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개의 애인이 되어 그의 묘에 / 한용운 / 해설
by 송화은율논개의 애인이 되어 그의 묘에 ― 한용운 |
날과 밤으로 흐르고 흐르는 남강(南江)은 가지 않습니다.
바람과 비에 우두커니 섰는 ①촉석루(矗石樓)는 살 같은 광음(光陰)을 따라서 달음질칩니다.
논개(論介)여, 나에게 ③울음과 웃음을 동시에 주는 사랑하는 논개여.
그대는 조선의 무덤 가운데 피었던 좋은 꽃의 하나 이다. 그래서 그 ④향기는 썩지 않는다.
나는 시인으로 그대의 애인이 되었노라.
그대는 어디 있느뇨. 죽지 않은 그대가 이 세상에는 없고나.
나는 ①황금의 칼에 베어진 꽃과 같이 향기롭고 애처 로운 그대의 당년(當年)을 회상한다.
술 향기에 ②목맺힌 고요한 ③노래는 ④옥(獄)에 묻힌 썩은 칼을 ⑤울렸다.
춤추는 소매를 안고 도는 ⑥무서운 찬바람은 ⑦귀신 나라의 꽃수풀을 거쳐서 ⑦떨어지는 해를 ⑧얼렸다.
가냘핀 그대의 마음은 비록 침착하였지만 떨리는 것보다도 ⑨더욱 무서웠다.
아름답고 ⑩무독(無毒)한 그대의 눈은 비록 웃었지만 우는 것보다도 더욱 ⑪슬펐다.
붉은 듯하다가 푸르고 푸른 듯하다가 희어지며 가늘게 떨리는 그대의 입술은 웃음의 조운(朝雲)이냐 울음의 모운(暮雨)이냐 새벽달의 비밀이냐 이슬꽃의 상징(象徵)이냐.
⑫빠비 같은 그대의 손에 꺾이우지 못한 낙화대(落花 臺)의 남은 꽃은 부끄럼에 취(醉)하여 얼굴이 붉었다.
옥 같은 그대의 발꿈치에 밟히운 강 언덕의 묵은 이끼는 ⑬교긍(驕矜)에 넘쳐서 ⑭푸른 사롱(紗籠)으로 자기의 ⑮제명(題名)을 가리었다.
아아, 나는 그대도 없는 ①빈 무덤 같은 집을 ②그대 의 집이라고 부릅니다.
만일 이름뿐이나마 그대의 집도 없으면 그대의 이름을 불러 볼 기회가 없는 까닭입니다.
나는 꽃을 사랑합니다마는 그대의 집에 피어 있는 꽃 을 꺾을 수는 없습니다.
그대의 집에 피어 있는 꽃을 꺾으려면 나의 창자가 먼저 꺾어지는 까닭입니다.
나는 꽃을 사랑합니다마는 그대의 집에 꽃을 심을 수는 없습니다.
☞1연: 논개의 순국 예찬(과 독립 의지의 피력)
⊙ 역설법 ; 1, 2, 3, 6행
⊙ 1행 ; 역설법. 400년 전의 비극의 현장이 오늘날에도 우리 눈앞에 그대로 있음.
⊙ 2행 ; 촉석루의 퇴락한 모습. 역설법. ② 부정적 심상
③ 부끄러움과 자부심. ‘육신의 죽음이 주는 슬픔’과 ‘의로운 정신이 주는 기쁨’으로 보기도 함.
⊙ 4행 ; 조선의 역사에서 순국 선열의 하나이다.
④ ; 애국심. 충정. 충의(忠義)정신의 영원함
⊙ 5행 ; 나라와 민족을 위한 자기 희생의 다짐
⊙ 6행 ; 영원할 논개의 애국정신이 오늘날 잊혀지고 있다.
☞2연: 논개의 순국 당시의 모습 회상
⊙ 황금 ; 고귀함. 고귀하게 죽은 그대의 향기롭고 애처 로운 당시를 회상한다.
① 실현된 민족정기에 의해 죽은 논개. 논개의 죽음은 민족적 정기의 실천임.
② 목멘. ③ 논개의 결심. ④ 억눌린 민족 정기, 민족혼, 민족의 저력 → 억눌린 민족 정기가 ‘황금의 칼’로 소생함. ⑤ 일깨웠다. 소생시켰다. ⑥ 논개의 굳은 결의
⑦ 죽음의 이미지로 민족 전체의 몰락을 상징함.
⑧ 멈추게 하였다. ⑨ 결연한 의지. ⑩ 개인적 원한이나 앙심이 아니므로. ⑪ 민족적 몰락의 현실 때문에.
⊙ 6행 ; 논개는 ‘조운, 모우, 비밀, 상징’이 되어 항상 시인의 곁에 있으나, 논개가 시인에게는 풀어야 할 비밀이요 상징이다.
⇒ or 구국의 쾌감이요, 민족 몰락의 비애요, 새벽달의 신비(비밀)요, 청순함과 아름다움의 상징이다.
⑫ 파리(보석) 같은. 아름답고 고귀한 손. 섬섬옥수. ⑬ 교만과 긍지, 자부심. ⑭ 청사초롱. ⑮ 이름, 표제
⊙ 7․8행 ; 논개의 절대성 (고귀함) 부각. 대구법. 의인법
⇒ 꽃은 꺾이지 못했음을 부끄러워했고, 이끼는 자긍심으로 보다 고귀한 이름으로 불리기를 바랐다.
☞3연: 논개의 묘에서의 추모와 결의
① 논개의 묘. 주권 상실의 현실. ② 민족 정기가 살아 있는 공간.
