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누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 소설 / 해설 / 김승옥

by 송화은율
반응형

누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 김승옥

 

지은이  
 
     

김승옥(1941 )

일본 오사카 출생. 1945년 귀국. 1962 <한국 일보> 신춘 문예에 생명 연습이 당선되어 등단함. 1965 서울 1964년 겨울로 동인 문학상 수상, 1977 서울의 달빛 0으로 제1회 이상 문학상 수상.

 

지적 체험을 감각적, 정감적 체험과 마찬가지로 직접적, 구체적으로 표출해 냄으로써 한국 현대 문학을 한 차원 끌어 올렸다는 평을 받고 있다. 이것은 그가 좁은 의미의 지적인 작가란 의미가 아니라, 평범한 일상의 저변에서 경이를 조성하면서 환상과 현실을 희한하게 조화시키는 허구적 능력, 기지가 번득이는 분석력, 만화경(萬華鏡)같이 다채로운 의식의 요술도 결국은 참신한 언어 재능에 의존하고 있으며, 새로운 감수성이란 요컨대 이 언어 재능이 성취한 혁신의 이명(異名)에 지나지 않는다는 뜻이다. 그의 작품 세계는 주로 자기 존재 이유의 확인을 통해 지적 패배주의나 윤리적인 자기 도피를 극복해 보려는 작가 의식을 보이고 있다. 인간의 내면성과 사회 관계의 윤리 문제를 파헤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개인의 고립성 문제를 생생하게 형상화하여 1960년대 대표적인 소설가로 평가받았다.

 

작품으로는 무진 기행’, ‘서울 1964년 겨울’, ‘역사’, 60년대식‘, ’시골 처녀‘, 환상 수첩’, 들놀이 둥이 있다.

 

<김승옥 소설의 특징>

 50년대 문학이 거의 예외없이 보여주었던 강력한 문제의식 내지 교훈주의에서 벗어났다는 점

 경직된 엄숙주의에서 탈피하여 재기발랄한 감수성과 위트, 이국적이며 애상적인 문체가 돋보인다는 점

 인간의 숙명적 조건으로서의 고독을 존재 그 자체의 생생한 모습으로 포착하고 있다는 점

길잡이  
 
     

1963 <서울신문>에 발표된 단편소설. 이 소설은 전체가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누이가 도시로 가서 적응하려다 실패한 이유를 의 입장에서 밝혀 보려는 독백적 문체의 작품이다.

 

가 발견한 누이의 비밀은, 그녀가 도시에 가서 느낀 것은 고독뿐이었으며 침묵하는 방법을 배우고 왔다는 것이다. ‘는 그 고독의 원인을 이해하기 위하여,  누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상경하지만, ‘가 배운 것은 도시적 개인주의뿐이었다.

 

이해와 감상 (1)  
 
     

김승옥은 소설의 중요한 제재의 하나는 개인의 자기 세계이다. 이것은 곧 1960년대에 들어와 도시로 인구가 집중되면서 개인들의 의식이 개별화(個別化)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도시화로 벌어진 이 문제는 김승옥의 감수성이 근본적으로 도시적 감수성이라는 점에서 서로 연결된다. 󰡔누이를 이해하기 위하여󰡕도 대체로 이런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

 

도시로 간 누이의 실패, 그에 따른 누이의 침묵, 그리고 그 원인을 이해하기 위한 의 상경,  누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상경한 는 도시의 개인주의만을 배울 뿐이다. 전체 6장으로 구성된 이 작품에는 특별한 서사적인 줄거리가 없을뿐더러 뚜렷하게 부각된 인물도 없다. 독백적인 문체로 일관하고 있는 이 작품에는 서울로 온 작중 화자인 에게 관찰된 제2장의 작가, 3장의 누이, 5장의 일지(日誌) 속에 단편적으로 등장하는 여러 인물이 있으나, 이들은 모두 작중 화자의 의식 속에서 재구성되고 평가되는 인물들이다.

