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민중 의식의 성장과 산문 문학의 융성

by 송화은율
반응형

 

민중 의식의 성장과 산문 문학의 융성

 

단원 설정의 취지

 이 단원은 언어 문화의 구체적 양상인 한국 문학과 세계 문학을 공시적, 통시적으로 살핌으로써 한국 문학과 세계 문학의 흐름과 교섭의 양상을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설정되었다. 이 단원을 통해 학생들은 민족 문화로서의 한국 문학의 전통성과 보편성을 이해하고 문화적 맥락 속에서 문학을 수용하고 창작하는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의 조선 사회는 엄청난 변화를 겪는다. 양반 중심의 신분제 질서가 붕괴되기 시작하면서 평민들의 의식이 성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평민 의식의 성장은 다양한 양상으로 표출되기 시작한다. 이 단원은 바로 이러한 조선 후기 문화적 변모를 문학 작품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가 살핌으로써 문학이 문화의 흐름에 따라 변모되는 것임을 확인하고자 설정되었다.

 

단원 학습 목표

 

1. 조선 후기 문학의 갈래와 그 양상을 이해한다.

관련 교육 과정

[10-문-(3)]문학의 갈래에 따른 작품의 미적 가치를 파악한다.

[11-(3)-(나)-①]한국 문학의 개념, 성격, 갈래, 특질을 이해한다.

 

2. 조선 후기 문학의 특성을 이해한다.

관련 교육 과정

[10-문-(5)]작품에 드러난 사회, 문화적 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작품 수용에 능동적으로 활용한다.

[11-(3)-(나)-②]한국 문학의 대표적인 작품을 읽고 한국 문학사의 전통과 지향성을 이해한다.

 

3. 이 시기 세계 문학의 흐름을 이해하고, 한국문학과의 교섭 양상을 이해한다.

관련 교육 과정

[11-(3)-(다)-①]세계 문학의 양상과 흐름을 개괄적으로 이해한다.

[11-(3)-(다)-②]한국 문학과 세계 문학이 서로 교섭하는 양상을 이해한다.

 

단원 학습 계획

구분

교수 학습 내용

시수

단원 들어가기·앞서보기

·단원 도입 및 준비 학습

1

민중 의식의 성장과

산문 문학의 융성

·조선 후기의 한국 문학 이해하기

·당대 세계 문학의 흐름 이해하기

1

1. 만흥(漫興)

·조선 후기 시조의 특성 이해하기

·'만흥'의 내용 이해하기

·윤선도의 문학사적 위치 이해하기

1

2. 보리 타작[打麥行]

·조선 후기 한시의 변모 양상 이해보기

·'보리 타작'의 내용 이해하기

·조선 후기 실학자의 현실 인식 이해하기

1

3. 유충렬전(劉忠烈傳)

·군담 소설의 특성 파악

·'유충렬전'의 내용 이해하기

·'영웅의 일생'의 소설사적 전개 양상 이해하기

1

4. 양주 별산대(楊洲別

山臺)놀이

·군담 소설의 특성 파악

·'양주 별산대놀이'의 내용 이해하기

·'양주 별산대놀이'와 다른 가면극 비교하기

1

5. 돈키호테

·소설에 나타난 근대 사회의 모습 이해하기

·'돈키호테'의 내용 이해하기

·세계 문학과 한국 문학의 교섭 양상 이해하기

1

마무리하기

·단원 내용 정리 및 평가

1

다시 보기·깊이 보기

·단원 보충, 심화 활동

지도상의 유의점

1. 조선 후기의 사회 문학적 양상과 문학의 특성을 연관지어 지도한다

2. 조선후기의 한국 문학의 갈래성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도록 대표적인 작품을 폭 넓게 제시하고, 작품 이해에 필요한 자료를 폭넓게 제공한다.

3. 일방적인 이론의 전달이 아닌 학습자가 여러 작품을 감상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문학적 특성을 파악하도록 지도한다.

4. 학생들이 학습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비판적이고 창의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한다.

 

앞서 보기

교과서 133쪽

 

1. [가]와 [나]를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가] 조헌의 시조 바로 가기

작품 해제 :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진 외로움과 쓸쓸함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이별의 정서는 직접적으로 제시되는 것이 아니라 '빈 배'와 '짝 잃은 갈매기'등의 소재와 석양 무렵의 비 내린 풍경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드러난다.

