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준의 ‘모범 경작생’ 해설
by 송화은율박영준의 ‘모범 경작생’ 해설
모범 경작생은 1934년 조선일보 신춘 문예에 당선한 작품으로 작가 박영준의 문단 데뷰작인 동시에 그의 초기 작품 세계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박영준의 초기 작품들은 주로 농촌을 소재로 한 까닭에 그를 흔히 농민 소설가 또는 농촌 소설 작다로 일컬었다. 그렇지만 어떤 이념이나 정치적 소신에서가 아닌, 숙명적으로 그 흙에 매달려 살아야 하는 농민들의 가난한 상황과 농촌의 궁핍한 현실을 작가 박영준은 파헤치려 하였다.
광복 후 박영준은 도시에 사는 지식인 또는 소시민의 생활 풍속에 촛점을 맞추지만,문단의 서류에 편승하기를 거부하고 순수 문학을 추구한다. 매년 10편 이상의 작품을 거의 의무적으로 쓴 것을 보면, 그가 얼마나 엄격한 문학 자세를 지녔는지 가늠해 볼 수 있다.
그의 많은 작품들은 다양한 소재와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미묘한 감정의 소용돌이를 첨작하되 근본 윤리를 끝까지 지켜내려는 인간의 성실한 노력을 파악하려고 한다. 작가의 이러한 주제 의식은 모범 경작생에서도 잘 드러나고 있다. 주인공 ‘길서’가 마을 사람들을 배반하고 자신의 욕심에서 벗어나지 못하지만, 마을 사람들의 눈초리를 피해 도망가는 ‘길서’의 모습에서 작가는 윤리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 작품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길서는 자기 마을에서 소학교를 졸업한 유일한 젊은이로서 군청과 면사무소를 출입하며 동네 사람들을 열성적으로 가르치며 지도한다. 또한 동네에서 유일한 자작농인 그는 근면하고 성실하여 동네 사람들의 신망도 얻고,‘모범 경작생’으로 뽑혀서 서울의 농사 강습회에 다녀오기까지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기적이고 매우 타산적이며 쉽게 시류에 편승하는 주체성이 결여된 인물이기도 하다.
길서는 조선 대표로 일본에 보내 주고 자기의 묘목을 좋은 값에 모두 사 주겠다는 면장의 말에 마을 사람들의 피해는 아랑곳하지 않고 호세 인상에 간여하고 만다.
강습회에 다녀온 길서는 마을 사람들에게 새로운 농사 정보보다는 절대적 복종을 강조하면서 일제의 농업 정책에 동조한다. 마을 사람들은 그와 같은 길서의 태도에 어리둥절해 하면서도 그의 유식함을 부러워하기만 한다.
극심한 가뭄으로 농사를 망친 농민들은 지주 ‘서재당’과 소작료 교섭을 길서에게 부탁한다. 그러나 길서는 그것이 자기와는 관계없는 일일 뿐 아니라 정해 놓은 소작료를 감해 달라는 것은 소작 쟁의와 같은 어림없는 짓이라 하며 거절해 버리고 일본 시찰단으로 뽑혀서 간다.
마을 사람들은 서재당에게 직접 사정을 해 보지만 ‘그렇게 하려거든 논을 내 놓아라’고 하는 말을 듣고 돌아온다. 흉년에 호세까지 올라 고통속에서 헤어나지 못하던 농민들은 호세 인상 공작에 길서가 간여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고 분개한 나머지 길서의 논에 박힌 ‘모범 경작생’ 말뚝을 뽑아 내팽게친다.
일본에서 돌아온 길서는 쪼개진 ‘모범 경작생’ 말뚝을 보면서 충격을 받는다. 누이 동생도 애인 의숙이도 등을 돌려버리고, 화난 성두가 들이닥치자 길서는 바나나를 든 채 뒷문으로 도망친다.
작가는 이 작품에서 일제의 농민 수탈 정택에 적극 동조하여 ‘모범 경작생’이 된 ‘길서’,농민의 고통은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의 영달만을 꾀하는 몰염치한 ‘길서’라는 인물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므로써 일제 식민 통치(농업 정책)의 전시적이고 허구적인 면을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작가는 길서의 개인 문제를 부각시키기보다는 일제 아래 우리 농민들의 현실, 농촌의 참상, 가난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고통으로 일그러진 모습들을 보여 줌과 함께 비인간적이고 부조리한 구조적 모순과 제도의 허구성을 파헤쳐 주고 잇다.
작품 요약
주제 : 일제 아래 궁핍한 농촌의 모습과 농정의 실상을 비판.
인물 : 길서-주인공. 군을 대표하는 모범 경작생이나 이기적이고 소극적인 인간으로 일제의 수탈 정책에 이용당함.
성두-길서의 친구. 농촌 청년으로 적극적임. 의숙의 오빠.
기억-길서의 친구이나 대립적임.
의숙-길서의 애인. 길서의 이기심에 등을 돌림.
얌전이-길서의 동생. 의숙의 친구.
배경 : 일제 아래 어느 농촌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