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붉은 산 / 김동인 / 해설

by 송화은율
반응형

붉은 산 / 김동인

길잡이  
 
     

1932 4 <삼천리> 25호에 발표. 어떤 의사의 수기(手記)라는 부제(副題)를 갖고 있다. 이 작품은 비도덕적이고 몰염치한 인물인 까지도 숭고한 민족 정신을 구현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특히, 그가 죽어 가면서 붉은 산 흰 옷이 보고 싶다는 말을 남기는 대목은 주제를 극명히 제시한다.

이해와 감상(1)  
 
     

󰡔붉은 산󰡕은 환경에 굴복하지 않으려는 등장 인물들의 민족주의적 의식에 바탕을 둔 작품이다. 이 작품은 부제(副題)에서 알 수 있듯이 어떤 의사의 목격담을 적은 수기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이런 방법은 이 작품의 사실성 확보에 매우 효과적으로 보인다.

 

일제 강점기 만주로 이민 가서 살던 우리 민족이 이민족에게 격은 수난사를 삵이라는 한 인물의 특이한 삶을 통해 구체화하면서, 조국 독립의 절실함을 표출하고 있다. 일인칭 관찰자 시점의 주체인 나(소설 속에서는 ’)는 의사 신분으로 관찰 대상인 정익호()의 기이 한 행동을 추적하여 마침내 그 행동의 이면에 깃든 민족정신을 밝혀주는, 소설 전개상의 중요 한 계기적 인물이 되고 있다. 김동인으로서는 유난히 역사 의식을 내세우고 있는 작품이다.

 

전체 소설의 약 절반 분량을 ’(정인호)의 인간 됨됨이와 그에 대한 타인들의 태도 서술에 할애하고 있는데, 이것은 작품 후반부에서 이 보여 준 돌발적이고 충격적인 사건의 의미를 더욱 뚜렷이 부각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 주제 제시의 효과를 노린 것이다. 인간다운 면모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이 아무도 엄두를 못 내는 일을 해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어떤 인간에게나 마음속 깊은 곳에는 순수하고 숭고한 인간애의 단면이 들어 있다는 인간 신뢰의 표현이며, 이역 땅에서 함께 불행하게 살아가는 동족에 대한 동포애, 나아가서는 떠나온 조국 산하와 민족에 대한 애정과 향수로 발전되고 있다.

 

제목 붉은 산 흰 옷과 함께 조국애, 또는 조국 산하와 민족에 대한 향수를 상징하는 것으로, 이 작품의 정신적 배경이자 제재이기도 하다. , 삵은 고국을 떠나 유랑하는 우리 민족을 상징하고 있으며 송 첨지의 죽음은 만주에 흘러 들어가 사는 우리 동포의 비극을 상징한다. 삯은 마음 속으로만 비분강개할 뿐인 백의 민족의 무기력함을 박차고 만주인을 향해 복수를 꾀한다. 삵의 임종시 하는 말에서 붉 은 산과 흰옷 입음은 우리 국토와 겨레를 그리는 것으로 조국에 대한 애정과 향수를 나타낸다. 다만, 마지막 의 죽음 부분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감동적이나, 너무 낭만적으로 대화를 처리한 듯하여 감정을 절제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이해와 감상(2)  
 
     

이 작품은 환경에 굴복하지 않으려는 등장 인물들의 반격에 심각한 의미를 부여한 작품 이다. 일제 강점기 만주로 이민 가서 살던 우리 민족이 이민족에게 격은 수난사를 삵이라는 한 인물의 특이한 삶을 통해 구체화하면서, 조국 독립의 절실함을 표출하고 있다. 1인칭 관찰자 시점의 주체인 나(소설속에서는 여)는 의사 신분으로 관찰 대상인 정익호()의 기이한 행동을 추적하여 마침내 그 행동의 이면에 깃든 민족정신을 밝혀주는, 소설 전개상의 중요 한 계기적 인물이 되고 있다.김동인으로서는 유난히 역사 의식을 내세우고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삯은 고국을 떠나 유랑하는 우리 민족을 상징하고 있으며 송 첨지의 죽음은 만 주에 흘러들어가 사는 우리 동포의 비극을 상징한다. 삯은 마음 속으로만 비분강개할 뿐인 백의 민족의 무기력함을 박차고 만주인을 향해 복수를 꾀한다. 삯의 임종시 하는 말에서 붉은 산과 흰옷 입은은 우리 국토와 겨레를 그리는 것으로 조국에 대한 애정과 향수를 나타낸다.

