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의 장르 / 갈래
by 송화은율문학의 장르
1. 장르의 개념 : 분류의 개념.
* 장르(genre), 독일어 Gattung이란 말은 라틴어 genus, generis에서 유래한 말(種이나 形態를 뜻하는 말에서 유래)
* 쉽게는 문학의 종류(kinds)나 관습(慣習, convention)의 일종이다.
2. 장르 설정의 기준
① 작품의 매체 또는 형태 - 구비와 기록문학, 운문과 산문
② 작품의 제재 특성 - 다양하고 너무 광범위한 제재
③ 창작 목적 내지 작가의 태도
④ 문학적 관습
* 그러나 위의 네가지도 장르 구분의 필요충분조건은 못 됨
3. 장르의 유개념(類槪念, Gattung)과 종개념(種槪念, Art)
① 유개념 : 시대와 지역을 초월하여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기본 장르 (시, 소설, 극 등)
② 종개념 : 시대, 지역에 나타나는 특유의 장르(시 - 고대시가, 향가, 고려가요, 시조 등)
명칭
1) 조윤제 : 상위개념(부문), 하위개념(유형, 형태)
2) 고정옥 : 형태
3) 장덕순 : 양식
4) 김수업, 조동일 : 갈래
4. 2분법 : 운문(韻文, verse), 산문(散文, prose)
* 이병기 : 시가, 산문
· 시가 : 잡가, 향가, 시조, 별곡체, 가사, 악장, 극가
· 산문 : 설화, 소설, 내간, 일기, 기행, 잡문
--- 구분 원리 : 시가는 운율, 정형, 표현이며, 산문은 운율이 없고 산형이고 서술임
* 김기동 : 율문장르군, 산문장르군
· 율문장르군 : 시적장르(향가, 속요, 별곡, 시조, 가사, 송시, 신시), 극적장르(판소리)
· 산문장르군 : 소설, 희곡, 수필, 평론
--- 난점 : 형식에 따라 구분하다보니 같은 극갈래인 판소리와 희곡 장르가 하나는 율문, 하나는 산문장르군으로 나눈 모순이 있음
5. 3분법 : 서정, 서사, 극
1) 아리스토텔레스 : 서정시, 서사시, 극시
2) 헤겔 : 서정문학(주관적인 것, 시)
서사문학(객관적인 것, 소설)
극문학(주관과 객관이 종합, 止揚된 것, 희곡)
3) 슈타이거 : 헤겔의 3분법을 계승, 유개념으로 나누고 다시 종개념으로 하위장르를 나누는 방식
서정적 서사적 극적
언어전개 감각적 직관적 개념적
시제 현재 과거 미래
인칭 1인칭 3인칭 2인칭
언어기능 표현적 지시적 2인칭
정신영역 감정 사고 의지
신경체계 정서적경험 상상적경험 동적경험
세계관 심리적 자연적 이상적
생의단계 청춘기 성숙기 노년기
역사적연계 주관적대조 객관적명제 종합
* 조윤제 : 시가, 산문, 문필
“가사 문학의 조선문학사상 독특함을 인정, 형식상 시가이지만 내용상으로는 문필이기에 독립된 갈래로 다룸.”
* 장덕순 : 서정적 양식, 서사적 양식, 극적 양식
· 서정적 : 고대가요, 향가, 고려가요, 시조·가사(주관적 서정가사), 잡가
· 서사적 : 설화(신화, 전설, 민담), 소설(전기적소설, 서사시), 수필(일기, 내간, 기행, 잡필, 객관적 서사적 가사)
· 극적 : 가면극, 인형극, 창극
* 이능우 : 시, 소설, 수필
· 가사를 수필로 봄. 수필은 시, 소설, 희곡 등 픽션적인 것은 제외한 것으로 일기, 기행, 편 지문, 만필, 가사 등)
· 난점 : 조윤제의 체계를 반영한 것이나, 희곡을 제외한 것이 결함
· 국문학의 형태에서는 ‘수필’ 대신에 만록이란 갈래 설정
6. 4분법 : 시, 소설, 수필, 희곡
1) 헤르나디(Hernadi)
플롯과 人物(인물) | |||
修辭的(수사적) | 소설 (서술-이야기) |
희곡 (작중행위) |
詩的(시적) |
수필 (설득) |
시 (명상) |
||
思想과 感情(사상과 감정) |
* 희곡과 소설의 언어는 플롯과 인물을 창조하는 데 사용, 수필과 시의 언어는 감정과 사 상을 표현하는 데 사용
* 소설과 희곡에서는 작가와 독자가 서술자나 극적 인물을 통해 간접적으로만나지만, 시나 수필에 있어서는 그런 매개가 없이 직접 만난다.
