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독해연습21 / 유전자들의 전쟁

by 송화은율
반응형

 

21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야생동물 가운데 고매(高邁)한 기품을 자랑하는 것으로 사슴을 빼놓을 수 없다. 사슴은 지구상에 현재 약 36종이 알려져 있는데, 가장 몸집이 컸던 아일랜드 큰사슴 아이리쉬 엘크는 약 1만년 전에 자취를 감추었다. 17세기에 처음으로 아일랜드에서 화석조각이 발견되었을 때, 사람들은 이 사슴의 몸무게가 7백 킬로그램이 넘고 뿔도 양쪽으로 3미터나 돼 이 사슴이 땅 위에 버티고 섰을 때의 그 웅자(雄姿)를 상상하고도 남았다.

 

그러나 이 거구의 사슴이 어째서 멸종되었을까? 그리고 그 장대한 뿔의 쓰임새는 무엇이었을까? 이것은 중생대에 번성했다가 약 6천만년 전에 사라진 공룡들에 대한 것만큼이나 의문과 수수께끼 투성이의 논쟁거리였다.

 

결국 아일랜드 큰사슴을 이 지구상에서 사라지게 한 것은 바로 빙하기가 오면서 달라진 먹이와 환경변화 때문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게 되었다. 진화라는 자연의 순리(順理)’도 갑작스런 환경변화에는 속수무책(束手無策)이며, 이러한 또 하나의 자연의 법칙은 공룡, 맘모스 등 수백만 종을 사라지게 했다. 따라서 오늘날 우리 지구촌에 극심한 환경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인간에게도 이 자연의 준엄한 법칙은 언제 적용될지 모르는 하나의 시한폭탄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불행히도 이러한 인류 종말에 대한 예후(豫後)는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인구로 인해 더욱 그럴듯한 가능성으로 다가오고 있다. 막대한 인구가 제한된 땅과 식량, 석유를 놓고 싸우고 있으며 자원을 소모하고 화석연료를 태우고 쓰레기를 버려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또 이 인구가 주택과 도로 건설, 농경지 개간으로 녹지를 없애고 있다. 특히 열대림은 지구 육지 면적의 6퍼센트에 불과하지만 지구상 생물 종()의 절반 이상이나 사는 곳이어서 그 중요도가 매우 크다. 그런데 이 열대림이 1년에 약 76백 제곱 킬로미터씩 줄러들고 있어 매년 거의 우리 남한 땅 면적에 가까운 숲이 사라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매일 50100 종의 생물이 멸종되고 있는 것이다.

 

또 한편 예전에는 기근(饑饉), 전쟁, 질병 등으로 부적합한 자가 도태되었으나, 오늘날에는 의술과 농업의 발달로 기근과 질병에 약한 체질도 살아남아 자손을 퍼뜨리고 있다. 이런 현상을 들어 유전학자 멀러는 과거 수십만 년에 걸쳐 인간을 솎아 주었던 도태의 요인들이 사라짐으로써, 인간의 진화는 이제 멈추는 정도가 아니라 오히려 퇴화하고 있다고 개탄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높은 문화적 존재이므로 스스로 제어(制御)하고 조정할 수 있다는 낙관론자도 있다. 그러나 인간의 문화란 어디까지나 생물학적 바탕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의 산물이며, 그것이 항상 적응적이지 못하다는 것은 오늘날 지구촌의 현실이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바로 오늘날 인간들의 갖가지 야만적 행동에서, 문화의 힘이 미치지 못하는 인간의 생물학적 본령(本領)을 엄연히 보고 있는 것이다. 바로 콘라트 로렌츠가 말한 동물의 4대 충동, 즉 식욕, 성욕, 공격, 도망 가운데 특히 앞의 세 가지를 어떻게 제어하느냐가 문제일 것 같다.

 

이제 우리는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를 이러한 인간 행동들의 바탕이 어디에서 왔는가를 밝히는 진화 생물학적 탐구에서 찾아야 하고, 또 그 해결의 지혜도 얻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인간은 그래도 동물과는 다른 초월적 존재라는 인간 중심주의적 환상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리고 아일랜드 큰사슴처럼 지구상에 한때 살았다가 멸종된 생물이 수백만 종에 이른다는 사실을 지구 역사의 교훈으로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이병훈, 유전자들의 전쟁


1. 윗글의 주제가 잘 드러나도록 20자 내외로 제목을 작성하라.

