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레방아 / 해설 / 나도향
by 송화은율물레방아 / 나도향
지은이 | |||
나도향(1902~1927)
서울 출생. 소설가. 본명은 경손, 호는 도향 또는 빈(彬). 문학 수업을 하기 위해 가족 몰래 일본에 건너 갔으나, 학비 부족으로 곧 귀국하였다. 처음에는 공상적인 낭만주의로 시작해서 급격하게 전환하여 냉혹한 관찰 위주의 자연주의를 실험하다가 사회적 갈등의 누적을 해결하는 낭만주의로, 그 다음에는 사회 변화를 보여주는 인간형에 몰두하는 사실주의적인 성향으로 흘러갔다. 그의 여러 가지 시도들은 근대 문학의 초창기라는 현실을 감안할 때 비록 실패했다 하더라도 그 시도 자체가 나름대로의 가치를 지닌 값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작품으로는 ‘환희’, ‘여이발사’, ‘전차 차장의 일기 몇절’, ‘벙어리 삼룡이’, ‘물레방아’, 피묻은 원고지 몇 장‘ 등이 있다.
길잡이 | |||
1925년 <조선문단>에 발표. 표면적으로는 사회 계급간의 갈등과 대립을 드러내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인간의 본성에 초점을 맞춰 인간 관계의 균열이 모든 비극의 원인임을 제시하고 있다.
이해와 감상 | |||
이 작품은 인간의 욕망의 문제와 경제 문제, 계층간의 갈등이 뒤엉켜 있는 작품이다. 운명 문제(신분), 본능 문제(성충동), 현실 문제(가난) 등이 드러남으로써 나도향 후기 작품의 특징을 선명하게 보여 준다. 탐욕스러운 집주인과 아내의 불륜에 대해 맞선 어느 농사꾼의 비극을 다루고 있다. '물레방아'는 당시 농경사회 구조의 모순 속에서 비정상적인 연애가 이루어지는 실제적인 장소의 의미를 가지면서, 나아가 그 은밀하고 병적인 욕망(성 충동을 암시하는 상징물)을 암시하는 상징어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 작품은 계급 의식과 본능 문제를 다루면서도 그것이 추악하게 느껴지기보다는 낭만적으로 받아들여 지는 것은 이러한 상징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가진 자의 탐욕에 대한 하인의 응징이 '아내 살인'으로 매듭된다는 점에서 지배 체제 원리의 접근대성을 역설적으로 폭로하고 있는 작품으로 볼 수도 있다.
이 작품에서 이방원의 아내는 김동인의 감자의 주인공 ‘복녀’가 보여 준 윤리적인 타락과 일맥 상통하는 여인으로 묘사되고 있으나, 남편을 대하는 태도에서는 복녀와 전혀 상반된다. 즉, 지주(地主)의 유혹에 쉽게 빠져 들면서도 남편에게는 잔혹할 만큼 냉담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가난’이란 것이 윤리적인 면에서 한 여인에게 얼마나 커다란 영향을 줄 수 있는가를 보여 주는 것으로, 그녀의 죽음은 지나친 욕망과 그에 따른 윤리적인 타락에서 연유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주인공 이방원의 살인은 당대 신경향파 소설에서 보여 주는 살인과는 색다른 형태의 것이다. 즉, 지주인 신치규와의 계급에 따른 적대 관계나 경제적 궁핍에 대한 복수가 중심이 아니라, 자신의 아내를 둘러싼 애정 문제에서 오는 치정 관계의 극단적 돌파구인 것이다. 따라서, 작가인 나도향은 가진 자(신치규)와 못 가진 자(이방원)의 대립과 갈등을 그리되, 본능적인 육욕(신치규)과 물질에 대한 탐욕(이방원의 아내)이 빚어 내는 인간성의 타락을 주제로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탐욕의 파탄을 주조로 한 이 물레방아는 식민지 시대 우리 나라 농촌의 구조적 가난과 전통적인 성(性)윤리 의식의 변질이 맞물려 빚는 갈등, 그리고 그 갈등이 고조되어 죽음으로 종결되는 과정을 잘 보여 주고 있다. 특히, 이 작품에서는 돈과 인간 본능의 함수 관계에 대한 작가의 인식과 관찰이 돋보이며, 당시 농촌의 경제와 에로티시즘의 상징물인 동시에 자연의 일부로서의 ‘물레방앗간’이란 배경 설정이 이 작품의 성공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물레방아'의 상징성>
1) 인생의 덧없음(운명의 수레) 2) 성적 충동(에로티시즘, eroticism)
3) 농촌의 향토적 배경(소재의 서정성)
핵심 정리 | |||
▶갈래 : 단편소설
▶배경 : 시간 - 1920년대 일제 치하 ▶공간 - 농촌, 물레방앗간
▶경향 : 사실주의 ▶시점 :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
▶특성 : ‘물레방아’의 상징성 - ①인생의 덧없음(운명의 수레) ②성적(性的) 충동(에로티시즘)
▶주제 : ① 본능적인 육욕(肉慾)(신치규)과 물질적 탐욕(방원 아내)이 빚어낸 도덕적 인간성의 타락
② 상전(신치규)의 탐욕에 대항하는 종(이방원)의 비극적 삶
▶이면적 주제 : 당시 일제에 의해 왜곡되게 도입된 상업자본에 의해 한민족의 정신적 순결성이 훼손되어
가는 것을 비판적으로 보여주는 작품.
