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별난 관상술

by 송화은율
반응형

별난 관상술

이규보 지음

주효원 번역

 

어디서 왔는지 알 수 없는 관상쟁이가 있었다. 그는 관상서(觀相書)도 읽지 않고 관상법도 따르지 않고서 이상한 술법으로 관상을 보았으므로 사람들이 '별난 관상쟁이'라고 불렀다.

고관대작, 남녀노소 모두가 다투어 찾아가서 모셔다가 관상을 보았는데, 부귀하고 뚱뚱한 사람의 관상을 보고는,

"당신은 몸이 매우 여위었으니 당신만큼 천한 이가 없겠소."

하였고, 빈천하고 파리한 사람의 관상을 보고는,

"당신은 몸이 살쪘으니 당신만큼 귀한 이는 드물겠소."

하였다. 또 장님을 보고는 밝다고 하고, 민첩하고 잘 달리는 사람을 보고는 절어서 걸음을 못 걷는다고 하고, 얼굴이 예쁜 부인을 보고는 아름답기도 하고 추하기도 하다고 하고, 세상에 사람들이 너그럽고 어질다고 하는 사람을 보고는 만인을 해치는 사람이라 하고, 매우 잔혹한 사람을 보고는 만인의 마음을 기쁘게 하는 사람이라고 하였다.

그가 관상을 보는 것이 대부분 이와 같았는데, 길흉화복을 제대로 말하지 못할 뿐만아니라 용모와 행동거지를 살핌이 모두 반대였다. 그리하여 사람들이 사기꾼이라고 떠들어대며 잡아다가 거짓말한 죄를 다스리려고 하기에 내가 만류하기를,

"말이란 처음에는 어긋나지만 나중에 가서 맞는 것이 있고, 겉으로는 가깝지만 속으로는 먼 것이 있다. 그 사람도 눈이 있는데 어찌 살찐 자, 여윈 자, 눈이 먼 자를 몰라보고서 살찐 자를 여위었다고 하고, 여윈 자를 살쪘다고 하고, 눈이 먼 자를 밝다고 했겠는가. 이 사람은 기이한 관상쟁이임이 분명하다."

하고, 목욕 재계하고 단정한 차림으로 관상쟁이 묵고 있는 곳으로 찾아갔다. 다른 사람들을 내보내고는

"그대가 아무 아무의 관상을 보고 어떠 어떠하다고 한 것은 어째서인가?"

하고 물으니, 그의 대답은 이러하였다.

"대개 부귀하면 교만하고 남을 능멸하는 마음이 자라나 죄가 쌓일 것이니 하늘이 반드시 뒤엎을 것이요, 그렇게 되면 죽도 제대로 못 먹게 될 것이므로 여위었다고 하였고, 장차 몰락하여 보잘 것 없는 필부가 되겠으므로 천해지겠다고 하였습니다.

빈천하면 뜻을 겸손히 하고 자기를 낮추어 근심하고 두려워하여 닦고 반성하게 되니 고진감래(苦盡甘來)라, 이는 배불리 먹을 조짐이 있으므로 살쪘다고 하였으며, 장차 만석과 십륜(十輪)의 부귀를 누리겠다고 하였습니다.

요염한 자태와 아름다운 얼굴을 엿보아 가까이하고 진기한 것과 완호지물을 탐내며, 사람을 변화시켜 혹하게 만들고 사곡(邪曲)되게 하는 것이 눈인데, 이로 말미암아 헤아릴 수 없는 오욕에 이르게 되니, 이는 바로 어두운 것이 아니겠습니까? 오직 눈먼 사람만은 담박하여 욕심이 없고 감촉이 없어 욕을 멀리하므로 어진이와 깨달은 이보다 나으니, 그래서 밝다고 하였습니다.

민첩하고 용맹을 숭상하고 용맹하면 뭇사람들을 능멸하니, 마침내는 자객(刺客)이나 간당(奸黨)의 우두머리가 되었다가 붙잡혀 발에는 차꼬를 차고 목에는 칼을 쓰는 신세가 될 것이니 아무리 도망하고자 한들 되겠습니까? 그러므로 절어서 걸음을 못 걷는다고 하였습니다.

미색이란 음탐하고 사치하며 교만한 자가 보면 옥구슬처럼 예쁜 것이지만, 방정하고 순박한 사람이 보면 진흙덩이와 같을 뿐입니다. 그러므로 아름답기도 하고 추하기도 하다고 하였습니다.

이른바 어진 사람은 그가 죽을 때 어리석은 백성들이 마치 어머니를 잃은 아이처럼 사모하는 마음으로 울고불고하므로 만인을 해치는 사람이라고 하였습니다. 잔혹한 사람은 그가 죽을 때 거리마다 기뻐서 노래하며 양을 잡고 술을 마시며 웃느라 입을 다물지 못하는 자도 있고 손바닥이 아프도록 박수를 치는 자도 있을 것이므로 만인을 기쁘게 하는 사람이라고 하였습니다."

나는 이 말을 듣고 놀라 일어나,

"과연 내 말대로다. 이 사람이야말로 진짜 관상장이로구나. 그의 말은 명심해 둘만하다. 어찌 겉모습에 따라 귀한 상을 말할 때는 '거북무늬에 무소뿔'이라 하고 나쁜 상을 말할 때는 '벌의 눈에 승냥이 소리'라 하여 사곡한 데 얽매이고 상례(常例)를 쫓으며 저 잘난 체하는 무리들에게 비하겠는가."

하였다.

이규보(1168-1241)

고려시대의 문신으로 자는 춘경(春卿), 호는 백운거사(白雲居士)·지헌(止軒)·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 등이다. 독자적이고도 활달한 시풍(詩風)으로 당대를 풍미하였으며, 몽고군의 침입을 진정표(陳情表)로 격퇴한 명문장가이기도 하다. 이글은 그의 저서인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제20권에 실려 있으며 원제는 <이상자대(異相者對)>이다.

 

심화 자료

출처 : 한국민족문화추진위원회 국역연수원교양강좌 자료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