작가 소개 :

 조헌(趙憲, 1544∼1592) : 조선 중기의 문신·의병장. 호는 중봉(重峯), 도원(陶原), 후율(後律). 이이의 문인으로 기발이승 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지지하여 스승의 학문을 계승 발전시켰다. 임진왜란 때 옥천, 홍성 등지에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으나 금산에서 7백 의병과 함께 전사하였다. 저서에 <중봉집>이 있으며, <청구영언>에 시조 세 수가 전한다.

 

[나] 사설 시조 바로 가기

 

두꺼비가 파리를 물고 두엄 위에 뛰어 올라가 앉아

건너편 산을 바라보니 흰 송골매가 떠 있기에 가슴이 섬뜩하여 펄쩍 뛰어 내닫다가 두엄 아래 자빠졌구나.

마침 날랜 나였기에 망정이지 하마터면 다쳐서 멍들 뻔했구나.

 

작품 해제 :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사설 시조로, 탐관오리가 자신의 실수를 합리화하는 내용이다. 초장의 '파리'는 힘없는 선비 혹은 백성을 나타낸 것이고, '두터비'는 부패한 양반 관리를 가리킨다. 그리고 중장의 '白松骨(백송골)'은 두꺼비보다 높은 중앙 관리를 비유한 것이다. 즉 인간의 계층 단계와 비리를 동물의 약육강식(弱肉强食)으로 상징화하여 풍자하고 있다. 자신보다 약한 사람을 못살게 굴면서 강한 사람에게 꼼짝하지 못하는 자신을 위로하는 모습에서 양반의 위선적인 면모를 엿볼 수 있다. 이 노래는 '파리'와 '두터비', '白松骨(백송골)'의 세 계층을 통해서 권력 구조의 비리를 우희적으로 잘 나타내고 있는 작품으로, 당시의 탐관오리들의 부패상을 은근히 꼬집고 있다.

 

(1) [가]와 [나]의 형태상의 차이점에 차이점에 대해 생각해 보자.

교수·학습 방법 :

  [가]와 [나]는 조선 후기에 발생한 시조로 조선 전기와 내용과 형식면에서 변모를 보여 준다. 이 부분에서는 조선 전기와 구별되는 조선 후기 시조의 양상을 주제와 형식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살피고 이의 원인을 문학적인 양상과 관련지어 생각해 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예시 학생 활동 :

  [가]와 [나]는 둘 다 조선 후기 시조로 조선 전기 시조 형식에 비해 많이 자유로워졌음을 확인할수 있다. 그러나[가]에 비해[나]의 형식이 더욱 자유로워졌다. 시조의 형식면에서 조선 전기 시조에 비해 두드러진 변화를 찾을 수 없다면, [나]는 시조의 4음보의 정제된 율격에서 크게 이탈해 중장이 길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나]와 같은 형태가 출현하게 된 동기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교수·학습 방법 :

 사설 시조의 발생은 조선 후기 시대적 사상적 특성과 긴밀히 연관된다. 이러한 점에서 단순히 사설 시조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시대적 상황과의 관련 속에서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예시 학생 활동 :

 사설 시조의 출현은 조선 후기의 문학의 두드러진 양상인 산문화 경향과 관련된다. 단형의 시조가 장형화된 사설 시조의 출현은 바로 서민 의식의 성장과 긴밀히 연관된다.

 

(3) [나]에 반영되어 있는 시대상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교수·학습 방법 :

 문학 작품 속에 드러난 당대의 시대상을 살핌으로써 사회 문화적 양상과 문학이 불가의 관계에 있음을 확인하도록 지도한다.

예시 학생 활동 :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조선은 급격한 변화를 겪는다. 양반의 권위가 축소되고 서민의 성장이 이루어졌다. 또한 양반 계급 내에서도 성리학적 세계관에 대한 반성이 제기되면서 실학이 발생한다. [나]에서 두꺼비로 상징되는 양반에 대한 신랄한 풍자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이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2. [가]와 [나]를 보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가] (사진) 판소리하는 창자와 고수

[나] (사진) 가면극을 하는 장면

 

교수·학습 방법 :

 조선 후기 문학이 서민 문학의 특성을 지닌다는 점과, 이들을 중심으로 공연되었던 특성을 고려해 본다.