▶출전 : [조선문단](1925)
등장 인물 | |||
▶이방원 : 지주(地主)인 신치규 집에서 막실살이를 하는 우직하고 순박한 농사꾼. 입체적 인물
<이방원의 입체성> 수동적 삶의 자세 → 적극적 자세 (맹목적 순종) (동등한 관계) 우직하고 순박한 농사꾼 → 충동적 살인 |
▶신치규 : 방원의 상전이며 나이 오십 중반이 넘은 탐욕스런 늙은이.
▶이방원의 아내 : 물욕(物慾)과 신분 상승 욕구가 강한 여성. 이지적이면서도 창부형(娼婦型).
* 방원 아내와 상반되는 인물형 : <백치 아다다>에서 아다다 → 정신적 가치 추구
* 방원 아내와 <감자>의 복녀의 비교
<감자> (복녀) | <물레방아> 이방원의 아내 | |
공통점 | 윤리 도덕의 타락 (물적 욕구 추구) | |
차이점 | 환경으로 인한 타락 | 선천적인 요인 + 환경 |
구 성 | |||
▶발단 : 신치규는 자기 집 막실에 사는 이방원의 아내를 탐낸다.
▶전개 : 신치규는 이방원의 아내를 유혹한다.
▶위기 : 이방원은 신치규와 자기 아내가 물레방앗간에서 나오는 것을 목격한다.
▶절정 : 이방원은 자신의 아내를 두둔하는 신치규를 구타, 상해죄(傷害罪)로 구속되어 석 달간 복역하게 된다.
▶결말 : 출감한 이방원은 아내를 찾아가 본심을 물어 본다. 자신의 간청(懇請)을 듣지 않는 아내를 살해하고
자살한다.
줄거리 | |||
마을에서 가장 부자요, 세력 있는 신치규는 자기 집 막실에 사는 이방원의 아내에게 눈독을 들인다. 오십 줄에 들어선 그는 이제 갓 스물을 넘긴 아낙을 물레방앗간 옆으로 불러내어 갖은 말로 꾄다. 그에게로 와서 아들 하나만 낳아 주면 막실 신세를 면할 뿐 아니라 모든 것이 다 그녀의 것이 될 것이라고 하자, 가난에 지친 데다 윤리 의식이 박약한 그녀는 신치규와 더불어 물레방앗간 안으로 들어간다.
신치규는 이방원을 자기 집에서 내쫓으려고 한다. 두 사람이 물레방앗간에서 같이 나오는 것을 목격한 이방원은 사태를 짐작하고 부부싸움을 벌이는데 이때 그는 자신의 아내를 감싸는 신치규를 구타한다. 이방원은 상해죄로 구속되어 석 달간 복역하게 되고, 신치규는 여자를 차지하게 된 것을 만족해 한다. 출감한 이방원은 분김에 그들을 살해할 생각이었으나 마지막으로 한번 더 아내의 본심을 물어 본다. 그러나 이미 마음이 떠난 아내는 같이 도망치자는 이방원의 간청을 거절한다. 이방원은 아내를 죽이고 자살한다.
연구 문제 | |||
1. 이 소설에서 '물레방앗간'은 1) 신치규와 방원 아내의 밀회 장소이면서 2)방원 아내의 죽음 장소로 제시되 고 있다. 이것을 바탕으로 '물레방앗간'의 상징적 의미를 쓰시오.
▶부정한 애욕의 표출 장소, 파탄(종말)의 장소 부정한 애욕의 표출 장소, 파탄(종말)의 장소
☢ 생각해 봅시다
1. 이 작품에 나타난 두드러진 갈등 요인에 대하여 살펴보자.
▶
2. 이 작품에서 ‘방원’은 그 행동 변화로 보아 동적(動的)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떻게 성격이 변하는지
살펴보자. ▶ 계층적 차이와 부정(不貞)한 애정
3. ‘물레방앗간’이 지니는 상징성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 부정한 애욕과 그 파탄의 공간 #.‘물레방아’의 상징성 - 인생의 덧없음(운명의 수레), 성 충동(에로티시)
4. ‘방원’의 아내는 성적(性的)으로 타락한 여인이다. 그러한 타락의 원인이 본능적인 기질만이 아니라 환경에
의한 것임을 이 소설은 밝히고 있다. 이것을 알 수 있는 부분을 찾아보자.
▶ 이제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