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빈상설

by 송화은율
반응형

빈상설

 

 

 요점 정리

 연대 : 1907년 '제국신문'에 연재되다가 1908년에 김상만(金相萬) 발행
 작자 : 이해조
 형식 : 신소설, 계몽소설
 성격 : 계몽적
 주제 : 작첩(作妾)제도의 모순 비판과 사회적인 폐단을 비판하고 신학문의 필요성을 강조


 줄거리 : 주인공 서정길은 뚜쟁이인 화순댁의 소개로 기생인 평양댁을 첩으로 맞아들인다. 평양댁은 원래 간악한 여자인데, 서정길의 첩이 되어서도 자기의 행실을 옳게 갖지 못하고 본처인 이씨 부인을 몰아내기에까지 이른다. 뿐만 아니라 북단이를 학대해서 죽이고는 하인 돌이를 시켜 남모르게 매장해 버린다. 그러고는 이씨 부인을 황은율이란 불량배에게 팔아 버릴 흉계까지 꾸민다. 그러나 비밀 계획을 엿들은 하인 거북이는 이씨 부인에게 귀뜸해 준다. 그러자 이씨 부인과 쌍둥이인 이승학이 꾀를 내어 이씨 부인과 옷을 바꿔 입고, 이씨 부인은 남복으로 가장시켜 제주로 보내고 자신은 뚜쟁이인 화순댁의 조카 옥희의 집으로 간다. 이씨 부인으로 가장한 이승학은 거기서 황가를 속여 옥희와 한방에서 지내며 자기의 정체를 밝히고 장래를 약속한다. 그러고 난 뒤 이승학은 다시 돌이를 설득시켜 평안댁을 당국에 고발한다. 드디어 일가는 화목한 가정을 꾸미게 된다.

 

 

 이해와 감상

이해조 ( 李海朝 )가 지은 신소설. 1907년 ≪제국신문≫에 연재되다가 1908년에 김상만(金相萬) 발행, 변영헌(卞榮憲) 교열로 광학서포(廣學書鋪)에서 간행하였다. 처첩의 갈등이 주요 줄거리로 되어 있는 소설이다.

 

서 판서의 아들인 주인공 정길은 기생 평양집을 들어 앉히고 본처 이씨 부인을 축출한다.

그 뒤 간악한 평양집은 뚜쟁이를 통하여 이씨 부인을 황은율에게 팔아 넘길 흉계까지 꾸몄으나, 이씨 부인의 쌍둥이 남동생 승학이 변복하여 위기를 넘긴다. 이승학은 황가를 속여 뚜쟁이의 조카 옥희와 한방에서 지낸 뒤 정체를 밝히고 장래까지 약속한 다음 그곳을 떠난다.

 

그 뒤 승학과 하인 돌이에 의하여 평양집과 하녀 금분이의 죄가 탄로 나자 그들은 법의 처단을 받게 된다. 한편, 이 부인의 아버지 이 승지가 귀양살이에서 풀려나며, 아버지를 찾아가던 이 부인도 곤경에서 벗어나 온 집안이 활기를 찾게 된다. 또한, 승학은 옥희와 혼인을 하고, 정길은 회개하여 중국 상해로 가서 공부하게 된다.

 

이 작품은 축첩 제도의 악폐와 그에 따르는 악랄한 불법적 행위를 비판, 규탄하여 법의 심판을 받게 하는 일종의 교훈소설이면서, 결국에는 주인공 정길이 외국 유학길에 오르는 것으로 마무리지어 신교육의 필요성을 부르짖던 시대적 흐름에 동조하고 있다. 이 가운데에는 계급타파 의식이나 신결혼관·신교육관 등의 개화 의지가 표출되어 있어 새로운 시대의식을 보여주는 측면도 있다.

 

그러나 결국 근본 줄거리를 처첩 갈등에 두고 있으며 결말의 외국 유학 동기가 그리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고 있다는 점 등, 전통적인 가정 비극 유형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 작품은 고전소설적인 처첩간의 갈등에 혼인제도의 계급성을 지양한 평민 의식 및 신학문 고취를 다소 가미한 전형적인 신소설이라 볼 수 있다.

 

≪참고문헌≫ 新小說의 文學史的 性格(趙東一, 서울大學校出版部, 1973), 韓國開化期小說의 史的硏究(宋敏鎬, 一志社, 1975), 新小說硏究(全光鏞, 새문社, 1986). (자료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