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비오는 날 / 줄거리 및 해설 / 손창섭

by 송화은율
반응형

비오는 날( 1953, <문예>)

 

 

작가:손창섭(孫昌涉, 1922 - )

평양 출생. 만주, 일본 등지를 전전하며 수학함. 1952공휴일<문예>의 추천을 받아 등단. 1973년 일본에 건너가 귀화함. 한국 전쟁 후, 1950년대의 음울한 분위기와 불구적 인간형을 그려내어 전후의 우리 현실을 반영함. 초기의 단편들은 심신 장애자가 주인공이고, 후기 단편들은 비정상적인 삶을 영위하는 인간들이 주인공이다. 그 자신의 표현에 의하면, 그는 소설에 기성 사회에 대한 의 반발을 그리려고 하다가 보니 자연 냉소와 자조, 실의와 체념, 허위와 불신, 질서의 상실, 생활의 분열 등이 나타나게 된다고 하였다. 1955혈서로 현대문학 신인상을 수상, 1959잉여인간으로 동인문학상을 수상함. 대표작으로는 미해결의 장(1955), 낙서족(1959), 인간동물원초(1956) 등이 있다.

 

등장인물

정원구 : 화자, 동욱의 친구

김동욱 : 전쟁을 피해 부산으로 내려와 미군을 상대로 초상화를 주문 받아 소개하며 살아가는 무기력한 인물

김동옥 : 동욱의 누이동생. 다리 불구자, 오빠가 주선해 오는 사람의 초상화를 그리는 일로 살아감.

 

 

줄거리

 

이렇게 비내리는 날이면 원구의 마음은 감당할 수 없도록 무거워지는 것이었다.그것은 동욱 남매의 음산한 생활 풍경이 그의 뇌리를 영사막처럼 흘러가기 때문이었다. 빗소리를 들을 때마다 원구는 으레 동욱과 그의 동욱과 그의 여동생 동옥이 생각나는 것이었다. 그들의 어두운 방에 쓰러져 가는 목조 건물이 비의 장막 저편에 우울하게 떠오르는 것이었다. 비록 맑은 날일지라도 동욱의 오뉘의 생활을생각하면, 원구의 귀에는 빗소리가 설레이고 그 마음 구석에는 빗물이 흐르는 것같았다. 원구의 머리속에 떠오른 동욱과 동옥은 그 모양으로 언제나 비에 젖어 있는 인생들이었다.

 

동욱은 현재 누이동생 동옥과 1.4 후퇴 때 월남해서 살고 있다. 소학교 시절부터 친구인 원구 역시 월남해서 행상을 하며 어렵게 살고 있으나 오히려 친구인 동욱과 동옥의 생활을 걱정한다. 피난지 부산에서 원구는 리어카에 잡화를 팔며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동옥은 어려서부터 그림을 좋아하는 감수성이 예민한 인물로 왼쪽 다리가 불편한 지체 부자유자이다. 그의 오빠인 동욱은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하였으며 착실한 교인으로 목사 지망생이었다.

 

그러나 6.25 라는 전쟁은 그들의 운명을 바꾸어 놓았다. 월남 이후 동욱은 미군 부대를 전전하면서 초상화를 주문 받고 동옥은 집에서 초상화를 그리면서 생계를 간신히 꾸려 나간다. 그들은 인가에서 외딴 곳, 황폐한 집에 사는데, 그들이 살고 있는 목조 건물조차 그들의 비참한 생활을 나타내고 있다. 동옥이 사람 많은 것을 싫어하기 때문에 그런 곳에 사는 것이다. 장마가 진 어느 날 원구가 동욱의 집을 찾아갔으나 동옥의 얼굴에서는 자조적인 웃음밖에 발견 할수 없었고, 오히려 냉담하게 대하는 것이다.

 

그래서 원구는 돌아오다가 동욱을 만나 다시 집으로 들어간다. 지붕은 비가 새어 방안에 양동이를 받쳐 놓았는데 빗물이 가득한 것을 버리려다 쏟고 말았다. 그때 물을 피하려 일어나는 동옥을 보고야 동옥이 다리 불구라는 것을 알았다. 그 후 비오는 날이면 자주 그 집을 방문하였는데, 점차 동옥이 원구를 대하는 태도가 좋아진다.

 

그러던 어느날 이후 동욱은 그의 유일한 생계인 초상화 작업마져 하지못하게 된다. 그래서 동옥이 너무 불안해 하니 자주 찾아와 위로해 주라는 부탁을 동욱이 원구에게 한다. 다시 비오는 날, 그들을 찾아가니, 동옥이 그동안 모아둔 돈을 빚낸 주인 노파가 도망가 버렸다고 한다. 그래서 동옥은 더욱 절망해 있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동욱과 동옥이 세들어 살던 집마져 주인이 몰래 팔고 도망가 버려 결국 그집에서 나오게 된다.

 

원구가 한달여 만에 그집을 방문했을때 이미 그들은 떠나고 없어 궁금해 한다. 아마도 동욱은 군대에 끌려가고- 그 당시는 검문해 증명이 없으면 군대에 끌려 가게 되어 있었다. - 동옥은 주인 녀석이 사창가에 팔아 먹은 것같다는 격분과 자책을 안고 돌아온다.

 

마음 속 한 구석을 의식하면서도 천근의 무게를 감당할 수 없어 그는 말없이 발길을 돌이키었다. 이놈 내가 동옥을 팔아먹었구나 하는 흥분한 소리가 까마득히 먼 곳에서 자기를 향하고 날아오는 것 같은 착각에 오한을 느끼며 원구는 호박 덩굴 우거진 밭두둑 길을 앓고난 사람모양 휘청거리는 다리로 걸어나가는 것이었다.

 

해설

이 작품의 배경은 부산이다. 부산은 한국전쟁 중에 고향을 떠나 남으로 내려온 사람들이 모여 살던 곳으로 절망적인 삶을 살아가는 비극적인 장소이다. 폐가와 장마라는 배경 또한 주제 의식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전쟁의 후유증으로 인하여 무기력한 삶을 살아가는 한 인간의 우울한 내면 심리를 다룬 전후문학. 사건의 직접 제시보다 어떤 사건에 의해 환기된 심경의 변화를 그리는 일이 앞서고, 객관적 인물 묘사보다 처음부터 작가에 의해 주관화된 냉소적인 관찰로 인물 묘사가 행해지는 특이한 소설양식을 갖고 있다. 주로 간접 화법에 의해 대화가 처리되며, 부사어 및 것이다가 빈번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이를 알 수 있다. 아무튼 이 작품은 6.25 라는 전쟁이 개인을 어떻게 황폐화 시킬수 있었던 지를 암시적으로 보여준다. 이범선의 오발탄도 이와 비슷한 분위기를 보여 준다.

 

(주제) 전쟁이 가져다준 인간의 무기력한 삶과 허무 의식

극한 상황에 처한 인간의 무기력한 삶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성격) 허무적

(갈래) 단편 소설, 전후 소설

(구성) 단순 구성, 평면적 구성

(문체) 간결체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