래의 말뜻과 문학적 리얼리즘의 의미가 달라지게 된 것은 그 개념이 보편 논쟁 등을 통해 의미에 변화가 생겼기 때문이다.
(2) 정의
사실주의는 서양 근대 문학에서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이후에 나타난 사조로서 사실을 있는 그대로 충실히 묘사하는 것을 기본 방침으로 하는 현실주의적인 문예 사조이다. 프랑스의 발자크, 스탕달, 러시아의 고골리, 영국의 디킨즈 등에 의해 발전 사조로서 일부러 미적(美的)이고 조화(調和)된 것을 찾기보다 추악하고 불쾌한 현실을 실제 대로 제시하며, 관념적인 유형보다 구체적인 개성을 중시하며, 이상주의와 같이 선택적, 수식적이 아니라 사실적이고 객관적인 묘사를 추구한다.
2. 사실주의의 시대적 조건
(1) 사회의 상태
사실주의는 낭만주의 시대와 거의 중첩된다. 그러나 낭만주의의 시대적 조건과 달리 사회적 현실의 문제가 사람들의 보편적 관심사로 대두하고 있다. 첫째 산업 혁명이후 전개된 자본의 지배가 좀더 철저하고 현저하게 된 현실이다. 사회의 지배 세력이 완전하게 부르주아 계층으로 확정된 상황에서 경제의 논리가 사람들의 개인적 특성과 자율성을 침해하는 양상이 심화되었다. 둘째로 사회 갈등이 표면화되면서 사회의 불합리와 모순에 대한 인식이 싹트게 되었다. 사회의 풍속과 구조가 전체적으로 문제적인 사항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셋째로 저널리즘이 발달하기 시작하여 사람들에게 자기 주위의 문제에 대한 일정한 정보를 제공하여 세계에 대한 관심을 자극하였다. 넷째로 작가와 독자의 관계가 변화되어 작가는 다른 어떤 사람에게도 구속되지 않고 자신의 관점에서 사회에 대한 인식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2) 사상적 배경
사실주의의 사상적 배경을 한 마디로 규정하기는 어렵다. 이는 사실주의가 고전주의와 낭만주의의 전통에서 싹튼 것과 마찬가지로 그 사상적 배경도 계몽주의에서부터 시작하여 근대의 합리주의, 과학에서의 실증주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사실주의의 철학적 근거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서 특히 근대 이후의 비약적인 발전을 한 과학, 사회학, 심리학 등은 뒷날 사실주의의 방법에 중요한 자료들을 마련해 준다. 이와 함께 철학에 경제학을 포함하기 시작한 헤겔의 포괄적인 철학이나 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 이후 발전한 사회주의 사상도 일정한 연결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 밖에 다원의 진화론도 사실주의에 일정한 영향을 준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3. 사실주의 문학 이론
과학적인 사고가 발전하고 사회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면서 문학에 사실주의 이론의 한 양상을 드러내는 경우가 많았다. 예컨대 텐은 문학을 결정하는 요소로서 종족, 환경, 시대를 들고 있는데 이 관점이 일정하게 사실주의 이론에 원용된다. 즉 텐은 문학이 사회의 풍속을 그려야 한다는 관점을 제시했다. 종래 자연의 모방을 주장하던 데서 사회 현실의 풍속도를 그리는 방향으로의 전환은 프랑스의 발자크가 당대 역사의 서기이고자 한 사실에서 뚜렷이 드러난다. 이후 엥겔스는 사실주의가 세부적인 장면을 진실되게 묘사하는 외에 '전형적인 상황에서 전형적인 인물을 재현하는 문학'이라는 이론을 선보였다. 이는 사실주의가 단순히 세부적인 사실을 충실하게 묘사하는 문학이 아니라 사회의 핵심적인 문제의 전형적인 양상을 재현하는 문학이 되어야 한다는 당위적인 명제를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4. 사실주의 문학의 전개
(1) 프랑스의 사실주의
고전주의가 극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낭만주의가 시에서 가장 뚜렷한 흔적을 남기고 있는 데 비해, 사실주의는 소설에서 꽃을 피운다. 소설은 프랑스에서도 계몽주의 시대에 아베 프레보 같은 작가의 작품에서 이미 사실주의적 양상을 지니게 되지만 18세기에 개인의 심리와 가정 생활에 대한 세밀한 묘사를 보인 리차드슨이 소설이 큰 영향을 끼친 이후 새로운 징조를 보이기 시작한다. 특히 영국의 역사 소설가 월터 스코트의 방법을 현재의 역사에 적용한 발자크의 방법은 사회를 움직이는 인간의 심리에 대한 탐구와 함께 사회를 전체로서 파악하는 방법을 개척하여 사실주의의 전형적인 수법을 보여 주었다. 그는 '인간 희극'을 비롯한 여러 소설에서 프랑스의 풍속을 묘사했을 뿐 아니라 인간의 욕망과 내밀한 심리가 벌이는 인간 드라마를 재현하고자 하였다. 그는 다양한 소재를 수집하고, 다채로운 장면을 제공하며, 개인들에게서 재현되는 사회 집단들의 동향을 통해 현실을 파악하고자 했다. 발자크와 함께 창작 활동을 한 스탕달은 등장 인물의 심리 분석에 관심을 쏟고 그들을 움직이는 원동력이 어디에 있는지를 섬세하게 통찰하였다. 이후 프랑스의 사실주의는 플로베르와 같은 작가에 의해 묘사의 문학으로 변해 가면서 자연주의라는 상이한 문학 세계를 연다.
