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민요(民謠)에 대해

by 송화은율
반응형

민요(民謠)

민요의 개요

예로부터 민간에 구전되어 내려오는 노래의 총칭. 민요는 민중들 사이에서 저절로 생겨나서 전해지므로 악보에 기재되거나 글로 쓰이지 않고 구전(口傳)되는 것이다. 또한 특정한 개인이 창작하거나 아니거나 창작자가 문제되지 않는다. 악곡이나 사설이 지역에 따라 노래부르는 사람의 취항에 맞게, 노래부를 때의 즉흥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민요는 이런 특징을 지니기에 민중의 소리이고, 민족의 정서를 가장 잘 함축하고 있는 예술이라고 평가된다. 민요는 민속이고, 음악이고 문학이다. 민속으로서의 민요는 구비(口碑)전승의 하나이되, 생업·세시풍속·놀이 등을 기능으로 하여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집단적 행위를 통하여 불리어지는 기회가 많은 점이 구비전승의 다른 영역과 다르다. 음악으로서의 민요는 일반 민중이 즐기는 민속 음악에 속하는 창악이되, 전문적인 수련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점에서 판소리·무가·시조·가사 등과 구별된다. 문학으로서의 민요는 구비문학의 한 영역이며 일정한 율격을 지닌 단형시라는 점이 설화·속담·수수께끼 등에서는 찾을 수 없는 특징이다. 민요는 이러한 민속·음악·문학의 복합체로 존재할 따름이지, 그 세 측면이 서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역사적 변천과 구실

 

민요는 인류가 집단 생활의 감정을 공동으로 표현할 때부터 생겨났다. 사냥을 하거나 농사를 지으면서 같이 움직이고, 수고를 덜고, 기쁨을 나누고, 성과를 기대하는 노래가 일찍부터 필요하였다. 원시인일수록 노래 부르고, 춤추는 일이 많았다. 이런 전통은 역사가 시작되고 국가가 생긴 뒤에도 오랫동안 거의 그대로 이어졌다. 부여·고구려·삼한 등에서 국중대회(國中大會)를 하면서 남녀가 무리지어 노래부르고 춤추었다 하고, 농사를 시작하고 끝낼 때에도 그런 행사를 벌였다는 데서 민요가 큰 구실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다가 고구려·백제·신라가 통치체제를 정비하고, 예악(禮樂)사상에 따라 나라의 공식적인 음악문화를 이룩하자 민요의 위치가 달라졌다. 민요 중에서 일부는 공식적인 기능을 가진 궁중 악곡으로 채택되고, 그 나머지는 대부분 민간에서 계속 전승되는 노래로 남았다. 앞의 것의 예로 고구려의 '내원성'·'연양'·백제의 선운사·정읍, 그리고 신라의 '도설가'·'회소곡' 및 '삼국사기' 악지에서 열거한 것들이 있다. 그러나 그 대부분은 어떤 내용인지 알기 어렵고, '정읍'만은 후대까지 전승된 사설이 국문으로 표기되었다. 민간에서 전승되는 순수한 민요의 모습은 '풍요'같은 향가를 통하여 짐작해 볼 수 있을 따름이다. 통일 신라에서 고려로 넘어오면서 상층에서는 중국문화를 적극 수용하여 문학에서는 한시(漢詩)를 음악에서는 당악(唐樂)을 정착시키고 다시 아악(雅樂)을 들여오자 상하층 문화의 간격이 더 벌어지고 민요가 상승할 수 있는 기회가 크게 제한되었다. 그런데 고려 후기에 이르러서는 귀족문화의 고답적인 질서가 무너지고 상층의 이념이 재건되지 않은 기간동안 민요가 궁중악곡으로 대량 들어가 속악정재에서 불리지는 속악가사를 이루었으니, '청산별곡'·'서경별곡'·'가시리'등이 그 좋은 예이다. 이런 자료는 원래의 모습과는 다르게 다듬어진 면이 있기는 하지만, 곡조와 사설 양면에서 민요의 실상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조선왕조는 성리학을 지배적인 이념으로 삼아 전대 문화를 정리하면서, 속악가사의 곡조는 계속 이용하면서 사설은 민요와는 거리가 멀게 바꾸었다. 이와 함께, 아악을 가다듬어 예약을 확립하고자 하였으며, 나라의 위엄을 상징하는 시가문학을 마련하였다. 그 결과 민요의 지위는 과거 어느 때보다도 하락하였다. 하겠으나, 민심의 동향을 알고 교화의 정도를 가늠하기 위하여서 민요를 수집하고 참고하였기에 그것이 잊혀지지 않았다. 아이들이 부르는 동요 가운데 정치적 변화의 조짐을 알리는 참요가 있다고 믿어 기록하여두기도 하였다. 그런데 조선 후기에는 문화구조가 크게 달라지면서 민요가 적극적인 구실을 하였다. 민중의식의 각성이 민요를 통해 표현되었을 뿐만 아니라, 민속악이 일어나고, 국문시가는 물론 한시 또한 민요에 접근하고 민요에서 소재와 표현을 다수 차용하였다. 원래는 어느 특정지역에서 일정한 생활상의 기능과 더불어 전승되던 민요가 본고장을 떠나 널리 전파되고, 고정된 기능에서 이탈하여 노래 그 자체로 불리어지게 된것도 커다란 변화이다. 교통이 열리고 사람의 이동이 잦게 되자, 서울의 '아리랑'을 전국에서 부르게 되었으며, 함경도의 '어랑타령'이 남쪽지방에도 알려졌다. 무가였던 '노랫가락', 노동요였던 '뱃노래'가 놀면서 부르는 것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변화를 촉진시키는데 전문적인 놀이패가 큰 구실을 하였다. '산타령'은 선소리패라는 놀이패가 맡아서 부르는 흥미로운 공연물로 발달하였다. 전문적인 놀이패가 음악적인 세련성과 문학적 수식을 보탠 노래는 잡가라고 지칭되었으며, 민요의 범위를 벗어났다. 서울지방의 십이잡가를 통하여 독자적인 성격을 확립한 잡가는 종목이 계속 늘어나고 널리 불리어졌으며, 여러 차례 출판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일어나자 '노래'와 '소리'를 구별하여야만 되었다. 정악인 가곡을 잡다한 공연물과 구별하고자 하는 쪽에서는 가곡만 노래이고, 그밖의 것들은 소리라면서 격이 다르다고 하였다.

