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소학(飜譯小學)
by 송화은율번역소학(飜譯小學)
요점 정리
연대 : 중종 12
언해자 : 김전, 최숙생
이해와 감상
통문관(通文館)의 계(啓)에 의하여 김전(金詮) ·최숙생(崔淑生) 등이 왕명으로 번역하여 간행하였고, 현재 초간본은 전해지지 않고, 16세기 후반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복간본(復刊本)이 낙질(落帙)로 전해지고 있다.
심화 자료
번역소학
중국 송나라 유자징(劉子澄)이 편찬한 ≪소학≫의 번역본. 10권 10책. 목판본. 김전(金詮)·최숙생(崔淑生) 등이 언해하여 1518년(중종 13)에 간행하였다. ≪소학집성 小學集成≫을 저본(底本)으로 하였기 때문에 권수가 10권이 되었다. 남곤(南袞)의 발문(跋文)에 간행 경위가 자세히 적혀 있다.
한편 ≪중종실록≫에는 이 책이 1518년 7월에 간행되어 1,300질이 널리 배포되었음이 기록되어 있다(권34, 13년 7월 己亥). 남곤의 발문에 광인유포(廣印流布)하여 아동부녀(兒童婦女)에게까지 그 내용을 널리 깨닫게 하는 것보다 더 급한 일이 없다고 한 것과 부합된다.
그러나 오늘날 원간본은 전하지 않고 중간본만이 전하는데 그나마 영본(零本 : 낙질이 많은 책)이다. 권6·7·8은 고려대학교에, 권9는 서울대학교 가람문고에, 권10은 국립중앙도서관에 각각 소장되어 있다.
이들은 을해자본을 복각한 목판본으로, 원간본이 을해자본이었음을 알게 한다. 이 목판본은 16세기 말엽, 교정청(校正廳)의 ≪소학언해 小學諺解≫(1587)가 간행되기 이전에 간행된 것으로 추측되나 확실한 것은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그 번역이 15세기에 주로 불경(佛經)의 언해에서 수립된 직역(直譯)의 전통을 따르지 않고 의역(意譯)을 한 점이다. 이것은 매우 대담한 시도로서, 우리나라의 번역의 역사에서 특기할만한 사실이다.
본문의 글자들을 존중하지 않은 것은 아니나 자연스러운 우리말의 표현을 살리려고 하였고, 본문만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대목에서는 주(注)의 내용을 거리낌없이 끌어넣었던 것이다. 이것은 오로지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쉽게 이해하게 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이었다.
이 책의 내용을 널리 읽게 하는 것이 국가적으로 중요하다는 생각이 대담한 의역을 택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책이 복각본까지 나온 것을 보면 상당한 환영을 받았던 것 같다.
그러나 강한 직역의 전통 속에서 이 책은 비판을 피할 수 없었다. 그리하여 선조 때에 와서 교정청에서 ≪소학언해≫를 간행하기에 이르렀는데, 이 책은 직역체로 되어 있으며, 그 첫머리의 〈범례 凡例〉에 ≪번역소학≫의 의역에 대한 신랄한 비판이 보인다.
≪번역소학≫은 16세기 초엽의 국어를 연구함에 있어 하나의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 책이 의역을 한 것이 도리어 소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다만 현존본이 중간본이어서 그 이용에는 세심한 주의가 요망된다. →소학언해
≪참고문헌≫ 十六世紀 國語의 硏究(李基文, 고려대학교文理論集 4, 1959), 소학언해에 대하여(李基文, 한글 127, 1960), 小學諺解의 戊寅本과 校正廳本의 比較硏究(李崇寧, 震檀學報 36, 1973), 中世語의 한글 資料에 대한 綜合的 考察(安秉禧, 奎章閣 3, 1979), 飜譯小學解題(洪允杓, 飜譯小學 8·9·10 影印本, 弘文閣, 1982).(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