⊙ 3~6행 대구법. 꺾는 행위 ; 사랑을 획득함. 심는 행위 ; 사랑을 베풂 ⇒ 논개에 대한 사랑은 감히 가까이 할 수 없을 정도로 고귀한 존재에 대한 사랑임. 논개의 절대성 부각. or ‘논개와의 일체감’의 표현으로 볼 수도 있음.
그대의 집에 꽃을 심으려면 나의 가슴에 가시가 먼저 심어지는 까닭입니다.
용서하여요 논개여, ①금석(金石) 같은 굳은 언약을 저버린 것은 그대가 아니요 나입니다.
용서하여요 논개여, 쓸쓸하고 호젓한 잠자리에 외로이 누워서 ②끼친 한(恨)에 울고 있는 것은 내가 아니요 그대입니다.
나의 가슴에 ‘사랑’의 글자를 ③황금으로 새겨서 그대의 사당에 기념비를 세운들 그대에게 무슨 위로가 되오리까.
나의 노래에 ‘눈물’의 곡조를 낙인(烙印)으로 찍어서 그대의 사당에 ④제종(祭鐘)을 울린대도 나에게 무슨 속죄가 되오리까.
나는 다만 그대의 유언대로 그대에게 다하지 못한 사랑을 영원히 다른 여자에게 주지 아니할 뿐입니다. 그것은 그대의 얼굴과 같이 잊을 수가 없는 맹세입니다.
용서하여요 논개여, 그대가 용서하면 나의 죄는 신에게 참회를 아니 한대도 사라지겠습니다.
천추(千秋)에 죽지 않는 논개여,
하루도 살 수 없는 논개여,
그대를 사랑하는 나의 마음이 얼마나 즐거우며 얼마 나 슬프겠는가.
나는 웃음이 겨워서 눈물이 되고 눈물이 겨워서 웃 음이 됩니다.
용서하여요 사랑하는 오오 논개여.
<님의 침묵> (1926)
<감상> 이 시는 임진왜란 때 진주에서 순국한 논개의 충혼을 기리며 그리워하는 마음을 절실하게 풀어 간 애도시이다. 만해는 자신이 민족의 극한 상황에서 목숨을 바친 논개의 애인이라는 가정 아래, 논개의 애국적 행동에 의미를 부여하고, 일제 강점 하에서 조국의 독립에 대한 실천적 의지를 진솔하게 드러냈다. 또한, 이 시는 역사적 인물을 관념 속에 머무르게 하지 않고 생생하게 다가오게 하고 있다.
☞ 주제 ; 논개의 충혼(애국심)을 추모함.
조국 독립을 위한 헌신적 의지
☞ 어조 ; 추모, 예찬의 비장한 목소리. 독백의 어조
☞4연: 속죄 의식과 독립에 대한 실천 의지 다짐
① 조국을 위한 희생, 헌신의 다짐. 사비유.
② 남긴 한. 식민지 현실의 한(恨)
⊙ 3행 ; 가슴에 ‘사랑’의 글자를 황금으로 새겨서 ; 논개의 충혼을 불변의 것, 고귀한 것으로 간직하여
③ 황금 ; 불변, 고귀함. or 화려한 치장 ← 황금으로 사당을 세움. ④ 제사지낼 때 울리는 종
⊙ 4행 ; 나의 노래에 ‘눈물’의 곡조를 낙인으로 찍어서~ ; 나의 노래에 슬픈 곡조를, 낙인을 찍듯이 담아서~. 즉, 아무리 눈물(의 노래)로 참회를 한들~.
⇒ 3․4행 ; 논개의 정신에 대한 실천적 계승이 없이는 위로도 속죄도 될 수가 없음. → 실천적 계승의 다짐
⊙ 5행 ; 변치 않는 사랑의 다짐
⊙ 6행 ; 논개는 신보다 더 고귀한 존재, 절대적 존재임.
☞5연: 논개에 대한 추모와 예찬 ⇒ 영탄적, 예찬적
⊙ 1, 2, 3, 4행 ; 역설법
⊙ 1, 2행 ; 논개의 충절, 충의 정신은 영원함
⊙ 즐거움, 웃음 ; 논개의 숭고한 정신에 대한 자긍심.
기쁨
⊙ 슬픔, 눈물 ; 논개의 부재에 따른 비애. 실천적 계승을 하지 못하는 부끄러움, 죄책감으로 인한 눈물.
⊙ ‘흐르다 : 가지 않다, 서다 : 달음질치다, 울음 : 웃음 등의 반대물들이 서로 통하는 현상으로 인식되고 있음. →불교적 세계관. 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
⊙ 조운, 모우 ; 초(楚)의 회왕을 모신 무산(巫山)의 여자가 떠나면서, ‘큰 산이 막혀 다시 올 수 없으니, 아침엔 구름이, 저녁에는 비가 되어 가까이 하겠다’고 한 고사에 의거한 것으로, 항상 함께 함을 뜻한다.
☞ 표현 특징 ① 경어체 사용 → 경건하고 엄숙한 분위기 형성. ② 다양한 종결어미 사용 ; 폭넓은 감정을 잘 드러냄. ③ 유사한 통사 구조의 반복으로 운율적 효과를 얻고 있다. ④ 강렬한 독백과 영탄의 어조로 화자의 주관적 의지를 표현하고 있다. ⑤ 상징과 비유를 통해 주제 의식을 강화하고 있다. ⑥ 역설법을 통해 시적 진실의 세계를 창조하고 있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