이런 구분에 의하면 민요는 모두 소리이다. 민요 자체는 원래 노래라고도 하고 소리라고도 하였는데, 새로운 종목이 다수등장하자 전통적인 민요를 그대로 부르고 있는 쪽에서는 자기네 것은 '옛날 노래'라 하고, 새로운 종목은 무엇이든 '중년 소리'라고 일컬었다. 양쪽의 구분에서 모두 소리라는 것이 19세기에서 20세기로 넘어오는 전환기에 다양하고 왕성하게 창작하였다. '경복궁타령'·'도라지타령'·'노들강변' 같은 것이 새로 등장하였거나 누가 지은 신민요이다. 일제강점기 동안 민요는 민족의 정서를 집약하고 일제에 대한 항거의 의지를 나타내는 구실을 맡았다. '말깨나 하는 놈 재판소 가고, 일깨나 하는 놈 공동산 간다'는 세태를풍자하고, '쓰라린 가슴을 움켜 쥐고 백두산 고개로 넘어간다'는 결의를 나타냈다.

이처럼 적극적인 항거를 할 수 없었던 민요의 표현과 정서를 받아들여 민요시를 이룩하자는 시도가 현대시에서 거듭되었으나, 이런 경지에까지는 이를 수 없었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일본에서 이식된 상업주의의 산물인 유행가 또는 대중가요가 보급되고, 또 한편으로는 농촌사회의 전통적 생활방식마저 해체되기 시작하면서 민요는 위축되지 않을 수 없었다. 민요를 그 자체로 보존하면서 음악·문학 양면에서 새로운 창조의 풍부한 원천으로 삼아야 한다는 과제는 해결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

민요 사설의 문학적 성격

 

민요의 사설은 한국 시가형식의 기본형을 두루 갖추고 있다. 대구 또는 문답으로 된 두 줄 형식이 있고, 몇 줄이 한 연을 이룬 다음 여음이 삽입되기도 하고, 여러 줄이 계속 이어지는 것도 있다. 이 세가지 기본형은 각기, 이른바 사구체 향가 여음이 삽입된 고려가요, 가사의 형식과 같다. 민요에 근거를 두고 그런 시가형식이 생겨났을 것이다. 민요의 형식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눠 볼 수 있다

