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병원(病院)- 윤동주

by 송화은율
반응형

() - 윤동주

 

 

 

살구나무 그늘로 얼굴을 가리고, 병원 뒤뜰에 누워, 젊은 여자가 흰 옷 아래로 하얀 다리를 드러내 놓고 일광욕을 한다. 한나절이 기울도록 가슴을 앓는다는 이 여자를 찾아오는 이, 나비 한 마리도 없다. 슬프지도 않은 살구나무 가지에는 바람조차 없다.

 

나도 모를 아픔을 오래 참다 처음으로 이곳에 찾아왔다. 그러나 나의 늙은 의사는 젊은이의 병을 모른다. 나한테는 병이 없다고 한다. 이 지나친 시련, 이 지나친 피로, 나는 성내서는 안 된다.

 

여자는 자리에서 일어나 옷깃을 여미고 화단에서 금잔화(金盞花) 한 포기를 따 가슴에 꽂고 병실 안으로 사라진다. 나는 그 여자의 건강이 아니 내 건강도 속히 회복되기를 바라며 그가 누웠던 자리에 누워 본다.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8)


<핵심 정리>

 

감상의 초점

이 시는 윤동주가 연희 전문학교 재학 중인 1940년에 쓴 것이다. 그 당시는 일제의 탄압이 점차 가혹해지던 답답하고 암울한 때다. 지식인들은 마치 병원에 입원한 환자처럼 밀폐된 공간에서 극한적인 삶을 살아야만 했다.

애초에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의 제목을 <병원>으로 붙일 예정이었을 정도로 이 작품은 윤동주의 내면세계를 잘 보여 주고 있는 시다.

여기에 설정된 배경인 병원은 고독한 밀실의 심상과 통하는 것으로 당시의 암울한 시대 상황과 관련이 있다. 등장 인물인 여자와 동일시(同一視)된 인물로 현실적 상황에 견디지 못하여 지쳐서 가슴앓이를 하고 있는 환자다. 의사의 치료를 기다리고 있으나 그도 병의 원인을 모른다.

성격 : 서경적(敍景的), 산문적

심상 : 묘사에 의한 시각적 심상(1연과 3)

운율 : 산문율

특징 : 정경의 묘사가 뛰어남(1)

표현 : 현재법의 사용현장감을 준다.

삽화적(揷畵的) 표현

대비적(對比的) 표현(‘여자’)

시상 전개 : 대상의 이동에 따른 전개(‘여자’)

구성 : 일광욕 하는 여자 환자의 소묘(1)

동일한 병을 앓고 있는 나(2)

자신과 여자의 건강 회복 기원(3)

소생과 부활의 희망(10)

제재 : 병원의 정경(情景)

주제 : 상황 극복의 기원

 

<연구 문제>

1. 화자인 가 작중 인물인 여자에게 취하는 심리적 태도를 4자의 한자 성어로 쓰라.

동병 상련(同病相憐)

 

2. 이 시에서 이 상징하는 의미를 10자 내외로 쓰라.

암울한 시대 상황

 

3. 의 상황 묘사는 여자가 어떤 존재임을 보이기 위한 것인지 50자 정도로 쓰라.

병 때문에 외부 세계와 단절된 상황을 극한적으로 묘사하여 여자가 고독한 존재임을 표현하였다.

 

4. 은 작중 인물의 행위 묘사를 통하여 무엇을 암시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것인가? 두 어절로 쓰라.

회복의 소망.(소생의 희망)

 

 

<감상의 길잡이>(1)

3연으로 이루어진 이 시는 서사적인 내용을 산문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시 전체가 상징적으로 제시되어 암시적 효과를 기도(企圖)한 것이다.

 

1연은 병원을 배경으로 하여 사건이 시작된다. ‘병원은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좁고 밀페된 공간이다. 윤동주 시에 자주 나오는 과 통한다. 여기에 가슴앓이(폐병)을 하는 젊은 여자가 뒤뜰에 나와 얼굴을 가리고 일광욕을 하고 있다. 젊은 여자는 시대의 괴로움을 겪고 있는 젊은 지성인으로 보인다. 그런데 아무도 찾아오는 이도 없고 바람도 없다. 희망도 없는 고독한 사람으로 묘사되어 있다. 실존론적 고독을 보여 주고 있다.

