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빙도자전(氷道者傳)

by 송화은율
반응형

빙도자전(氷道者傳)

아비는 현영(玄英)이고 어미는 청녀(靑女)인데 빙도자는 어미가 꿈에 서릿바람을 보고 , 임신하여 열달 만에 태어났다. 온몸이 투명하고, 체질은 쇠처럼 단단하였으며, 청결한 의지나 냉철한 얼굴 등이 범하기 어려웠다. 무의자(지은이 호)가 기특히 여겨 천거하여 중으로 삼고 빙도자라 불렀다.

문답식으로 얼음의 청결함을 선리의 사실과 비유하면서

내 마음은 가을 달 같아서

푸른 못에 맑게 비친다.

어떤 물건이 이와 견줄 수 있으랴

나에게 무슨 말을 하게 하랴

吾心似秋月 오심사추월

碧潭淸皎潔 벽담청교결

無物堪比論 무물감비론

敎我如何說 교아여하설

라는 시를 읊었다. 이는 선의 세계를 말로 표현할 수 없음을 암유(暗喩)하고 있다. 먹지 않아도 배고프지 않으며 목욕을 하지 않아도 때묻지 않는다고 얼음의 속성을 말하면서, 빙도자(氷道者)는 죽음에 대한 유언을 한다. 내가 죽거든 화장해서 사리를 얻는다 하여 사람들을 현혹시키지 말고 고향에 묻어달라 하면서

온몸이 어둡지 않은 신령의 빛이요

피부를 뚫는 투명은 숨김이 없으려고

갑자기 물로 변하는 것 의아해 하지 말 게

무상(無常)을 보이는 것에 진상(眞常)이 있는 법일세

라는 게송(偈頌)을 읊었다.

끝으로 작자는 찬 한 편과 송(頌) 두수를 지었다.

요점 정리

연대 : 고려 중기

작자 : 혜심

형식 : 가전체

성격 : 불교적, 교훈적

주제 : 빙도자의 일대기

내용 연구

이해와 감상

고려 중기 혜심이 얼음을 의인화하여 지은 가전체 작품으로 1940년 월정사에서 간행한 '진각국사어록'의 부록에 권상록의 수집으로 '죽존자전'과 함께 수록되어 있다. 얼음의 청정한 기상을 빌려 수선하는 사람들에게 부처의 도를 깨닫게 하려는 의도에서 지어졌다. 창작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죽존자전'에서 기축년(1229)에 찬시를 짓는다 하였으며, 작품 구성이 '죽존자전'과 거의 같다는 점으로 미루어볼 때 이 작품도 '죽존자전'과 거의 같은 시기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끝으로 작자는 찬 한편과 송 두수를 지었으니, 단순한 설화적 가전문학으로 구성한 것이 아니라, 시문학의 차원으로까지 격상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상·하권의 시집까지 남긴 작자로서 시문학에 더 접근하려는 자세로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풍자성을 초월하여 선시에서 보는 오도의 경지까지 의도한 것으로 해석된다.

심화 자료

빙도자전

 

고려 후기에 혜심(慧諶)이 지은 가전체 작품. 1940년 월정사에서 간행한 ≪진각국사어록 眞覺國師語錄≫의 부록에 권상로(權相老)의 수집으로 〈죽존자전〉과 함께 수록되어 있다.

얼음을 의인화한 작품으로, 얼음의 청정한 기상을 빌려 수선(修禪)하는 사람들에게 부처의 도를 깨닫게 하려는 의도에서 지어졌다. 창작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죽존자전〉에서 기축년(己丑年, 1229)에 찬시를 짓는다 하였으며, 작품구성이 〈죽존자전〉과 거의 같다는 점으로 미루어볼 때 이 작품도 〈죽존자전〉과 거의 같은 시기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빙도자전〉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아비는 현영(玄英)이고 어미는 청녀(靑女)인 빙도자는 어미가 꿈에 서릿바람을 보고, 임신하여 열달 만에 태어났다.

온몸이 투명하고, 체질은 쇠처럼 단단하였으며, 청결한 의지나 냉철한 얼굴 등이 범하기 어려웠다. 무의자(無衣子 : 지은이의 호)가 기특히 여겨 천거하여 중으로 삼고 빙도자라 불렀다.

얼음의 청결함을 선리(禪理)의 사실과 비유하면서 “내 마음은 가을 달 같아서/푸른 못에 맑게 비친다/어떤 물건이 이와 견줄 수 있으랴/나에게 무슨 말을 하게 하랴(吾心似秋月 碧潭淸皎潔 無物堪比倫 敎我如何說).”라는 시를 문답식으로 읊었다. 이 시는 선(禪)의 세계를 말로 표현할 수 없음을 암유(暗喩)하고 있다.

먹지 않아도 배고프지 않으며 목욕을 하지 않아도 때묻지 않는다고 얼음의 속성을 말하면서, 빙도자는 내가 죽거든 화장해서 사리를 얻는다 하여 사람들을 현혹시키지 말고 고향에 묻어 달라고 죽음에 대한 유언을 한다.

그리고 나서 “온몸이 어둡지 않은 신령의 빛이요/피부를 뚫는 투명은 숨김이 없으려고/갑자기 물로 변하는 것을 의아해 하지 말게/무상을 보이는 곳에 진상이 있는 법일세(通身不昧箇靈光 透身穿皮絶諱藏 莫訝須馬成水去 示無常處是眞常).”라는 게송(偈頌)을 읊었다.

혜심은 〈빙도자전〉에 찬(贊) 한편과 송(頌) 두수를 지었다. 이 점은 〈빙도자전〉을 단순한 설화적 가전문학으로 구성한 것이 아니라, 시문학의 차원으로까지 격상시키고 있는 것이다.

상·하권의 시집까지 남긴 작자로서 〈빙도자전〉을 통하여 시문학에 더 접근하려는 자세로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이 작품은 단순한 풍자성을 초월하여 선시(禪詩)에서 보는 오도(悟道)의 경지까지 의도한 것으로도 해석된다.

≪참고문헌≫ 眞覺國師語錄(月精寺, 1940), 無衣子詩集(韓國佛敎全書 6, 東國大學校韓國佛敎全書刊行委員會編, 1984), 韓國의 禪詩(李種燦, 二友出版社, 1985), 高麗時代 禪의 文學的位置(李鍾燦, 李丙疇先生周甲紀念論叢, 1982).(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