(1)가창방식 : 민요는 여러 사람이 함께 부르는 방식으로는 선후창·교환창·제창이 있다. ①한 사람의 선창자와 한 사람 혹은 다수의 후창자로 나누어서, 선창자는 변화 잇는 말로 된 가사를 부르면 후창자는 똑같은 후렴을 되풀이하는 방식이 선후창이다 (예 <논매기 노래> <상여노래>,

②교환창 역시 선창자와 후창자로 나누어 부르는 방식이되, 선창자도 다수일 수 있고, 선창자와 후창자가 다같이 변화 있는 말로 된 가사를 주고받는다. (예 <모내기 노래> <놋다리 밟기>

③선후창에서는 가사의 선택이 선창자의 독점적인 권한이기 때문에 즉흥적인 창작의 여지가 크다. 제창은 여럿이 같이 부르기는 하나, 독창과 다름이 없다. 주고 독창으로 부르는 민요 중에도 후렴을 가진 것들이 있는데, 기원적으로 선후창의 민요가 아니였던가 싶고 언제나 선후창으로 바꾸어 부를 수 있다. (예 <아리랑> <어랑타령>.

(2) 율격 : 3음보(예 <아리랑> <한강수타령>도 있지만 4음보가 많다. 3음보는 좀더 경쾌한 느낌을주고, 4음보는 좀더 장중한 느낌을 준다.

후렴이 개재되어 4음보일 수 있는 것이 2음보로 된 경우도 있는데 (예 <보리타작 노래>), 긴 민요로는 100행 이상 되는 것들도 있다. (예<베틀노래> 중에 긴 것이나, <이사원네 맏딸애기>) 후렴이 있는 민요는 후렴을 경계로 연이 나뉜다. 특히 짧은 민요나 특히 긴 민요는 분련되지 않는 게 보통이다. 연들은 서로 내용상 관련을 가지기도 하나, 거의 독립적일 수도 있다.

(3) 관용적 표현 : 거의 같거나 똑같은 구절이 한 민요의 전승과 즉흥적 창작을 쉽게 해주며, 간락한 말로써 특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한다. 그런가 하면, 민요에는 몇 줄인지 확실하지 않고 음보구성에도 규칙성이 없는 비교적 자유로운 형식도 있어, 사설시조와 상통하고, 자유시처럼 보이기도 한다.

민요는 대부분 서정시이며, 서정시에 적합한 비유·상징 등의 수사법으로 소박하면서도 묘미있는 심상을 가준 것이 적지 않다. 일하는 사람의 신선하고 보람찬 의식을 나타내는 한편, 삶의 고달픔과 어려움 등을 하소연하기도 한다. 이 두 가지가 한 작품에 복합되어 긴장된 구조를 이룩하기도 한다. 지배층의 수탈에 맞서고 외적의 침입에 항거하는 의지를 비장하게 또는 풍자적인 수법으로 표출한 민요도 적지 않다. 그러나 민요는 모두 다 서정민요가 아니며 교술민요·서사민요·희곡민요라고 하는 것도 있다. 율문으로 된 문학 장르의 모든 뿌리가 민요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일을 하면서 그 절차를 열거하고, 사물에 대한 관찰을 서술하는 민요는 서정적인 맛은 적으나, 그 나름대로 긴요한 구실을 하는데, 이런 것을 교술민요라고 할 수 있다. 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동요에는 문답으로 전개되는 것이 있어, 희곡민요라는 용어를 써서 그 특징을 가려낼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예는 흔하지 않다. 서사민요는 이야기를 갖춘 민요이며 비교적 장편에 속한다. 주로 여자들이 길쌈하면서 지루함을 이기기 위해 부르며, 여자에게 가해지는 사회적 구속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욕구를 비극적으로 표출하였다. (자료 출처 : 국어국문학자료 사전, 한국사전연구사)

민요의 갈래

기능

기능요 :

일정한 기능에 맞추어 부르는 민요

노동요,

의식요,

유희요

노동요(논매기 노래, 타작 노래, 해녀 노래 등)와 지신 밟기요와 같이 세시 풍속에 관계된 노래

의식요로는 장례 의식에 관계된 노래(상여 노래)

유희요로는 놀이에 박자를 맞추면서 부르는 유희요(강강술래, 줄다리기 노래, 널뛰기 노래 등),

 

비기능요

단지 노래의 즐거움 때문에 부름

가창 방식

선후창

선창자가 변화있는 말로 노래를 부르면 후창자는 똑같은 후렴을 되풀이한다. 논매기 노래, 상여 노래 등

 

교환창

선창자와 후창자가 나누어 부르고, 모내기 노래, 놋다리 노래 등

 

