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루백 포호(婁伯捕虎)

by 송화은율
반응형

루백 포호(婁伯捕虎)

한림박사 최루백은 수원 호장의 아들이었는데, 나이 열 다섯인 때에 아버지가 사냥을 갔다가 범에게 물리거늘(범한테 잡혀 먹혔으므로)가 잡으려 하니 어머니가 말리더니 루백이 이르되, "아버지의 원수를 아니 갚겠습니까?"하고 즉시 도끼를 메고 발자취를 밟아가니, 범이 이미 배불리 먹고 누웠거늘, 바로 들어가 꾸짖되,"네가 내 아버지를 먹으니 내 반드시 너를 먹으리라," 하거늘, 범이 꼬리를 젖고 엎드리므로 베어 배를 따서 아버지의 살과 뼈를 내어 그릇에 담고, 범의 고기는 독에 담아 내어 묻고, 아버지를 묻고(장례를 지내고)시묘를 살았는데 하루는 (풋잠이 들어)정신이 어렴풋하였는데 아버지가 와 글을 읊되, "개암나무 헤치고 효자막에 오니, 뜻이 감동함이 많아서 눈물이 다함이 없도다. 흙을 져다 날마다 무덤(묘)위에 올리나니 (그 효성을) 아시는 이는 밝은 달과 맑은 바람이니라. 살았을 때는 봉양하고 죽으매 지키나니 (무덤가에서 시묘 사니), 누가 이르되, 효도가 처음과 끝이 없다 하더냐?" 문득 읊고 못 보니라(사라져 버렸다). 루백이 아버지의 탈상을 마치고 고기를 다 먹으니라.

요점 정리

문종 : 번역문, 산문

문체 : 역어체, 문어체

주제 : 효도(죽은 아버지의 원수를 갚고 지성으로 시묘를 살아 그 아버지의 영혼을 감동하게 했다.

내용 연구

이해와 감상

 

고려 때 한림박사 최 루백의 지극한 효성을 그린 글로, 호환에 죽은 아버지의 원수를 갚고 이어 시묘로 효성을 다하였더니, 그 지극한 효성에 감동한 아버지의 영혼이 현몽하여 그를 찬양하고 위로했다는 것으로, 공자가 이른 효에는 시종이 있다는 말을 인용하여 주인공의 지극한 효성을 찬양하여 만인의 귀감을 삼고자 한 것이다. 부모님께서 살아 계실 때에는 잘 공양하고, 돌아가시면 무덤 옆에 초막을 짓고 3년동안 시묘살이를 한다는 도리를 강조한 것이다.(자료 출처 - 오태현, 변재호, 유준기 공저 - 고전문학 -동아출판사간-)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