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산탈춤 / 해설 및 구조, 이해와 감상
by 송화은율반응형
가. 봉산탈춤 제6과장 ‘양반춤 마당’에 대해서
갈래 및 성격 |
가면극, 민속극, 서민 문학, 종합 예술, 해학적이고 풍자적인 문학 |
표 현 | 과장, 익살, 패러디 |
배 경 | ‧시대적 배경 : 중세 근세 (18세기) ‧사회적 배경 : 신분 질서의 붕괴 ‧공간적 배경 : 황해도 봉산 지방 |
의 의 | 한국의 독자적인 연극 미학을 보여주고 있으며, 조선 후기의 비판적 민중 의식을 대변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
주 제 | ① 말뚝이의 5가지 재담 → 양반의 어리석음에 대한 풍자 ② 양반들의 글자놀이 → 양반의 허세와 위선에 대한 풍자 ③ 취발이 잡아들이기 → 양반의 부정부패(비리)에 대한 풍자 |
나. ‘봉산탈춤’의 내용 구조
인물의 등장 | ◦벙거지를 쓰고 채찍을 든 말뚝이 ◦비정상적인 모습을 한 양반들 ◦양반의 희화화 |
양반에 대한 재담과 희롱 |
◦양반을 희롱하는 말뚝이 ◦양반들의 허세를 비판함. |
취발이를 잡아들이는 양반들 |
◦취발이를 잡아들이라고 명령함. ◦말뚝이가 전령을 요구함. ◦취발이를 통해 양반을 희롱하는 말뚝이 |
인물의 퇴장 | ◦일제히 어울려서 춤추다가 퇴장함. |
다. ‘봉산 탈춤’의 전체 구성
과 장 | 내 용 |
1과장(사상좌춤 마당) | 사방신에 대한 배례를 포함한 놀이를 시작하는 의식무 |
2과장(팔목중춤 마당) | ◦제1경(팔목중춤 놀이) : 팔목중들이 차례로 파계하는 춤놀이 장면 ◦제2경(법고놀이) : 목중들의 법고놀이 장면 |
3과장(사당춤 마당) | 사당과 거사들이 서도소리를 합창하며 한바탕 노는 마당 |
4과장(노장춤 마당) | ◦제1경(노장춤 놀이) : 산 속에서 도를 닦던 노장이 먹중들에 이끌려 속세에 내려와 소무의 요염한 교태와 능란한 유혹에 빠져든다. ◦제2경(신장수춤 놀이) : 노장이 소무와 자신의 신발을 사고는 신값도 안 주고 신장수와 원숭이를 쫓아내는 마당 ◦제3경(취발이춤 놀이) : 젊은 취발이가 노장을 내쫓고 소무를 차지하여 아이를 얻는다. |
5과장(사자춤 마당) | 사자가 노장을 파계시킨 먹중들을 벌하러 왔다가 이들을 용서하고 한바탕 놀다간다. |
6과장(양반춤 마당) | 양반집의 머슴인 말뚝이가 양반 형제들을 희롱하는 장면 |
7과장(미얄춤 마당) | 영감과 미얄할멈과 영감의 첩 덜머리집과의 삼각관계를 그리다가 영감에게 맞아 죽은 미얄할멈의 원혼을 달래는 무당굿으로 끝남. |
라. 양반춤 과장의 대사 구조
양반의 위엄 → 말뚝이의 조롱 → 양반의 호령(질책) → 말뚝이의 변명 → 양반의 안심 |
마. 등장 인물의 성격
말뚝이 | 봉산탈춤의 말뚝이는 양반을 모시는 하인이다. 그러나 말뚝이는 양반의 무능력을 비판하고 그들의 비현실적 세계관을 조롱한다. 말뚝이는 시대적 변화에 편승하여, 양반층의 권위를 부정하고 기회만 있으면 양반을 웃음거리로 만드는 성숙한 서민의식의 대변자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말뚝이의 성격은 우리 나라 가면극에 공통으로 표현되고 있으며, 이러한 인물은 판소리에도 있지만 판소리보다는 탈춤에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또한 춘향전의 방자와도 통하는 면이 있어, 이런 일련의 인물을 ‘방자형 인물’이라고도 한다. |
양반들 | 낡은 권위에 집착하고 시대적 변화를 감지하지 못함으로써, 서민들로부터 권위를 인정받지 못하는 우스꽝스런 존재이다. 말뚝이와의 관계 속에서, 현재와 같은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을 고수하려고 하는 한, 양반들은 서민들의 웃음거리로 전락할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
바. 봉산탈춤의 연극적 특징
(1) 공연 장소와 극중 장소가 엄격하게 나뉘지 않고 융통성 있게 활용된다는점 → 탈놀이가 벌어지는 실제의 공간이 공연 장소요, 작품 속의 상상적공간이 극중 장소이다. 근대 사실주의 연극에서는 이 두 가지가 엄격하게 구별되지만, 가면극에서는 필요에 따라 일치하기도 하고 분리되기도 한다.
(2) 악공 및 관중의 극중 현실 개입 → 극중 장소와 공연 장소가 동일시될 때 주로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가면극에서는 음악 반주를 하는 악사(樂士)와 청중이 연극의 진행에 참여할 수 있는 여지가 마련되어 있다.
(3) 희극적 과장과 서민적 표현의 활용 → 가면극은 인물의 형상과 대사 및 동작 표현이 뚜렷하고 희극적 과장을 많이 사용한다. 또한 언어와 동작에 있어서도 서민적 활력과 소박함이 풍부하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