독창·제창

독창은 혼자서, 제창은 여럿이 부르는 노래로 제창은 아리랑, 어랑 타령 등

창자

남요

모심기 노래, 상여 소리

 

부요

베틀요, 시집살이요, 강강술래 등

 

동요

기러기 노래, 잠자리 노래, 나물 노래 등

민요의 분류

 

민중 속에 전승되어 온 가요. 민속음악의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며, 일반적으로는 예술음악과 대립되는 말이지만, 반면 예술음악의 모체가 되기도 한다. 대개 농업과 어업 등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집단으로 제례(祭禮)나 노동을 할 때 부르기 시작한 노래로서, 특정한 창작자가 없이 자연적으로 발생하여 민중의 생활 감정을 소박하게 반영하고, 때로는 국민성·민족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민요는 유행가처럼 일시적인 것이 아니고 어버이에게서 자식으로, 자식에게서 손자로 전승되며, 그 전승도 문자나 악보를 매체로 하지 않고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고, 필요에 따라서는 춤과 함께 집단적으로 부르기 때문에 가사와 곡조가 시대에 따라 변화하기도 한다. 한국의 민요는 대개 같은 가락의 사설을 바꾸어 부르는 유절형식(有節形式)이 많고 흔히 후렴이 붙는다. 또 그 전파범위와 세련도에 따라 토속민요와 창민요(唱民謠:通俗民謠)로 구분한다. 토속민요는 어느 국한된 지방에서 불리는 것으로 사설이나 가락이 극히 소박하고 향토적이다. 김매기·모내기·상여소리·집터 다지는 소리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와는 달리 창민요는 흔히 직업직인 소리꾼에 의하여 불리는 세련되고 널리 전파된 민요로서 육자배기·수심가·창부타령·강원도아리랑 등이 그 예인데, 민요라 하면 대개의 경우 이 창민요를 가리킨다. 또한 창민요 중에서 아리랑·청춘가·이별가·군밤타령·닐리리야·도라지타령 등은 그 역사가 길지 않아 일종의 속요라고도 할 수 있다. 창민요는 지방마다 가락이 다르므로 그 차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⑴ 경기 민요 : 경기도·충청도 지방에서 불리는 민요로서 대개 5음음계의 평조(平調)선법을 지녔으며, 장·단3도 진행이 많고 세마치나 굿거리장단의 빠른 한배로 부르기 때문에 매우 경쾌하고 분명하다. 또한 선소리[立唱]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점도 특징의 하나라 하겠다. 노랫가락·창부타령·아리랑·긴아리랑·이별가·청춘가·도라지타령·사발가·태평가·오돌또기·베틀가·오봉산타령·방아타령·자진방아타령·양류가·양산도·경복궁타령·한강수타령·개성난봉가·군밤타령·닐리리아·건드렁타령·는실타령·천안삼거리 등이 있다.

⑵ 남도 민요 : 전라도 지방에서 불리는 민요로서 판소리와 산조의 장단을 많이 사용한다. 중모리와 중중모리가 많이 쓰이고 드물게 진양조(육자배기)와 자진모리(까투리타령)가 쓰이며 극적이고 굵은 목소리를 눌러 내는 특징 있는 민요이다. 새타령·육자배기·농부가·자진농부가·흥타령·자진육자배기·까투리타령·날개타령·진도아리랑·개고리타령·둥가타령·강강술래 등이 있다.

⑶ 서도 민요 : 황해도·평안도 지방의 민요로 그 선법은 완전5도 위에 조금 낮은 단3도를 쌓아놓은 모양의 것이 많다. 기악 반주를 가진 것이 별로 없으며, 창법도 특수하여 콧소리(nasal)로 얕게 탈탈거리며 떠는 소리, 큰 소리로 길게 죽 뽑다가 갑자기 속소리로 콧소리를 섞어서 가만히 떠는 소리를 내는 것 등이 특징이다. 긴난봉가·자진난봉가·사리원난봉가·병신난봉가·숙천난봉가·산염불·자진염불·몽금포타령(이상 황해도), 수심가·엮음수심가·긴아리·자진아리·배따라기·자진배따라기·안주애원성(이상 평안도) 등이 있다.