 

(1) [가]와 [나]처럼 공연되는 작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생각해 보자.

예시 학생 활동 :

 [가]와 [나]는 조선 후기 서민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공연 예술이었다. 오늘날의 연극, 무용, 마임, 콘서트, 인형극 등이 모두 공연 문화에 속하며, 판소리와 가면극은 우리의 전통적인 공연 문화이다.

 

(2) [가]와 [나]를 통해서 알 수 있는 조선 후기 문학의 변모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예시 학생 활동 :

 공연 문화가 발달하였다는 것은 양반 중심의 소수가 향유하는 완상 중심의 문학에서 다수가 향유하는 대중 문화로 문화의 변모가 이루어졌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조선 후기의 문학

교과서 134∼136쪽

 

시대 개관>>

1.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며 새로운 변화가 나타난 시기 임병 양란을 겪은 이후, 소설 문학이 융성하고, 시조가 가사가 장형화되고, 다양한 공연 예술이 발달한 시기이다.

2. 산업 혁명이 시작되고 낭만주의가 부흥하는 시기 규범과 형식을 중시하던 고전주의 문학에 반발하여 인간의 감성과 정서를 중시하는 낭만주의 문학이 꽃피우는 시기이다.

 

학습 내용>>

이 시기 문학의

특징

사회적 배경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과학적인 사고와 실용적 측면을 강조하는 실학의 등장

·서민 의식의 성장

문학적 상황

·문학 담당층의 확대

한국 문학의

양상

소설 문학의 융성

·본격적인 소설 시대의 전개

·서민들이 소설의 향유자로 등장

·영웅 소설, 군담 소설, 판소리계 소설, 한문 소설, 대하 소설의 성행

시조와 가사의 변모

·서민 의식의 성장으로 중인과 서민이 시조의 창작과 수용에 대거 참여함

·시조가 정형적인 틀에서 벗어나 엇시조, 사설 시조가 출현함.

·평민 가객들의 가집 편찬과 시조 창작

·가사의 담당층의 다양화 - 서민 가사와 규방 가사의 창작

·기행과 교훈적인 내용을 담은 교술 가사의 등장

공연 예술과

수필의 발달

·가면극의 발달 - 탈춤, 산대놀이, 오광대와 야유

·판소리 12마당의 완성

·생활의 진솔한 모습을 기록한 수필 문학의 발달

세계 문학의 양상

아시아 문학

·중국 : 청나라 - 소설의 발달

·일본 : 상인 문학의 발달

·인도 : 근대 문학의 건설

유럽 문학

·인간의 감성과 정서를 중시하는 낭만주의 문학의 개화

·영국 :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 상연

·프랑스 : 리얼리즘 기법을 통한 당대 사회 현실의 반영

·독일 : 개성을 발휘하자는 질풍 노도 운동 전개

·러시아 : 서구의 근대화에 뒤진 러시아 사회의 고민이 반영된 작품 창작

학습 내용의 보충·심화>>

 

1) 보충 자료

― '실학은 이용후생(利用厚生)'과 '실사구시(實事求是)'의 이념을 바탕으로, 과학적인 사고와 실용적인 측면을 강조하였다. (교과서 134쪽 7∼8행)

 조선 초기에 새로운 국가 이념과 질서를 세우는 데 기여했던 성리학이 이 시기에는 공허한 관념에 기울어진 결과 구체적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기에 부족하게 되었다. 그래서 종래의 관념적인 사고 방식과 학문 태도를 비판하는 실학(實學) 지식인이 출현했다. 이들은 경제, 산업, 과학, 국방 등의 실용적 문제에 깊은 관심을 기울였을 뿐만 아니라 문화·예술에 관한 새로운 의식의 발전에도 기여했다.

