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독해연습17 / 이기주의와 개인주의

by 송화은율
반응형

 

17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한국에서 의 지위는 형편없이 낮았다. ‘私見’, ‘私事’, ‘私心公的인 것에 비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지니고 있음으로도 그 점을 알 수가 있다. ‘私憤(사분)’은 부끄러운 일이지만 公憤’(공분)’은 대견한 것이고, ‘私利私慾(사리사욕)’은 부덕이지만 無私滅私(무사멸사)’이다.

 

를 나타내는 말도 구미어에는 하나밖에 없는데, 우리 한국말에는 자신과 상대방이 놓인 지위와 관계가 ’, ‘’, ‘소생’, ‘불초’, ‘…… 등으로 다양하게 변하는 것을 보아도 한국에서는 상대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위치가 결정될 정도로 일정한 를 갖기가 어려웠다.

 

이것은 우리 전통적 한국 사회가 가족 사회, 촌락 사회, 직업 사회 등 집단 사회에 를 매몰시키는 것을 이상으로 여겼던 데서 비롯된 것으로 이러한 이상은 한국인의 傳統的 價値觀과 의식구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 같은 無私集團主義는 집단 영위에 있어 長點일 수도 있으나 자기 자신을 지키거나 자기 자신의 책임을 집단에 의뢰하는 자립심을 약화시켜 온 短點으로도 크게 작용해 왔다고 볼 수 있다. 그리하여 자신의 생활 속에, 그리고 자신이 소속된 집단 속에 개인적인 영역을 확립, 책임을 지는 의 확립이 현대 생활을 영위하는 데 바람직한 요소라고 장려되어 오기도 했다. 또한 도시화와 핵가족화, 산업화가 의 독립을 재촉해 왔고, 父子兄弟師弟長幼의 관계의 농도가 묽어지는 바람에 를 중요시하는 여건 조성이 더욱 필요하게도 되어 왔다. 확실히 현대는 󰡔󰡕를 집단 속에 매몰시키는 전통적인 가치관보다 를 중시하는 個人主義的 思考가 더욱 필요한 것이며 그만큼 바람직한 個性도 중요시되고 있다. 그리하여 요즈음 사람들이 점점 自己中心的으로 되어간다는 가치관의 변화 추세는 하나의 시대적 개연성이라고 우리는 보고 있다.

 

個人主義란 개개인이 자신에 대해 확고하게 책임을 지고 의 주체성을 존중해 줌으로써 설립되는 계약과 신뢰의 인간 관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他人에 대한 배려와 公共心이 더욱 요구되는 것이 個人主義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문제는 이 個人主義를 이기심이나 개인적인 이해를 중시하는 利己主義同一視하는데 있다. 근년에 미국 사회에서도 이 이기주의를 경계하기 위해 個人主義를 인디비듀얼리즘(individualism)이라 하고 利己主義를 미이즘(me-ism)으로 부르기까지 하고 있다. 個人主義를 힘든 일, 귀찮은 일, 책임질 일은 종전처럼 부모나 가족 같은 소속 집단에 의존하고 눈앞의 안일이나 쾌락, 편의, 욕심만을 차리는 미이즘과 구별하는 것이다. 곧 나와 관계되는 인간들과는 일방적으로 의존 관계만을 유지하고 여타의 관계로부터는 斷絶, 唯我獨尊, 吾不關焉(단절, 유아독존, 오불관언)으로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그런 미이즘이 개인주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미이즘의 형성 요인은 다양하다. 공부만 잘해서 일류 학교에만 들어가면 최고라는 단세포적 가정분위기, 힘들고 괴로우며 책임이 수반되는 과정을 생략하고 손쉽게 결과만을 안겨 주는 가정교육, 공공 인간으로서의 성숙을 전혀 도외시하고 이기적인 행동에는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는 공공교육, 개인의 지적 향상만을 절대시하고 사회적 인간으로서의 자질 함양에는 등한시하는 학교교육 등의 복합적 이유에서 미이즘은 점점 널이 확산되고 있음을 본다.

 

근간에 중앙 청소년 지도 육성회가 근 20년 동안에 걸친 청소년들의 가치관 변화에 관해 조사 연구한 것을 보면 가장 두드러진 핵심적인 변화가 바로 自己中心的價値觀이다. 심지어는 어른이 차에 오르면 좌석을 양보한다는 생각을 갖는 젊은이보다는 상황을 봐서 양보한다는 젊은이의 수가 조사 대상의 약 절반이나 되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 사회도 를 중시하는 사회로 변하고 있음을, 自己中心的인 사고로의 변화가 심도 있게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 같다.

 

그런데 한국 청소년들의 自己中心的 성향은 利己主義에 의해 더욱 강하게 지배받고 있지 않나 하는 의구심이 들며, 이 의구심에서 문제를 제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이기적인 자기 중심적 사고를 어떻게 책임 있고 봉사하는 외형적인 개인주의로 전환시키느냐가 가정과 학교가 감당해야 할 역사적인 부채가 아닌가 싶다.

 

<이기주의와 개인주의>, 조선일보


이 글은 한국 청소년들의 이기적인 자기 중심적 사고 경향에 대한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쓴 것이다. 필자는 를 집단에 매몰시키는 한국인의 전통적 가치관이 개인주의적 가치관의 신장에 따라 자기 중심적 사고로 변화하는 것은 시대적 추세라고 전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따라 한국 청소년들의 개인주의와 이기주의를 동일시하는 풍조가 확산되고 있음을 우려하고 있다.