⑷ 동부민요 :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경상도·강원도·함경도 지방의 민요로, 선법은 4도 위에 단3도를 쌓아올린 3음음계로 되어 있는 것이 많다. 경상도 민요는 대개 빠른 한배의 장단이 많이 쓰이며, 세마치(밀양아리랑), 중중모리(쾌지나칭칭나네), 자진모리(골패타령)와 단모리(보리타작소리) 등이 쓰인다. 강원도 민요는 중모리(한오백년)나 엇모리(강원도아리랑) 등 규칙적인 장단도 쓰이지만 정선아리랑 같은 민요는 평안도의 엮음수심가처럼 일정한 장단이 없다. 함경도 민요는 그 형태가 강원도 민요와 비슷하며 장단은 비교적 빠른 볶는타령·자진굿거리 등이 쓰인다. 밀양아리랑·울산아가씨·쾌지나칭칭나네·보리타작소리·튀전타령·골패타령·담바구타령(이상 경상도), 강원도아리랑·정선아리랑·한오백년(이상 강원도), 신고산타령·애원성·궁초댕기(이상 함경도) 등이 있다. 이 밖에 제주도 민요가 있으나 이에 관해서는 아직 충분한 연구가 없다.(자료 출처 : 동아대백과 사전에서)

요점 정리

율격에 따라

 

4음보 : 4음보의 민요가 가장 많고, 3음보보다 장중한 느낌을 준다. 예) 시집살이요 등

3음보 : 4음보보다 좀더 경쾌한 느낌을 준다. 예) 한강수타령, 아리랑 등

2음보 : 급박한 느낌을 주며, 후렴이 개재되어 4음보로 보일 수 있는 것이 2음보로 된 경우도 있다. 예) 보리타작 등

민요의 특성

 

1) 구전성 : 입으로 전승

2) 서정성 : 정서를 직접적으로 표출

3) 서민성 : 건강한 민중 의식과 민중들의 삶과 정서가 나타남

4) 형식미 : 4음보를 바탕으로 다양하고, 스스로 즐기기 위해서 부르는 노래

민요의 기능

 

1. 종교적인 기능 : 민요는 인간의 집단 생활의 습속에서 우러나는 경우가 있다. 집단 생활 속에서의 규범이나 관습,신앙이 노래를 통해 토로되고 표현된다.

2. 유희적인 기능 : 노래를 부르면서 행위를 함에는 이것이 유희라는 인간의 본능과 직결됨을 알 수 있다.아이들의 단순한 놀이 행위에서 불려지는 노래를 비롯하여 곤충 잡기나 윷놀이,널뛰기에 따르는 노래가 있다.이것은 민요가 가지고 있는 놀이의 한 기능이라 할 수 있다.

3. 노동적인 기능 : 농민이 일터에서 일하면서 부르는 노래는 민요 가운데 그 수가 많다. 생산에 대한 기대와 기쁨,노동 자체에 대한 육체적인 괴로움을 잊기 위하여 민요가 불려지는 경우가 있다.

4. 정치적인 기능 : 민요는 민중의 생활을 표현하는 노래이기 때문에 이 속에 민중의 사상, 의견, 가치관 등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고대의 제왕들은 민요를 수집하여 현실 정치의 득실을 살피었다.또 민요는 참요의 기능을 지니고 있어 현실 정치에 대한 비판과 예언의 기능을 하고 있다. (자료 출처 : 최철 외, '국문학 개론')

민요(民謠)

 

예로부터 민중들 사이에 불려오던 소박한 노래.

작사자·작곡자가 따로 없으며 민중들 사이에서 구전되어 전해오고 있다. 그래서 민요는 민중들의 사상·생활·감정 등을 담고 있다. 또 민요는 민중의 생활을 노래한 단순한 노래의 차원을 넘어서 노동과 불가분의 관계이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생산적인 노래라는 특징을 갖는다.

역사

악보나 문자로 기록되지 않은 채 구비(口碑)전승되어왔기 때문에 언제부터 불려지기 시작했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 '노동기원설'에 따르면 민요는 노동을 하면서 박자에 맞추어 소리를 내고, 이러한 무의미한 소리에 선율을 얹어 부르기 시작했을 것으로 추측한다. 이 설에 따르면 민요는 오랜 옛날부터 있었다고 추측된다. 흔히 민요의 가능성이 있는 옛 노래를 추측하는 데 있어서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실린 제천행사에 대한 기록 중 '연일음주가무'(連日飮酒歌舞)라는 말을 토대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한국 민족이 일찍이 춤과 노래를 즐겼으며 그때 불려진 노래가 민요라고 가정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문헌으로 남아 있는 옛 노래를 보면, 상고시대에는 〈해동역사 海東繹史〉·〈대동시선 大東詩選〉 등의 여러 책에 수록되어 있는 〈공무도하가 公無渡河歌〉와 〈삼국유사〉의 가락국기(駕洛國記) 편에 언급되어 있는 〈구지가 龜旨歌〉가 있다. 또 〈악학궤범 樂學軌範〉에는 고구려의 〈황조가 黃鳥歌〉, 백제의 〈정읍사 井邑詞〉, 〈삼국유사〉에는 신라의 〈서동요 薯童謠〉·〈풍요 風謠〉·〈헌화가 獻花歌〉·〈도천수대비가 禱千手大悲歌〉·〈처용가 處容歌〉 등이 실려 있다.