 

이 작품에서 누이는 설화가 없는 농촌을 떠나 도시에 삶의 뿌리를 내리려고 갔다가 침묵만 배우고 돌아오고 만다. ‘누이가 도시에서 부딪힌 것은 모두 자기의 세계를 굳게 지키는 개인주의였으며, 그 속에서 느낀 것은 고독이었다. ‘누이는 이것에 대해 정직하게 대응하려다 좌절했던 것이다. 이 작품은 지적(知的) 내용을 감각적 언어로 서술한 작품으로, 도시로 떠난 누이가 배워 온 침묵을 통해 도시적 삶의 개인주의와 고독감을 표출하고 있다.

 

이해와 감상 (2)  
 
     

이 작품은 1인칭 독백 형식으로 특정한 서사적인 줄거리보다는 내면 의식의 서술이 주가 되고 있다. 1960년대 사회적 배경이 제재가 되고 있으며 배경은 의식 속에 내면화되어 '상황'의 구실을 하고 있다. 이 작품은 지적 내용을 감각적인 언어로 구체화시켜 나가는 서술 방식으로 서정적이고 시적인 언어의 사용 속에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지적인 내용을 암시하고 있다. 성공의 신화를 쫓아 도시로 나아간 많은 시골 젊은이와 같이 누이는 고향을 떠나 도시로 갔으나 침묵만을 배워 온다. , 누이는 도시에서 개인주의와 '군중 속에서 느낀 고독'에 의해 침묵하게 된 것이다. 그것은 도시적 삶 자체에서 비롯된 것으로 누이만의 것이 아니다. 도시의 사람들에게도 제 나름의 사연은 있게 마련이지만 그것은 실타래같이 얽힌 이율 배반성 속에 있는것이어서 결국은 개인에게 밀려 나고 마는 것이다. 도시의 사람들이 이와 같이 고독한 데 반해 항혼과 해풍의 사람들은 의지의 신화에 소외된 채 짙은 패배감 속에 고독을 느낀다.

 

핵심 정리  
 
     

갈래 : 단편소설

배경 : 해변 마을과 도시

문체 : 특정한 서사적 줄거리보다 내면 의식의 서술에 치중함. 1인칭 독백체 서술이 중심.

시점 : 1인칭 주인공 시점

의의 : 1960년대, 한국 사회의 전반적인 산업화로 인한 도시 진출 및 그로 인한 문화적 충격을 섬세하게 포착함.

주제 :  도시적 삶이 가져다 주는 정신과 문화의 황폐화.

 도시화에서 비롯된 삶의 개별화 현상과 가치의 상대화

출전 : <산문시대>(1963)

등장 인물  
 
     

누이 : ‘해풍(海風)’ 황혼(黃昏)’만이 있는, 그래서 설화(說話)’가 없는 농촌을 떠나 도시로 가지만, 그곳에 서 보고 느낀 것은 철저한 개인주의와 고독뿐, 귀향 후 얼마 있다가 시골 청년과 결혼하여 출산한다.

(김형) : 서술자. 누이의 고독과 침묵을 이해하기 위하여 상경함. 그러나 스스로 도시의 삶에 적응하지

못하고 위선적 생활로 고뇌하면서 나날을 보낸다.

구 성  
 
     

* 구성 :  6장의 분장체 구성

1 / 축전(祝電) : 누이의 출산을 축하.

2 / 프로필 : ‘가 상경한 후 서울에 와서 만난 한 위선적 인간을 그리고 있다.

3 / 갈대들이 들려준 이야기 : 누이가 침묵에 잠기는 이유를 여러 각도에서 추측해 본다.

4 / 누이의 결혼 : 시골 젊은이와 결혼한 누이.

5 / 일지 초(日誌抄) : ‘의 단편적 문장들. 도시에서 살아 남기 위한 의식적인 노력을 고백한다.

6 / 다시 축전(祝電) : 1장의 변용.