핵심 정리  
 
     

갈래 : 단편소설 배경 : 식민지 시대의 만주 ××

표현 : 사실주의적 기법 시점 : 1인칭 관찰자 시점

경향 : 민족주의적 경향.

(김동인의 다른 작품과는 달리 개인적인 면이 아니라 민족을 위한 희생까지 의미 확대 되고 있다.)

주제 :  식민지 시대 만주 이주민들의 고통스런 생활상과 한 떠돌이 인간의 민족애.

 조국에 대한 그리움과 사랑.

(어떤 인간이라도 자기의 조국에 대한 사랑을 가지고 있으며 같은 민족에 대한 사랑을 가지고 있다.)

 일제 치하 만주에서 고통받는 우리 민족의 생활상

출전 : [삼천리](1932)

등장 인물  
 
     

() : 관찰자적 서술자. 의사. 의학 연구차 만주를 순례하다 가난한 소작인이 모여 사는 조선인 마을에 들려 삵의 행위를 지켜 보게 되고 삵에게 마음속으로 존경 받은 인물

정익호 :‘이라는 별명으로 불리우는, 투전이 일쑤이며 싸움 잘하고 트집 잘 잡고 색시에게 잘 덤벼드는

깡패의 일종으로 주위사람에게 두려움을 주며 사람으로서 대접을 받지 못하는 사람.

매우 교활하고 패륜아적인 떠돌이. 그러나 마지막에는 감동적인 민족애를 보여 줌.

송 첨지 : 만주에서 소작하는 조선 사람.

 

구 성  
 
     

도입 : ‘()’가 만주 ××촌에서 겪은 일을 적음.

발단 : 정익호(‘’) ××촌에 나타남.

전개 : 마을 사람들이 을 싫어하여 내쫓고자 하나 어찌하지 못함.

위기 : 지주에게 갔던 송 첨지가 죽어서 돌아옴.

절정 : 지주에게 항변하러 갔던 이 피투성이가 되어 돌아옴.

 : 애국가를 부르는 가운데 이 죽어감.

 

줄거리  
 
     

의사인 ()’가 만주를 돌아다니다가 들른 ××촌에서 겪은 일이다.

 

여가 만주를 여행하다 조그마한 조선인 촌을 들리게 된다. 그 촌에는 <>이라는 별명을 가진 정의호라는 인물이 있었다. 외모도 험상 궂고 성격이 교활해 보이는 삵이 일년전 쯤에 이 마을을 찾아 들었다. 출신도 고향도 알 수 없는 그는 생김새나 행동 모두가 지극히 불량하고 난폭스러워 투전, 싸움, 칼질, 여자에게 달려들기 등을 잘 하여 사람들의 미움을 사게 되지만 봉변을 당할까봐 마을 사람 중 아무도 선뜻 나서지 못하고 그저 암종(癌種) 취급을 하며 피할 뿐이다. 그는 촌의 모든 집을 자기 집 드나들듯이 하며 살게 된다. 그러던 어느 날 송 첨지가 소출을 실고 만주국 지주에게 갔다가 소출이 적다는 이유로 두들겨 맞고 돌아와 죽게 된다. 마을 사람들은 흥분 하지만 앞장서서 지주에게 가는 사람은 없었다. 다음 날 삵이 동구 밖에서 피투성이가 되어 죽어가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가 달려가 정의호를 보았다. 정신을 차린 삵은 지주놈의 집에 갔었다고 말을 한다. 그리고 죽어 가며 붉은 산과 흰 옷이 보고 싶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힘을 혀 끝에 모아 붉은 산과 흰 옷이 보인다고 하면서 애국가를 불러 달라고 한다. 여와 둘러 섰던 다른 사람들의 입에서 애국가가 퍼져 나온다.

 

 생각해 봅시다

1. 이 작품에 '어떤 의사의 수기'라는 부재를 단 이유를 추정해 보자.

2. 이 작품은 짧은 문장들이 많이 쓰이고 있다. 이런 간결체가 거두는 효과를 생각해 보자.

 

 이것만은 꼭 알아야

1. '붉은 산' '흰 옷'이 상징하는 의미는?

 붉은 산 - 조국. 우리 나라, 흰 옷 - 동포, 민족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