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가(老人歌)
by 송화은율노인가(老人歌)
요점 정리
작자 : 미상
연대 : 미상
갈래 : 가사
성격 : 한탄적, 해학적
구성 :
기 : 인생의 허무함과 늙음을 물리치고 싶은 간절한 마음
승 : 늙어서 추해진 모습과 인생의 덧없음
전 : 젊은 날 여러 부류의 친구들과의 교유를 회상함
결 : 늙어서 서러운 처지와 젊었을 때 실컷 놀기를 권유함
형식 : 4음보를 1행으로 헤아려 100행의 가사로 대구법, 의인법, 직유법 등 사용
주제 : 인생이 덧없이 늙어가나 인간의 힘으로는 결코 늙음을 막을 수 없으므로, 욕망에 따라 마음껏 현실을 즐길 것을 권유함. / 늙음에 대한 한탄과 인생무상의 삶을 즐길 것을 권유함.
표현 : 대구법, 의인법, 직유법 등을 사용하여 늙음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늙음을 한탄하며 만년의 서러움을 토로했으며, 젊은이들에게 인생을 즐길 것을 권유함. 카르페 디엠(Carpe Diem) / Seize the day
화자의 정서와 태도 : 늙음을 한탄하며 만년의 서러움을 토로하며 젊은이들에게 인생을 즐길 것을 권유함
출전 : 가사육종, 교주가곡집 수록
내용 연구
- 해설은 첨부파일에 있음.
이해와 감상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가사육종 歌詞六種≫·≪교주가곡집 校註歌曲集≫ 등에 실려 있다. 4음보를 1행으로 헤아려 모두 100행이다. 인생이 덧없이 늙어가나 인간의 힘으로는 결코 늙음을 막을 수 없으므로, 욕망에 따라 마음껏 현실을 즐기자는 것이 주제이다.
사설이 ≪경세설 警世說≫에 실려 있는 〈백발가 白髮歌〉와 상당한 부분에서 일치하거나 동질적이다. 이 작품이나 〈백발가〉는 당시에 구비로 전승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 까닭은 이 두 작품이 공식적 표현, 관용적 어구, 전형적 상징 등 구비문학의 특성을 사용한 각 편의 관계에 있는 듯하기 때문이다.
조선 후기의 가사는 기록이나 전사(轉寫)에 의한 전파뿐만 아니라, 가창이나 음영 등 구비적 전달방식에 의해 전파되기도 하였다. 이 작품은 후자의 방식에 해당한다는 데서 그러한 추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작자의 의도 또는 작품의 주제에 있어서는 두 작품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즉, 〈백발가〉는 늙음에 당하여 젊은 시절을 허랑방탕하고 무절제하게 보낸 것을 후회하면서, 결코 젊음을 욕망에 따라 방종 속에 허송해서는 안 된다는 유교교훈적 의도를 강력하게 드러내고 있다. 그에 반해 이 작품에서는 결말 부분에 역력히 드러나 있듯이, 젊었을 때 마음껏 먹고 쓰고 놀라고 하였다.
결국 〈백발가〉가 지배체제의 유교적 규범에 속박된 봉건주의적 지향을 보인다면, 이 작품은 피지배계층인 민중의 현실주의적 사고에 뿌리를 둔 반봉건적 지향을 보이는 것이다. →백발가
≪참고문헌≫ 註解歌辭文學全集(金聖培 外編, 精硏社, 1961), 가사의 실현화 과정과 근대적 지향(金學成, 近代文學의 形成過程, 文學과 知性社, 1982).(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