고려시대의 것으로는 이전의 주술적 민요 형태에서 벗어나 일정한 체계를 갖고 있는데, 이제현의 〈익재난고 益齋亂藁〉 소악부(小樂府)에 시 11수와 이인로의 〈파한집 破閑集〉에 있는 민요집 풍요선에 〈풍요〉(풍요는 땅을 파고 흙을 운반할 때 또는 방아 찧을 때 부르는 노동요) 등이 전한다. 이 시대의 대표적 민요에는 〈가시리〉가 있다. 조선 초기의 것으로는 강희맹이 채집한 참요(讖謠) 14수가 〈증보문헌비고 增補文獻備考〉에 전하고, 조선 후기의 것으로는 이학규가 채록한 경상남도 김해지방의 민요가 있어 당시의 민요에 대한 다각적인 이해를 돕고 있다. 조선 후기 이후에는 전국에 직업적인 소리꾼이 생겨났는데 이들이 부른 민요를 흔히 통속민요라고 한다. 통속민요는 음악적으로 매우 세련된 모습을 갖추고 있다. 여기에는 〈창부타령〉· 〈성주풀이〉·〈육자배기〉·〈아리랑〉 등이 있다. 그러나 민요는 일제강점기에는 극심한 탄압을 받기도 했는데, 지금은 외래음악의 도입 등의 이유로 직업적인 소리꾼만이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으며 민간에서는 널리 불리지 않고 있다.

종류

민요의 종류는 기능상으로 노동요·유희요·의식요·정치요 등으로 나눈다.

노동요

각 지방에는 그 지방의 독특한 가락을 가진 노동요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노동요는 일의 리듬에 따라 박자를 맞추거나 흥을 돋우어 노동의 피로를 잊게 하는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농사일이 집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민요를 통한 공동체의식의 고양은 생산활동에 활력을 주는 요인이 되었다. ① 농업노동요:한국 민족은 농사를 주업으로 하기 때문에 농사일에 관계되는 노동요가 제일 많다. 〈모찌는소리〉·〈모내기소리〉·〈논매기소리〉가 대표적이며, 그밖에 〈장원질소리〉·〈벼베는소리〉·〈볏단나르는소리〉·〈타작소리〉·〈방아소리〉 등이 있다. ② 어업노동요: 〈배미는소리〉·〈닻감는소리〉·〈노젓는소리〉·〈닻줄끄는소리〉·〈그물올리는소리〉·〈고기푸는소리〉·〈배치기소리〉 등이 있다. 또 제주도에는 〈멸치후리는소리〉와 바다에 물질나갈 때 부르는 노래인 〈이여도사나〉 등이 있다. ③ 잡역노동요:여러 가지 노동에 관계된 노동요가 있다. 토목·운반 노동을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로 〈목도소리〉·〈나무꾼노래〉·〈어사용〉 등이 있으며 부요(婦謠)로 〈맷돌질소리〉·〈베틀소리〉·〈물레타령〉·〈길쌈노래〉 등이 있다.

유희요

일을 하면서 흥이 나면 여러 종류의 유희요를 부를 수 있고, 반대로 놀면서도 노동요를 부를 수 있기 때문에 노동요와 무관하지 않다. 그러나 보통은 특정한 노동과 관련없이 무용과 놀이를 수반하고 있는 민요를 유희요라고 한다. 〈강강술래〉·〈남생아놀아라〉·〈고사리꺾자〉·〈청어엮자〉·〈기와밟기〉·〈덕석몰이〉·〈덕석풀이〉·〈쥔쥐새끼놀이〉·〈문열어라〉·〈가마등〉·〈도굿대당기기〉·〈수건찾기〉·〈품고동〉·〈봉사놀이〉·〈개구리타령〉·〈마당놀이〉 등이 있다. 여기에는 어린이들이 부르는 동요도 포함되어 있다.