* 시나 수필은 다같이 1인칭, 시는 정서표출의 미적 가치를 가지지만, 수필은 설득의 공리 성을 가짐
2) 이능우 : 시적 작품, 소설적 작품, 수필, 희곡
3) 조동일 : 서정, 서사, 희곡, 교술
4) 조윤제 : 시가, 가사, 소설, 희곡
* 문필 = 소설 + 희곡
* 4대부문
(1) 시가 : 향가, 장가, 경기체가, 시조
(2) 가사 : 가사
(3) 소설 : 신화, 전설, 설화, 소설
(4) 희곡 : 가면극, 인형극, 창극
* 부수부문 : 평론, 잡문
* 4갈래설
* 갈래구분의 기준 : ‘전환표현의 방식’과 ‘행동주체인 자아와 그 대 상인 세계의 대립양상’
- 서정양식 : 인간적 체험의 압축
· 객관적 세계와 작자의 체험이 자아에 의해 흡수, 정서화되어 표현되는 것으로 주관성이 강한 양식
· 작품 외적 자아의 개입이 없는 세계의 자아화
(비특정전환표현 : 서정민요, 고대가요, 향가, 고려속요, 시조, 잡가, 신체시 등)
- 서사양식 : 하나의 통일성 있는 이야기 형식을 취하여 인간의 완결된 체험의 내용 제시
· 작품 외적 자아의 개입에 의한 자아와 세계의 대결
(불완전특정전환표현 : 서사민요, 서사무가, 판소리, 설화, 소설)
- 희곡양식 : 완결된 체험을 극적으로 강렬하게 표출 - 서사양식의 내용을 대화형식으로 표출
· 인간의 행위와 사건의 전개를 독자의 눈앞에서 직접 연출, 보여 주는 것으로 주관성과 객관 성의 공유.
· 자아와 세계의 대결(단, 서사와 달리 서술자의 개입이 없음)
· 인물의 대화 행동을 현재형으로 독자 앞에 직접 보여줌
(완전특정전환표현 : 가면극, 인형극, 창극, 신파극, 현대극)
- 교술(敎述) : 교훈적인 내용을 담되 단순히 윤리, 도덕의 가르침이 아니라 토의의 성격과 목적성을 드러냄
· 일정 사실을 기록, 전달하거나 지은이의 주장을 내세움
· 작품외적세계의 개입으로 이루어지는 자아의 세계화
(비전환표현 : 교술민요, 경기체가, 악장, 가사, 창가, 가전체, 몽류록, 수필)
참고
작품내적 작품외적
서정 자아 : 노래하는 여인 작품창작, 즐기는 독자
(서경별곡) 세계 : 버리고 가는 임 실제로 겪는 이별
교술 자아 : 노래하는 화자 즐기는 우리들
(한림별곡) 세계 : 원순문, 인로시···· 실제의 원순문, 인로시
서사 자아 : 아기장수 창작, 즐기는 독자, 청자
(아기장수) 세계 : 부모, 마을사람 그릇된 통념에 반발하는 대상
관군, 죽이고자하는 통념
희곡 자아 : 말뚝이 즐기는 우리
(봉산탈춤) 세계 : 양반, 특권 신분적인 특권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