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부정문

by 송화은율
반응형

 ’, ‘ 부정문

 

 부정문 : 주체(동작주) 의지에 의한 행동의 부정.

 

(1) 부정의 방법

1.1 서술어가 명사일 때 : ‘이다  ‘-/- 아니다.’

1.2 서술어가 동사형용사일 때 :

1.2.1 동사형용사 어간 + ‘-지 않다(아니하다)’

1.2.2 ‘(아니)’ + 동사형용사

 

(2) 긴 부정문과 짧은 부정문

1.1 긴 부정문 : 용언의 어간 + ‘-’ + ‘않다(아니하다)’

1.2 짧은 부정문 : ‘(아니)’ + 동사형용사

 

(3)‘ 부정문의 해석 - 중의적이라, 두 가지 이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나는 그를 안 때렸다.(나는 그를 때리지 않았다.)

다른 사람이 때렸다. 다른 사람을 때렸다. 좀 떼밀었을 뿐이다.

#의미를 명확히 하려면 보조사를 첨가할 것.(때리지 않았다.)

 

(4) ‘ 부정문의 제약

4.1 ‘체언 + 하다로 된 동사가 서술어로 쓰일 때는 체언 +  + 하다의 형태로 쓰 인다.

공부하다  공부 안 하다

4.2 서술어인 용언이 합성어파생어이면 대체로 짧은 부정문보다 긴 부정문이 어울린 .

?안 얕보다 ?안 숙녀답다 ?안 짓밟았다

4.3 ‘아름답다, 울퉁불퉁하다, 화려하다, 사랑스럽다, 좀스럽다, 출렁거리다처럼 음절이 길면 긴 부정문을 쓴다.

*안 아름답다

4.4 ‘견디다, 알다, 깨닫다처럼 의미의 충돌이 일어나는 동사에는 부정문이 쓰인 .

알지 못하다, *안 알다, *알지 않다

4.5 평서감탄의문문에만 쓰이고, 명령청유문에 쓸 수 없다.

 

󰊲  부정문 : 주체의 의지가 아닌, 그의 능력상 불가능하거나 또는 외부의 어떤 원인 때문에 그 행위가 일어나지 못하는 것을 표현할 때.

 

(1) 긴 부정문과 짧은 부정문

1.1 긴 부정문 : 동사의 어간 + ‘-’ + ‘못 하다

1.2 짧은 부정문 : ‘’ + 동사(서술어)

 

(2) ‘ 부정문의 제약

2.1 ‘체언 + 하다로 된 동사가 서술어로 쓰일 때는 체언 +  + 하다의 형태로 쓰 인다.

2.2 형용사에는 안 쓰는 것이 원칙이다. 󰃚*못 넓다

2.3 형용사에 쓰면, ‘기대에 미치지 못함을 아쉬워할 때이며 긴 부정문을 쓴다.

운동장이 넓지 못하다. 넉넉하다,우수하다,풍부하다

2.4 ‘고민하다, 노심초사하다, 걱정하다, 후회하다, 실패하다, 망하다, 잃다, 당하다, 변하 는 의미의 충돌 때문에  부정문을 쓴다.

2.5 의도목적을 뜻하는 어미와 함께 쓰지 못한다.

*못 가려고

2.6 평서감탄의문문에만 쓰고, 명령청유문에 쓸 수 없다.

 

(3) ‘ 부정문의 해석 : 중의적이다.

내가 철수를 못 만났다.(내가 철수를 만나지 못했다.)

내가 못 만난 사람은 철수다,철수를 만나지 못한 것은 나다,

내가 철수를 만나지만 못했을 뿐이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