― 서민 의식이 성장함에 따라 조선 후기 시가 문학도 큰 변화가 나타났다. (교과서 135쪽2∼3행)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양난을 겪고 나서 점차로 뚜렷해지기 시작한 조선 후기 신분 구조의 변화는 그대로 이 시대의 문학에도 영향을 주었다. 종적인 질서를 강요했던 왕가(王家)와 양반들이 외적의 침입 앞에서 보인 무기력은 그들의 지배하에 있던 서민들에게 더할 수 없는 실망감을 안겨 주었다. 여기에서 자극을 받아 서민들은 자아에 눈뜨기 시작했다. 그래서 시조의 경우에는 평민 가객이 등장하는 등 향유층의 확대가 이루어지고 가사의 경우에도 작자층이 다양해져 평민 가사가 많이 창작되었다.

 

2)심화 자료

조선 후기 국문 소설 작품 분류

 

·영웅 소설 : '동명 신화'에서 유래되는 영웅의 일생에 근거한 소설로, '홍길동전'으로부터 비롯된다.

① 창작 군담 소설 : 중국을 무대로 가공적 영웅을 허구화한 소설로 귀족적 영웅 소설이라고도 한다.―'유충렬전(劉忠烈傳)', '조웅전(趙雄傳)', '소대성전(蘇大成傳)'

② 역사 군담 소설 : 국내의 역사적 사건을 소설화 - '임진록(壬辰錄)', '임경업전(林慶業傳)', '박씨전(朴氏傳)'

③ 몽자류(夢子類)소설 : 김만중의 '구운몽(九雲夢)', 남영로의 '옥루몽(玉樓夢)'등으로 귀족적 영웅 소설에 속한다.

 

·가정 소설 : 봉건적인 가정 내의 갈등을 다룬 소설 - 김만중의 '사씨 남정기(謝氏南征記)', 조성기의 '창선감의록(彰善感義錄)', '장화홍련전(薔花紅蓮傳)' 등

 

·대하 소설 : 주인공의 영웅적 투쟁과 남녀의 이합(離合) 등의 소재를 복합적으로 다룬 소설로, 가문(家門) 소설 또는 낙선재본(樂善齋本) 소설이라고도 한다. - '명주보월빙(明珠寶月聘)'과 그 속편 '윤하정삼문취록(尹河鄭三門聚錄)' 등

 

·애정 소설 : '운영전(雲英傳)', '숙영 낭자전(淑英娘子傳)', '채봉감별곡(彩鳳感別曲)', '숙향전(淑香傳)', '부용상사곡(芙蓉想思曲)' 등

 

·세태 풍자 소설 : '배비장전(裵裨將傳)', '이춘풍전(李春風傳)', '삼선기(三仙記)', '두껍전' 등

 

·판소리계 소설 : 판소리 사설이 독서물로 정착, 유통되면서 이루어진 소설로 초인적인 능력을 가진 영웅이 존재하지 않으며 사건 전개에 있어서도 경험적인 인과 관계가 중시된다. 구수한 해학(諧謔), 신랄한 풍자 속에서 조선 후기 사회의 생활상을 폭넓게 형상화한 점도 판소리부터 유래된 특징이다. 특히 평민층 독자가 많았다. - '춘향전(春香傳)', '심청전(沈淸傳)', '흥부전(興夫傳)', '토끼전', '별주부전', '배비장전', '장끼전', '옹고집전(壅固執傳)', '숙영 낭자전', '화용도' 등

 

― 조선 후기 가사 문학의 변모

 가사가 음풍농월이나 안빈낙도에 머물렀던 전기 사대부 가사가 서정적 내용에서 서사적· 교술적 내용으로 바뀌었고, 작자층도 평민에까지 확대되었다. 그리고 산문화 경향으로 말미암아 기행 가사(紀行歌辭), 유배 가사(流配歌詞), 내방 가사(內房歌辭) 등이 발달하였는데 이는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관심의 확대 및 주제와 표현 양식의 다변화를 의미한다.

 

·내방 가사 : 주로 영남 지방의 부녀자들에 의해 제작되고 전승되어 온 것으로 부녀자들 의 생활과 심정을 노래한 가사 - '계녀가(戒女歌)', '용부가(庸婦歌)', '규수상사곡(閨秀相思 曲)' 등

·기행 가사 : 국내는 물론 중국이나 일본을 다녀 온 견문을 기록한 가사 - 홍순학(洪淳學)의 '연행가(燕行歌)', 김인겸(金仁謙)의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 등

·유배 가사 : 유배 체험을 기록한 가사 - 안조환(安肇煥)의 '만연사(萬言詞)', 김진형(金鎭衡)의 '북천가(北遷歌)' 등

이 외에 월령체(月令體) 형식의 작품인 정학유(丁學遊)의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가 있고, 근대로의 전환기의 문제점을 심각하게 다룬 동학 가사(東學歌詞)로 최제우(崔濟愚)의 '용담유사(龍潭遺詞)'가 있다.