의식요

종교적 의식이나 제사의식 등에서 불리는 민요를 말한다. 한 집안·마을의 안녕을 비는 굿과 국가의 제천의식에서 불리는 민요 속에는 신심(神心)이 반영되어 있다. 여기에는 〈지신밟기〉·〈귀신쫓는소리〉 ·〈염불가〉·〈성주풀이〉·〈고사민요〉·〈액맥이타령〉 등이 있다. 또 장사지낼 때 부르는 민요로는 〈상여소리〉·〈달구질소리〉가 있다. 〈상여소리〉를 전라남도 나주에서는 〈어널소리〉, 강원도 명주에서는 〈에호소리〉, 충청남도 부여와 제주도에서는 〈행상소리〉, 충청북도 중원과 경상북도 예천 그리고 경기도 고양에서는 〈오호소리〉라고 한다. 〈달구질소리〉는 지방에 따라 〈회다지는소리〉·〈회방아찧는소리〉라고 한다.

정치요

한 시대의 상황과 민중의 정치의식을 드러내는 것으로 참요와 풍요 등이 있다. 왕조의 변화나 민중봉기 등의 주제를 갖고 있으며 〈녹두새요〉가 대표적이다.

그밖에 조선 후기 이후 직업적인 소리꾼이 형성됨에 따라 토속민요와 통속민요로 민요를 구분하기도 한다. 토속민요는 한 지역에서만 국한되어 불리는 민요를 말한다. 대부분의 노동요와 〈달구질소리〉가 이에 해당된다. 이것은 대체로 그 지역사람들에 의해 창작되고 향유되기 때문에 음악적으로 비교적 단순하고 소박한 것이 특징이다. 통속민요는 민요와 잡가를 잘하는 직업적인 소리꾼들에 의해 불리는 민요를 말한다. 토속민요에 비해 음악적으로 세련되어 있으며, 여러 지역에서 널리 불린다. 〈창부타령〉·〈닐니리야〉·〈수심가〉·〈육자배기〉·〈경복궁타령〉 등이 있다.

가창방식

크게 선후창(先後唱)·교환창(交換唱)·독창(獨唱) 등이 있다.

선후창

후렴을 뺀 가사를 선창자가 부르고, 이어 후렴을 후창자가 부른다. 대개 선창자는 1명이고 후창자는 여러 명이지만 때로는 후창자가 1명인 경우도 있다. 이 방식에서는 선창자가 중요한 구실을 하는데 창(唱)의 능력이 뛰어날 뿐 아니라 기억력·창작력을 두루 갖춘 사람이 맡는다. 선창자는 율격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가사를 즉흥적으로 바꾸어 부를 수도 있어 선후창의 민요는 가사가 일정하지 않다. 반면 후창자의 민요는 후렴이기 때문에 고정적이다. 〈강강술래〉·〈맷돌질소리〉가 있다.

교환창

선창자와 후창자가 번갈아 부르며 후렴이 없다. 교환창은 선창자·후창자 모두 여러 사람인 경우, 선창자는 1명 후창자는 여러 사람인 경우, 선창자·후창자 모두 1명인 경우가 있다. 이때의 창자들은 노래가사를 모두 알아야 하며, 행(行)의 수도 짝수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제한 때문에 선후창 방식에 비해 개방적이지 않으며 가사는 전래의 것을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교환창은 흔히 문답이나 대구로 되어 있는데 〈모내기소리〉·〈놋다리밟기소리〉는 문답으로 되어 있다.

독창

독창은 혼자서 부르고, 제창은 여럿이 부르는 방식으로 선후창으로 나뉘지 않는 점에서 같다. 독창 민요는 선후창으로 부를 수 있는데 〈아리랑〉·〈신고산타령〉은 독창민요이지만 후렴이 있으므로 선후창으로 부를 수도 있다. 또 〈쾌지나칭칭나네〉·〈오돌또기〉는 주로 선후창으로 부르나 후렴까지 독창으로 부를 수도 있어 후렴이 있는 민요는 선후창·독창의 구분이 불분명하다. 〈길쌈노래〉는 대표적 독창민요이다. 이 경우 가사는 한정없이 길어지며 일정한 선율이 반복되는 가락보다는 가사의 내용이 더 중요한 의미를 띠게 된다. 이러한 민요를 서사민요라고 한다. 독창으로 불리는 민요 중에는 다른 종류의 민요보다 음악적으로 휠씬 세련된 것도 있는데, 이를 가창민요라고 한다. 대표적으로 〈신고산타령〉을 들 수 있다.