줄거리  
 
     

이 작품은 작품 전체가 서사적 줄거리를 가진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는 서사적인 줄거리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단지 화자의 독백 형식 속에 ''라는 인물과 누이가 도시로 와서 적응하려다가 실패하는 이야기임을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1) 1 : 축전(祝典) - 동생의 순산에 축전을 보내고 축전의 약어가 가지는 신기한 기능에 대해 말하고 있다. 이는 언어의 힘에 대한 작가의 새로운 인식을 뜻한다.

(2) 2 : 프로필 - 작중 화자가 누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서울에 와서 만난 한 인물을 그리고 있다. 그는 시골을 떠나 도시에서 사는 위선적인 인물, 즉 얼치기요, 가짜, 흰수작만 하는 소설가이다. 도시화의 물결 속에 파탄되어 가는 상경인의 한 모습을 보여준다.

(3) 3 : 갈대들이 들려준 이야기 - 도시에서의 좌절로 인한 누이의 귀향과 좌절의 아픔, 도시적 삶의 이해를 위한 주인공(작중화자)의 상경

(4) 4 : 누이의 결혼 - 도시화로 인한 삶의 개별화 현상과 그로 인한 궁극적 심판이 불가할 정도의 가치의

상대화 현상

(5) 5 : 일지초(日誌炒) - 작중화자의 짤막한 글을 모은 것이다. 개인적이고 위선적인 도시 속에서 살아가기 위한 의식적인 노력의 흔적들을 읽을수 있다.

(6) 6 : 다시 축전(祝典) - 1 장의 내용을 다소 변용하여 싣고 있다. 누이도 나의 축전을 받아들고 과히

당황하거나 부끄러워하지도 않으리라. 제발 지금 나의 이 뒤얽힌 감정 중에서도 밑 바닥을 이루고 있는 이 한가지의 기도가 실현된다면 그러기만 한다면 얼마나 좋겠 는가 ?

 

 생각해 봅시다

1. 이 작품의 의의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1 .

2. 이 작품에서 배경이 지닌 역할이나 의미를 생각해 보자.

 있다.

3. 작품 내용 중, ‘이 황혼과 이 해풍이 누이의 침묵을 만들어 버렸던 것이다.’가 지니는 상징적 의미를 산업화한 도시적 삶과 관련해 생각해 보자.

 시골의 삶을 가리킨다.

4. 누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화자는 무엇을 했고 무엇을 깨달았는지 살펴보자.

치한이 되었다.

5. 어머니의 성격에 대하여 살펴보자.

 누이를 이해하고 아들을 위해 기도하면서 살아가는 전형적인 한국적 여인이다.

6. 이 작품에 제시된 사건의 구조를 누이를 중심으로 하여 3단계로 살펴보자.

 떠                          남체험돌아옴의 구조로 되어 있다. 누이는 무엇인가를 이룩하기 위해 도시로 갔지만, 비정한

7. 작중 화자가 누이에 대해 소망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자.

이 자연 속에서 도시의 모든 기억을 토해버리기를 바라고 있다.

 이것만은 꼭 알아야

1. 도시적 삶이 보여 준 비인간적인 속성에 대한 반응을 누이가 어떻게 보이고 있는가?

 도시에서 돌아온 누이가 보이고 있는 유일한 반응은 침묵이다.

도시에서 돌아온 누이가 보이고 있는 유일

2. 이 작품에서 황혼과 해풍이 지니는 상징적 의미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황혼과 해풍은 전원적 삶을 표상한다. 전원적 삶은 생성과 변화의 물결 속에서의 자기 완성과 성공과 성취라 는 의지의 신화가 없는 감각으로 느끼는 수동적 삶으로 도시를 알기 전에는 조그하나마 만족할 수 있었던 삶이다.황혼과 해풍은 전원적 삶을 표상한다. 전원적 삶은 생성과 변화의 물결 속에서의 자기 완성과 성공과

3. 이 작품을 통해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순수한 한 인간의 영혼에 상처를 입힌 도시의 비인간적인 문화에 대한 비판과 고발이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