(2) 영국의 사실주의
경험주의의 전통이 깊은 영국은 리차드슨, 필딩 등이 개척한 꼼꼼한 사실 묘사의 전통과 역사를 총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하는 월터 스코트의 전통을 지니고 있었다. 이 전통을 이으면서 19세기에는 디킨즈, 새커리 등이 산업 혁명을 가장 먼저 성취하여 근대 사회의 면모를 일찍이 갖추고 있었던 영국의 현실을 제재로 한 이야기를 펼쳐 보여 주고 있다. 19세기 후반에 하디는 사회의 밑바닥에 깔린 서민 생활의 비참성과 애감을 깊이 있게 묘사하였다.
(3) 독일의 사실주의
독일에서는 1830년 무렵에야 시민 계급 활동이 두드러지고 정치 참여를 위한 움직임도 구체화된다. 또한 경제적으로도 기계공업이 새로 발흥할 기운을 보이고 있었다. 이런 가운데 쿠츠코의 경향 소설, 헤벨의 사실주의 희곡 등이 발표된다. 이밖에 켈러, 라베, 마이어 등이 사회적 변동이 격심해지는 독일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4) 러시아의 사실주의
프랑스의 사실주의를 계승한 것은 영국이나 독일이 아니라 러시아였다. 러시아 문학이라고 하면 사실주의를 연상하리만큼 1930년대부터 볼세비키 혁명 이후에 이르기까지 사실주의가 주류를 이루어 왔다. 유럽의 사실주의가 사회 현실의 묘사에 치중한 데 비해 러시아의 사실주의는 명석한 투시력과 영원한 환상을 지니고 있다. 대표적 작가로는 '검찰관', '죽은 농노', 등을 지은 고골리는 신비적 사실주의의 정수를 보여 준다. 또 '가난한 사람들', '이중 인격',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를 지은 톨스토이 등도 대표적인 사실주의 작가였다. 이밖에 평론가인 벨린스키가 사실주의를 이론적으로도 해명하여 문학 창작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었다. 이처럼 러시아가 사실주의 문학에서 두각을 나타낼 수 있었던 배경은 봉건적인 차르체제가 붕괴할 위험에 처해 있었고 서구적인 교육을 받은 인텔리겐치아들이 사회의 불만 세력으로 활동하고 있어 사회적 불안 요소가 팽배한 데서 찾을 수 있다.
5. 사실주의와 자연주의
(1) 자연주의의 개념
철학에서는 자연 과학적 세계관에 입각하여 물질을 유일한 존재라고 보는 실재론을 자연주의라고 한다. 문학에서는 사실주의(寫實主義)의 뒤를 이어 실증주의(實證主義) 사상을 배경으로 예술 행위의 기본이 되는 제 1원리를 자연이라 보고, 창작 활동의 근거를 자연에 두어야 한다고 주장한 문예 사조를 말한다. 또한 1850년대의 사실주의가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묘사하고 제시하고자 한 것이라면,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대상을 자연 과학자 또는 박물학자와 같은 눈으로 분석, 관찰하고 검토하고자 한 문예 사조를 가리킨다.
(2) 사실주의와 자연주의
발자크, 스탕달을 사실주의 작가라고 하는 데 비해 졸라, 모파상, 콩쿠르 형제를 자연주의 작가라고 한다. 전자가 현실을 세부적인 국면에서 뿐만이 아니라 전체 사회와의 관련에서 파악하고자 한 것에 비해 후자는 전자의 방법을 발전시키려는 의미에서 자연 과학이나 싫증주의 철학의 방법을 문학에 도입하였다. 플로베르의 문학은 사실주의와 자연주의의 과도기적 양상을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이 두 사조는 통상 1870년을 고비로 앞선 시기의 문학을 사실주의, 그 이후의 문학을 자연주의라고 분리하기도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쉽게 구별되지 않는다. 관점에 따라서는 사실주의를 자연주의 안에 넣기도 하고, 자연주의를 사실주의 안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굳이 구분한다면 사실주의는 '인간 및 사회의 여러 현상에 대한 정확하고 완전하고 진지한 재현'을 특징으로 하면서 현실의 전체적인 방향성에 대한 깊이 있는 파악을 중요한 요건으로 하고 '자연주의'는 '사실주의'를 논리적으로 발전시키려 한 것으로서 '과학적 방법의 결정론을 채택하여 인생에 대한 해부와 분석'을 특징으로 한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현재에는 대체로 '사실주의'에 대한 비난의 뜻으로는 '자연주의', 찬사의 뜻으로는 '사실주의'라는 말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