 

1. 윗글을 네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부분의 중심 내용을 각각 한 문장으로 쓰시오.

 

우선 각 단락의 중심 어구, 나아가 중심내용을 밑줄을 그어 가면서 정리해 보고 단락 사이의 관계를 생각해 보는 것으로 출발한다.

 

(1)한국에서 의 지위는 형편없이 낮았다.

(2)언어를 통해 본 한국에서의 의 위치 (1)의 내용을 구미어에 나타난 말의 예를 들어 부연 설명

(3)‘를 매몰시키는 것이 한국인의 전통적 가치관의 중요한 부분이다.(1)+(2)(3)의 구성으로 여기까지는 한국에서의 에 대한 전통적 가치관은 를 매몰시키는 것이다로 정리됨.

(4)‘無私가 지닌 단점때문에 현대에서는 당연히 를 중시하는 개인주의적 사고로 변하고 있다문제제기

(5)개인주의란 한 것이다 개인주의의 개념을 설명

(6)개인주의가 미이즘이 되어서는 안 된다.(5)에서 제시한 개인주의의 참뜻이 변하고 있는 데 대한 문제점(미이즘)지적, (5)와는 역접 관계

(7)미이즘의 형성 요인과 확산 추세에 대한 우려(6)과 같은 문제점에 대한 원인 규명

(8)한국 청소년들의 자기 중심적 사고로의 변화추세필자가 이런 글을 쓰게 된 배경을 제시함

(9)한국 청소년들의 이기적인 자기 중심적 사고 성향에 대한 대책 마련의 필요성(8)+(9)마무리(주제제시)

 

이상을 종합해 보면

 

첫째부분 : (1)+(2)+(3)한국에서의 에 대한 전통적 가치관(를 집단에 매몰시키는 것이 한국인의 전통적 가치관이다.)

둘째부분 : (4) 개인주의적 가치관의 신장 추세 (자기 중심적 사고로의 변화는 시대적 추세이다.)

셋째부분 : (5) - (7) 개인주의를 이기주의 (미이즘)와 동일시하는 풍조 심화 (개인주의를 이기주의와 동일시하는 풍조가 심화되고 있다.)

넷째부분 : (8)+(9) 한국 청소년들의 이기주의적 사고에 대한 우려와 대책 마련의 필요성 (한국 청소년들의 이기주의적 사고 성향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2. 윗글에 이어서 서술할 내용이 있다면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 40자 이내로 쓰시오.

 

(9)를 통해 볼때 이 글에서 던지고 있는 문제가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그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한다. 즉 이기주의적으로 변해 가는 한국의 청소년들을 어떻게 하여야 참다운 개인주의로 전환시키느냐 하는 데 대한 가정과 학교의 대책 마련이 하나의 과제로 등장하게 된다.

(청소년들의 이기적인 자기 중심적 사고를 참다운 개인주의로 전환시키는 방법)

 

3. 윗글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600자 내외로 요약하라.

 

유의사항

요약문 자체가 완결된 글이 되도록 할 것

원문의 흐름에 따르되 자신의 표현으로 바꾸어 쓸 것

원고지 사용법과 맞춤법 규정에 맞게 쓸 것

제목과 성명을 쓰지 말 것

 

우선 네 문단으로 요약한다는 점을 명심한다. 보통 요약의 분량은 전체의 3분의 1임을 생각하고 문단의 각 단락을 여기에 맞추어 요약한다. 첫문단(서론, 도입, 이글은 도입부에 해당)부터 덤비지 말 것을 새삼 부탁한다. 결론부와 서로 호응되지 않으면 감점 요인이 된다는 것을 명심한다. 2, 3문단보다 첫 문단이 중요하다. 따라서 글의 내용과 필자의 의도를 완전히 파악한 후 요약하기 시작한다.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를 주장하지 않았다. 항상 상대방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결정할 정도로 를 집단에 매몰시키는 것이 한국인의 가치관의 주요 요소였다.

 

이 같은 가치관은 장점도 있지만 반면에 자립심을 약화시키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현대 생활을 영 위하는 데 개인적인 영역의 확립이 필요한 것으로 장려되어 왔으며, 또한 현대 사회는 를 중요시하는 여건 조성을 더욱 필요로 하다 보니 사람들이 개인주의로 변화하는 것은 당연한 시대적 추세인 것이다.

 

진정한 개인주의란 자신에 대한 확고한 책임과 개인의 주체성을 바탕으로 하므로 남에 대한 배려와 공공심을 더욱 요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 개인주의가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이기주의(미이즘)와 동일시하는 데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기주의는 가정, 학교 교육 등의 복합적인 이유로 해서 점차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20년 동안에 걸친 청소년들의 가치관 변화의 가장 핵심은 자기 중심적 가치관임을 연구 결과는 밝히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자기 중심적 성향 역시 이기주의적 요소를 띠고 있다는 의구심을 갖게 된다. 문제는 이 이기적인 자기 중심적 사고를 어떻게 책임 있고 봉사하는 외향적인 개인주의로 전환시키느냐 하는 것이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