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봉산탈춤 / 해설 및 구조, 이해와 감상

by 송화은율
반응형

. 봉산탈춤 제6과장 양반춤 마당에 대해서

갈래 및
성격
가면극, 민속극, 서민 문학, 종합 예술,
해학적이고 풍자적인 문학
표 현 과장, 익살, 패러디
배 경 시대적 배경 : 중세 근세 (18세기)
사회적 배경 : 신분 질서의 붕괴
공간적 배경 : 황해도 봉산 지방
의 의 한국의 독자적인 연극 미학을 보여주고 있으며, 조선 후기의 비판적 민중 의식을 대변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주 제 말뚝이의 5가지 재담 양반의 어리석음에 대한 풍자
양반들의 글자놀이 양반의 허세와 위선에 대한 풍자
취발이 잡아들이기 양반의 부정부패(비리)에 대한 풍자

 

. ‘봉산탈춤의 내용 구조

인물의 등장 벙거지를 쓰고 채찍을 든 말뚝이
비정상적인 모습을 한 양반들
양반의 희화화
양반에 대한
재담과 희롱
양반을 희롱하는 말뚝이
양반들의 허세를 비판함.
취발이를 잡아들이는
양반들
취발이를 잡아들이라고 명령함.
말뚝이가 전령을 요구함.
취발이를 통해 양반을 희롱하는 말뚝이
인물의 퇴장 일제히 어울려서 춤추다가 퇴장함.

. ‘봉산 탈춤의 전체 구성

1과장(사상좌춤 마당) 사방신에 대한 배례를 포함한 놀이를 시작하는 의식무
2과장(팔목중춤 마당) 1(팔목중춤 놀이) : 팔목중들이 차례로 파계하는 춤놀이 장면
2(법고놀이) : 목중들의 법고놀이 장면
3과장(사당춤 마당) 사당과 거사들이 서도소리를 합창하며 한바탕 노는 마당
4과장(노장춤 마당) 1(노장춤 놀이) : 산 속에서 도를 닦던 노장이 먹중들에 이끌려 속세에 내려와 소무의 요염한 교태와 능란한 유혹에 빠져든다.
2(신장수춤 놀이) : 노장이 소무와 자신의 신발을 사고는 신값도 안 주고 신장수와 원숭이를 쫓아내는 마당
3(취발이춤 놀이) : 젊은 취발이가 노장을 내쫓고 소무를 차지하여 아이를 얻는다.
5과장(사자춤 마당) 사자가 노장을 파계시킨 먹중들을 벌하러 왔다가 이들을 용서하고 한바탕 놀다간다.
6과장(양반춤 마당) 양반집의 머슴인 말뚝이가 양반 형제들을 희롱하는 장면
7과장(미얄춤 마당) 영감과 미얄할멈과 영감의 첩 덜머리집과의 삼각관계를 그리다가 영감에게 맞아 죽은 미얄할멈의 원혼을 달래는 무당굿으로 끝남.

 

. 양반춤 과장의 대사 구조

양반의 위엄 말뚝이의 조롱 양반의 호령(질책) 말뚝이의 변명 양반의 안심

. 등장 인물의 성격

말뚝이 봉산탈춤의 말뚝이는 양반을 모시는 하인이다. 그러나 말뚝이는 양반의 무능력을 비판하고 그들의 비현실적 세계관을 조롱한다. 말뚝이는 시대적 변화에 편승하여, 양반층의 권위를 부정하고 기회만 있으면 양반을 웃음거리로 만드는 성숙한 서민의식의 대변자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말뚝이의 성격은 우리 나라 가면극에 공통으로 표현되고 있으며, 이러한 인물은 판소리에도 있지만 판소리보다는 탈춤에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또한 춘향전의 방자와도 통하는 면이 있어, 이런 일련의 인물을 방자형 인물이라고도 한다.
양반들 낡은 권위에 집착하고 시대적 변화를 감지하지 못함으로써, 서민들로부터 권위를 인정받지 못하는 우스꽝스런 존재이다. 말뚝이와의 관계 속에서, 현재와 같은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을 고수하려고 하는 한, 양반들은 서민들의 웃음거리로 전락할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 봉산탈춤의 연극적 특징

(1) 공연 장소와 극중 장소가 엄격하게 나뉘지 않고 융통성 있게 활용된다는점 탈놀이가 벌어지는 실제의 공간이 공연 장소요, 작품 속의 상상적공간이 극중 장소이다. 근대 사실주의 연극에서는 이 두 가지가 엄격하게 구별되지만, 가면극에서는 필요에 따라 일치하기도 하고 분리되기도 한다.

(2) 악공 및 관중의 극중 현실 개입 극중 장소와 공연 장소가 동일시될 때 주로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가면극에서는 음악 반주를 하는 악사(樂士)와 청중이 연극의 진행에 참여할 수 있는 여지가 마련되어 있다.

(3) 희극적 과장과 서민적 표현의 활용 가면극은 인물의 형상과 대사 및 동작 표현이 뚜렷하고 희극적 과장을 많이 사용한다. 또한 언어와 동작에 있어서도 서민적 활력과 소박함이 풍부하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