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화전(梅花傳)
by 송화은율매화전(梅花傳)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한글 필사본. ‘ 매화양유전 ’ 또는 ‘ 유화양매록 ’ 이라고도 한다. 필사본으로 김동욱 ( 金東旭 ) 소장본(현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 소장)과 정병욱 ( 鄭炳昱 ) 소장본 박순호(朴順浩) 소장본 9종, 강전섭(姜銓燮) 소장본 2종이 있으며, 고려대학교 · 단국대학교 도서관과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도서관 등에도 소장되어 있다.
활자본으로는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 설중매화 ’ (1925)라는 제목으로 소장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작품은 국내를 지리적 배경으로 삼고, 여주인공 매화와 남주인공 양유의 결연담을 다룬 애정소설이다. 작품 전개에 도술적 기능이 크게 작용하고 있으므로 도술소설이라고도 한다.
작품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경기도 장단에 김주부라는 도술이 능한 선비가 매화라는 무남독녀를 두고 살고 있었다. 조정의 간신들이 그를 해치려 하므로 딸 매화를 남장을 시켜 길에 버리고 구월산으로 내외가 피하였다. 매화는 조병사 집에서 살면서 그의 아들 양유와 함께 학당에서 공부하며 성장한다. 양유는 매화의 용모를 보고 연정을 느껴왔는데, 하루는 매화가 자신의 사연을 털어놓고는 부모의 승낙을 받은 뒤 혼인을 약속하자고 한다.
어느날 관상을 보는 사람이 와서 양유가 귀하게 될 상이지만 호랑이에게 잡혀죽을 위험이 있다며, 매화와 양유를 혼인시켜야 한다는 편지를 남겨 놓는다. 매화의 신분을 알게 된 조병사는 매화를 내당에 머물게 한다.
조병사의 부인은 계모로서 성품이 악하여, 매화를 자기 동생과 혼사시키고자 한다. 계모는 동생을 시켜, 장단의 주민을 매수하여 매화의 아버지가 나쁜 인물이라고 소문내도록 한다. 조병사가 장단에 가서 김주부에 대한 악평을 듣고는 매화를 천한 사람의 자식이라며 박대한다. 매화가 계모의 강제 혼인을 거절하자 조병사는 매화를 내쫓는다. 양유는 쫓겨가는 매화와 슬픈 이별을 한다.
계모의 하수인에 의해 납치될 처지에 이른 매화는 물에 몸을 던졌으나, 아버지 김주부가 도술로 매화를 구출한다. 매화는 구월산에 있는 어머니와 상봉한다. 혼인 전날 신랑 양유가 호랑이에 물려 구월산에 와서 혼례를 치르고 보니 신부는 매화였다. 도사로 변한 김주부가 조병사에게 구월산에 아들이 있음을 알려주자 조병사는 그곳으로 가 아들을 만난다. 그들은 김주부의 예언으로 그 곳에서 임진왜란의 피해를 면하였다. 김주부는 신선이 되고, 그들은 전쟁 후에 고향에 돌아가 행복하게 살았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도사의 도술내용을 중심으로 부모로부터의 버림, 계모의 모함,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과 만남 등 여러 모티프가 결합된 복합설화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아울러 일반적 문장표현과 함께 새타령 · 몸치장 · 방치레 · 술상치레 · 자탄가 · 산천경개 등 판소리사설의 문체를 함께 지니고 있다.
이로 인하여, 송만재(宋晩載)의 관우희 ( 觀優戱 )의 〈 매화타령 〉 과 통하는 판소리계 소설로 보기도 하였으나, 최근 〈 매화타령 〉 이 발견된 점을 고려할 때 이 작품은 판소리계 소설의 문체의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작품의 주제는 고난 속에서도 하늘이 정한 배필을 찾아 행복한 삶을 누린다는 애정소설의 내용에 있다.
남녀주인공들의 혼사 실현을 주요 내용으로 하면서 도술을 통한 권선징악의 의미가 강하게 깔려 있다. 그러나 악인형 계모에 대한 징계가 없는 점에 의하여 권선적 경향이 지배적인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창작 시기는 구체적으로 지적할 수 없으나, 임진왜란이 소재로 등장하고 있으므로 조선 후기의 작품임은 분명하다.
≪ 참고문헌 ≫ 古典小說異本目錄(曺喜雄, 集文堂, 1999), 매화전(정병욱 해제, 韓國學報 5, 一志社, 1976), ‘ 강릉매화타령 ’ 발견의 의의(김헌선, 국어국문학 109, 1993), ‘ 유화양 鏡 록 ’ 연구(朴光洙, 어문연구 25, 1994).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