 

2연은 이런 병원에 시적 화자가 입원을 한다. 그는 오랜 아픔을 참다가 찾아온 것이다. 그런데 늙은 의사는 병을 모를 뿐만 아니라 병이 없다고 한다. 내가 겪고 있는 시대적 괴로움을 의사는 알 리가 없다. 그러니 성을 내서도 안 된다. 여기서 여자와 동일시(同一視)된다. 같은 시대에 똑같이 병을 앓고 있는 것이다. 동시대에 사는 사람으로서의 연대 의식이 나타나 있다.

 

3연에서 여자는 자리에서 일어나 화단에서 금잔화 한 포기를 따 가슴에 꽂고 병실로 들어간다. 절망적 상황에서 허무 의식에 빠지지 않고 희망을 갖는 장면이다. 그래서 도 그 여자가 누웠던 자리에 누워 본다. 그 여자의 건강과 내 건강이 회복되기를 기원하면서.

 

이 시는 앞에서도 말했지만 상징적 기법이 주목된다. 대개의 다른 작품에서는 하나의 단어, 하나의 문장을 상징적 의미로 전달하려고 했지만, 이 시는 배경으로 설정한 병원’, 거기에 환자로 등장하는 여자’, 일광욕을 하는 정경, 꽃을 가슴에 꽂는 장면 등 모두가 상징적으로 제시된 것이다. 이 시는 그의 다른 시 <또 다른 고향>과 함께 윤동주의 내면 세계를 극명하게 보여 주고 있다. 특히, 병원으로 상징되는 밀폐된 공간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젊은 여자에게 자신을 투영시켜 동일시한 수법은 단조로움을 피하고 극적 효과를 거두고 있다.

 

<감상의 길잡이>(2)

이 시는 연희 전문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이던 1940년에 쓴 작품으로 어느 병원의 정경(情景)을 통하여 병원에 입원한 환자처럼 폐쇄된 공간 속에서 극한적인 삶을 살아가던 당시의 지식인들이 겪는 고뇌를 상징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여기서 병원은 화자의 고독한 내면 세계이자, 당시의 암울한 현실 상황을 상징하는 것으로 <또 다른 고향>과 상통하는 공간이다. 한편, 환자로 등장하고 있는 젊은 여자는 화자와 동일시된 인물로, 그녀는 고통스런 현실 때문에 가슴앓이를 앓고 있으며, 화자 역시 시대적 고뇌로 아픔을 겪고 있다.

 

3연의 산문시 형태로 이루어진 이 시는 대상의 이동에 따라 시상을 전개시키는 한편, 현장감을 주기 위해 현재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묘사에 의한 시각적 이미지가 돋보인다.

 

1연은 이 작품의 공간적 배경인 병원을 제시하는 동시에 병원 뒤뜰에 누워 일광욕을 하는 가슴앓이여자 환자를 보여 주고 있다. 그녀가 앓고 있는 가슴앓이는 단순히 병명(病名)을 뜻한다기보다는 암담한 식민지 현실 상황에서 시대적 고뇌를 겪는 마음의 병이라 할 수 있다. 면회객은커녕 나비 한 마리 찾아 주지 않는, 고독한 그녀가 누워 있는 살구나무 아래에는 바람조차 불어오지 않는다.

 

2연에서는 화자가 같은 병원을 찾는다. 현실 상황에 대한 괴로움으로 인해 오래도록 고통을 당하던 화자가 병원을 찾지만, 늙은 의사는 화자의 병명을 모를 뿐 아니라, 도리어 병이 없다고 진단한다. 그러나 현실적 시련피로로 말미암아 여전히 고통을 겪고 있는 화자로서는 성내서는 안 된다고 다짐하며 자신이 왜 고통을 받고 있는지 모르는 의사의 말에 실망할 수밖에 없다. 여기서 화자와 여자는 같은 시대를 사는 지식인들로서 같은 고통을 겪고 있다는 연대 의식이 나타나 있다.

 

3연에서는 화자가 자신과 여자의 건강이 회복되기를 기원하고 있다. 화단에서 금잔화를 따 가슴에 꽂고 병실로 들어가는 여자의 모습은 1연에서 일광욕을 하는 행위와 마찬가지로 절망적인 현실 상황에서도 희망을 갖는다는 상징적 의미가 있다. 여자가 누웠던 자리에 누워 보는 화자의 행위도 동일한 의미로 볼 수 있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