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사불급설(駟不及舌)의 유래

by 송화은율
반응형

 

사불급설(駟不及舌) // 한 번 내뱉은 말은 네 마리가 끄는 빠른 마차로도  라잡지 못한다는 뜻으로, ‘말을 삼가야 한다는 말. 出典論語 顔淵篇

 

자공(子貢)을 보고 극자성(棘子成)이 물었다.

 

君子는 그 바탕만 있으면 되지 어찌해서 문()이 필요합니까?”

 

이 말을 듣고 자공은 이렇게 말했다.

 

안타깝다. 그대의 말은 군자답지만 사()도 혀[]에 미치지 못한다. ()이 질()과 같고 질이 문과 같다면, 호랑이와 표범의 가죽이나 개와 양의 가죽이 같다는 말인가?”

 

惜乎夫子之說 君子也 駟不及舌 文猶質也 質猶文也 虎豹之鞹猶犬羊之鞹.

 

나라 때의 명재상인 풍도(馮道)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입은 화의 문이요, 혀는 몸을 베는 칼이다.

 

口是禍之門 舌是斬自刀.

 

明心寶鑑에는 다음과 같은 말이 실려 있다.

 

입은 사람을 상하게 하는 도끼요, 말은 혀를 베는 칼이니, 입을 막고 혀를 깊이 감추면, 몸이 어느 곳에 있으나 편안할 것이다.”

 

口是傷人斧 言是割舌刀 閉口深藏舌 安身處處牢.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