음악적 특징

지역마다 다른 지역과는 구분되는 독특한 음악적 특징을 갖고 있는데, 이를 토리(조)라고 한다. 음악적 특징은 민요를 구성하고 있는 음과 음의 기능, 음이 움직이는 방식, 소리를 내는 발성법, 장식음의 사용법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그 지방 사람들의 음악어법을 말한다. 이러한 토리의 차이에 따른 민요권은 대개 경서토리권·메나리토리권·육자배기토리권·제주도토리권으로 나뉜다.

경서토리권

평안도·황해도 전지역, 강원도 서북부, 경기도 북부 지역이 해당되는데 경서토리는 경기도토리(경토리)와 수심가토리(서도토리)로 나뉘어 있다. 그런데 음악적으로 경기도토리와 수심가토리는 차이가 있다.

 

경기도토리는 구성음이 서양음계로 따져서 솔·라·도·레·미로 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고, 음색은 부드럽고 유장하며 서정적이다. 장단은 대체로 세마치나 굿거리장단을 쓰고 빠른 속도로 노래하는 것이 많다. 여기에는 〈창부타령〉·〈경복궁타령〉·〈개성난봉가〉 등이 있다. 수심가토리는 구성음이 레·미·솔·라·도로 되어 있고 이중 레·라·도가 주요음이다. 창법상의 특징으로 떠는음은 얇고 잘게 떨며 콧소리를 쓰는데, 큰소리를 내다가 갑자기 콧소리를 섞어서 잘게 떨어야 한다. 〈수심가〉·〈배따라기〉·〈긴아리〉·〈산염불〉·〈난봉가〉·〈몽금포타령〉 등이 있다.

메나리토리권

함경도·경상도 전지역, 강원도 서북부를 제외한 전지역의 민요가 해당된다. 구성음은 미·솔·라·도·레이고 주요음은 미·라·도 3음이다. 〈쾌지나칭칭나네〉·〈강원도아리랑〉·〈정선아리랑〉·〈한오백년〉 등이 있다.

육자배기토리권

전라도, 경기도 남부, 충청도 서부, 경상도 서남부 지역의 민요가 해당된다. 미·라·시의 3음이 주요음이며, 목을 눌러내는 소리의 발성을 쓰는 점이 다른 지역과 다르다. 〈육자배기〉·〈진도아리랑〉·〈강강술래〉·〈흥타령〉 등이 있다.

제주도토리권

제주도 전지역의 민요가 해당된다. 구성음은 경기도토리와 같으나 느낌이 다르다. 선율진행은 순차진행이 대부분이며, 떠는목이 없고 장식음도 비교적 적다. 〈오돌또기〉·〈이야옹타령〉·〈이여도사나〉 등이 있다.

참고문헌

한국구비문학대계 Ⅲ : 박경수 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한국민요학 : 최철,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2

한국민요대전집 : 김점도, 삼호출판사, 1991

한국의 농요 : 이소라, 현암사, 1988

한국의 민요 : 임동권, 일지사, 1986

조선민요연구 : 최남선, 성진문화사, 1985(재간)

민요의 연구 : 설성경 외, 정음사, 1984

한국민요집 : 임동권, 집문당, 1981

한국민요의 사적 연구 : 정동화, 일조각, 1981

한국민요연구 : 임동권, 이우출판사, 1978

제주도민요연구 : 김영돈, 일조각, 1965

민요의 가창구조에 대하여 〈한국민요학〉 1 : 강등학, 한국민요학회, 1991

제주도 민요의 서술체 구성에 관한 고찰 〈탐라문화〉 11 : 좌혜경, 제주대학교, 1991

한국민요학 관계목록 〈한국민요학〉 1 : 이창식, 한국민요학회, 1991

함안지방의 구비문학 조사보고-민요편 〈한국문화연구〉 : 장관진, 부산대학교, 1989

한국노동민요연구 : 김무헌,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6

제주도 민요연구-여성노동울 중심으로 : 김영민,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3

한국민요의 연구 : 정동화,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1

충북지방의 민요에 관한 연구-중원지방의 농요를 중심으로 〈논문집〉 13 : 박진, 청주교육대학교, 1977

구비전승민요-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충북편) : 하효길, 문화재관리국, 1977(출처 : 브리태니커백과사전)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