 

― 공연 예술의 발달

 판소리는 전성기에 12마당까지 확대되었으나, 고종 때 신재효(申在孝)가 여섯 마당으로 정리했고, 오늘날에는 다섯 마당만 전해진다.

·판소리 12마당 : 춘향가·심청가·흥부가·수궁가·적벽가·배비장 타령·변강쇠가·강릉매화 타령·옹고집 타령·장끼 타령·숙영낭자전·무숙이타령('숙영낭자전'과 '무숙이 타령' 대신에 '달자 타령'과 '가짜 신선 타령'을 넣기도 한다.)

·신재효 판소리 사설 여섯 마당 : 춘향가·심청가·수궁가·적벽가·변강쇠(이 중 변강쇠가 오늘날 사설만 전해질 뿐 그 곡은 유실되어 다섯 마당만 전한다)

 

·민속극의 성장

① 탈춤의 정립 : 연극의 오랜 전통이 조선 후기에 탈춤(가면극)으로 정립됨. 원래 탈춤은 농촌 탈춤에서 비롯되었는데 18세기 중엽 이후 새로운 상업 도시가 등장하면서 그 도시의 주민인 상인과 이속이 주동이 되어 새로운 도시 탈춤으로 변모시킨다. 그런데 농촌 탈춤 이 바로 도시 탈춤으로 바뀌었다기보다는 그들 사이에 떠돌이 탈춤이 있어서 매개 구실을 했다고 보는 편이 타당하다.

② 탈춤의 분류 :

농촌 탈춤(서낭제 탈놀이) - 하회 탈춤, 강릉 관노 가면극, 북청 사자 놀이

도시 탈춤(산대도감 계통극) - 산대놀이(중부 지방) : 양주 별산대 놀이, 송파산대놀이

해서 탈춤 :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은율 탈춤

오광대(五廣大) : 고성, 진주, 가산, 마산, 통영의 오광대

들놀음(野遊) : 수영, 동래의 야유

③ 꼭두각시 놀음(인형극) : 박첨지 놀음

④ 민속극의 의의 : 조선 후기에 성장한 평민 의식이 가장 극명하게 표현된 예술로, 민속극 창출의 원동력이다.

― 수필의 발달

 사회의 변동에 따른 개인의 체험이나 그 역사적 사실을 기록하는 기록 문학이 조선 후기에 크게 발달하였다. 특히 국문 수필의 경우 17세기 경부터 한글의 광범위한 보급과 함께 일상적 경험을 기술하는 데 있어 국어 문장이 발휘하는 섬세하고도 구체적인 표현력에 대한 인식이 깊어짐에 따라 많은 작품이 출현하게 되었다. 여기에는 일기(日記), 기행(紀行),궁정 수상(宮庭隨想) 등 다양한 종류가 포함된다.

 

·전쟁 체험의 기록

① 임진왜란 : 이순신의 '난중일기(亂中日記)', 유성룡의 '징비록(懲毖錄)'

② 병자호란 : 김상헌의 '남한기략(南漢機略)', 어느 궁녀의 '산성일기(山城日記)' (국문)

 

·국내외 여행의 기록

① 국외 기행(한문) : 홍대용의 '을병연행록(乙丙燕行錄)', 박지원의 '열하일기(熱河日記)', 서유문의 '무오연행록(戊午燕行錄)'

② 국내 기행 : '의유당 관북 유람 일기(意幽堂關北遊覽日記)'

 

·궁중 기록 문학 : 궁중 비화(悲話)를 다룬 것들도 있고, 소설적 성격을 띤 것도 있다. 여 성 특유의 섬세하고 우아한 표현으로 곡진한 정서와 인간미가 넘치는 내간체(內簡體) 문장의 전형을 이루고 있다. - '계축일기(癸丑日記)', '인현왕후전(仁顯王后傳)', 혜경궁 홍씨 의 '한중록(閑中錄)'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