환경파괴로 멸종 위기에 처한 인간

 

2. 윗글의 주제문을 쓰라.(핵심적인 내용이 드러나도록 상세히)

스스로 환경을 파괴하여 멸종 위기에 처한 인간은, 진화 생물학적 탐구를 통하여 인간 존재를 재규명하고 그 해결방법을 찾아야 한다.

 

3. 서론, 본론, 결론과 관련하여 글의 전개방식을 쓰라.

서론에서는 아일랜드 큰 사슴 아이리쉬 엘크를 예시하여 생물 멸종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본론에서는 이 멸종의 원인을 제기하고, 본론에서는 이 멸종의 원인을 빙하기가 오면서 달라진 먹이와 환경의 변화 때문으로 추측하고 있다. 또한 환경오염, 녹지 파괴, 의술과 농업의 발달로 열성 인자가 유전되어 나타나는 인간 퇴화를 예로 들면서 자연의 준엄한 법칙은 인간에게도 그대로 적용됨을 상세화하고 있다. 다음으로 인간은 스스로를 제어하고 조정할 수 있다는 낙관론자들의 견해를 부연 설명하며, 결론에서는 멸종 위기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인간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 진화 생물학적 접근을 해야 함을 다시 강조한다.

 

4. 윗글의 개요를 크게 세 단락으로 나누어 작성하라.

 

. 서론 : 아일랜드 큰사슴 아이리쉬 엘크의 멸종에 대한 의문제기()

. 본론 : (㈏~㈑)

1. 큰사슴의 멸종 이유는 달라진 먹이와 환경의 변화 때문

2. 늘어나는 인구로 인한 환경파괴로 인간도 멸종의 위협을 받는다.

3. 인간은 진화가 아니라 퇴화하고 있다.

4. 인간은 식욕, 성욕, 공격 등 3대 충동을 잘 제어해야 한다.

. 결론 : 진화 생물학적 접근을 통해 인간 존재의 의미를 탐구해 나가야 함 ()

 

5. 윗글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600자 내외로 요약하라.

 

유의사항

서론, 본론, 결론이 갖추어지도록 할 것

글의 전개 순서를 바꾸지 말 것.

인간도 생물학적 측면에서 재조명되어야 함을 잘 표현할 것.

 

아일랜드 큰사슴 아이리쉬 엘크는 약 1만년 전 지구상에서 자취를 감추었는데, 그 이유는 빙하기가 오면서 달라진 먹이와 환경의 변화 때문으로 추측된다. 진화라는 자연의 순리도 갑작스러운 환경의 변화에는 속수무책이므로, 오늘날 우리 지구촌에 극심한 환경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인간도 준엄한 법칙의 예외가 아님을 깨달아야 한다.

 

불행히도 인류 종말에 대한 예후(豫後),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인구와 그 인구들이 만들어내는 환경오염으로 더욱 그럴듯한 가능성으로 다가오고 있다. 이 인구가 주택과 도로 건설, 농경지 개간으로 녹지를 없애고 있으며, 특히 열대림은 매년 약 76백 제곱 킬로미터씩 줄고 있어 매일 50 - 100 여종의 생물이 멸종되고 있다.

 

또한 의약과 농업의 발달로 기근과 질병에 약한 체질이 살아남아 자손을 퍼뜨림으로써 인간은 오히려 퇴화하고 있다. 인간의 문화란 생물학적 바탕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의 산물이므로 발생가능한 모든 환경문제에 다 적응하지 못할 것이며, 이러한 우려는 오늘날 현실에서 여러 가지로 입증되고 있다.

 

이제 우리는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라는 문제를 진화 생물학적 탐구에서 다시 재조명하여 그 해결의 지혜를 얻어야 한다. 이 문제는 우리 가정과 학교가 감당해야 할 역사적 부채인 것이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