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씨전(潘氏傳)
by 송화은율반씨전(潘氏傳)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구활자본. 1918년 대창서원(大昌書院)에서 간행하였다. 총 3회로 구성되어 있는 장회체(章回體) 소설이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중국 송나라 시절 절강(浙江)땅에 사는 위윤(魏允) · 위진(魏眞) · 위준(魏準)의 세 형제는 각각 반씨(潘氏) · 채씨(蔡氏) · 맹씨(孟氏)로 아내를 맞았다.
위씨가(魏氏家)의 모부인 양씨(楊氏)는 어진 맏며느리인 반씨를 모함하는 채씨와 맹씨를 엄히 근신하도록 했다. 이에 앙심을 품은 채씨는 세도가인 친정아버지 채봉(蔡鳳)과 짜고 예부상서로 있는 반씨의 남편 위윤 및 반씨의 친정아버지인 병부상서 반옥(潘玉)을 유배보낸다.
이에 모부인 양씨는 울분에 세상을 떠난다. 반씨의 아들 위흥(魏興)은 채씨를 비롯한 두 숙모와 숙부에게 맞서지만 결국 어쩌지 못하고, 모자가 함께 집을 나와 양부인의 묘막에서 지낸다. 이 무렵 죽은 양부인과 이적선(李謫仙)이 차례로 나타나서 이들 모자를 돕는다.
그러면서 또 한차례 채씨의 모살(謀殺)에서 벗어난 모자는 반씨의 친정에 몸을 의탁한다. 이어 위흥은 장사(長沙)에 유배중인 부친을 찾아가려다 서왕모(西王母)의 계시로 경사(京師)로 가 과거응시를 기다린다. 그러는 사이에도 위진 · 위준 형제 내외는 장씨를 사주하여 반씨의 친정을 습격한다. 반씨는 뭄이 묶인 채로 물속에 뛰어드나 한 거북의 도움으로 장사의 남편과 상봉한다.
한편, 위흥은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천행으로 양친의 서신도 접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죽은 양씨부인의 현신으로 채씨의 독살계획을 피한 그는 황제의 큰 지우(知遇 : 남이 자기의 성품 · 재능 등을 잘 알아 대접함.)를 입는다.
위기에 닥친 채봉 등이 위흥을 모함하는 글을 올렸지만 허사였다.
이에 위흥은 죽은 외조모의 계시에 힘입어 장씨형제를 문초하니 그 사이 죄상이 모두 탄로나게 된다. 채씨 · 맹씨는 저자거리에서 능지처참을 하고 장씨형제도 목을 베고, 위진 · 위준 형제는 북해로 유배보낸다. 그 뒤 위씨와 반씨 두 집안의 착한 이들이 오래 부귀와 행복을 누리게 된다.
이 작품은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능동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이나 인물의 비중이 위윤과 반씨 부부의 아들인 위흥에게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제목을 ‘ 반씨전 ’ 이라 하였음이 특이하다.
또한 내용의 전개과정에서 발견될 수 있는 두드러진 특징이라면 이 계통의 다른 소설에서보다 비현실적인 처리부분이 훨씬 빈번히 나타나 있다는 점이다. 반씨와 위흥이 무력한 상황에 처할 때마다 양부인의 혼령 및 선녀 · 산신 · 이적선 · 거북 등에 의한 천우신조(天佑神助)가 3회의 내용 속에 무려 여덟 차례나 거듭된다.
대신, 종래의 이른바 가정소설(家庭小說)이 대부분 계모와 전처소생이거나, 혹은 처첩간의 갈등의 영역에서 크게 못 벗어난 데 반하여, 이처럼 여동서(女同 淚 )간의 알력과 복수를 소재로 택했다는 점에서는 특유한 경계를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악인들에 대한 응징과 보복이 보다 철저한 사실도 이 방면에서 드물게 나타나는 특색이라 하겠다.
이 작품은 소재의 면에서 특히 도교적인 색채가 짙게 가미된 작품이다. 죽은 뒤에 지속적으로 기이한 행적을 불러일으키는 양부인은 본래 낙포(洛浦)의 선녀라 했다. 그 뿐 아니라 옥경(玉京)에서 죄를 얻어 인간세상에 내쳐졌다가 다시 광한전(廣寒殿)에 올랐다 했고, 반씨와 위흥을 돕는 모든 신적(神的) 존재들도 그녀의 부탁 아래 움직이고 있다. 장서각도서에 있다.
≪ 참고문헌 ≫ 韓國古典小說硏究(金起東, 敎學社, 1981).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