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들 / 요점정리 / 킬머(Kilmer)
by 송화은율나무들 / 킬머(Kilmer)
나는 생각한다, 나무처럼 사랑스런 시를
결코 볼 수 없으리라고.
대지의 단물 흐르는 젖가슴에
굶주린 입술을 대고 있는 나무
온종일 하느님을 우러러보며
잎이 무성한 팔을 들어 기도하는 나무
여름엔 머리칼에다
방울새의 보금자리를 치는 나무
가슴에 눈이 쌓이고
또 비와 함께 다정히 사는 나무
시는 나와 같은 바보가 짓지만
나무를 만드는 건 하느님뿐.
시는 나와 같은 바보가 짓지만
나무를 만드는 건 하느님뿐.
요점 정리
작자 : 킬머(Kilmer) / 김귀화 옮김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예찬적
어조 : 경건한 어조
제재 : 나무
주제 : 나무의 미덕(美德)
출전 : <나무와 다른 시들>(1917)
내용 연구
젖가슴에 굶주린 입술을 대고 있는 나무 : 뿌리를 상징
시는 나와 같은 바보가 짓지만 : 지상의 창조물
나무를 만드는 건 하느님뿐. : 천상의 창조물
이해와 감상
미국의 상징주의 시인인 킬머의 대표작으로 1917년에 발표된 `나무와 다른 시들'에 실려 있는 작품으로서 깊고 맑은 영혼을 노래하는 기도 같은 시라고 할 수 있다.
이 시는 미국의 상징주의 시인 킬머의 대표작으로 따뜻하고 맑은 시어로 세상을 노래하고 있는데, 시인이 짓는 시와 하느님이 만드는 나무를 대비시켜 나무의 겸허, 정다움, 극진함 등을 칭송하고, 나무의 이미지를 상징화시키고 있다. 맑고 진실한 시어로 겸손하게 노래한 경건한 시이다.
심화 자료
킬머(Alfred) Joyce Kilmer
1886. 12. 6 미국 뉴저지 뉴브런즈윅~1918. 7. 30 프랑스 스랭주 근처.
미국의 시인으로 〈나무 Trees〉라는 12행시가 가장 유명하다. 킬머는 러트거스대학교와 컬럼비아대학교에서 공부했다. 처녀시집 〈사랑이 무르익을 때 Summer of Love〉(1911)에서는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를 비롯한 아일랜드 시인들의 영향을 드러냈으나, 가톨릭으로 개종한 뒤에는 코번트리 펫모어와 17세기 형이상파 시인들의 시를 모델로 했다. 가장 유명한 시 〈나무〉는 1913년 〈포이트리 Poetry〉에 발표되었는데, 섬세한 감정과 소박한 철학이 조화를 이루어 발표된 직후부터 계속 사랑을 받았다. 시집 〈나무 외(外) Trees and Other Poems〉(1914)와 〈중심가 외 Main Street and Other Poems〉(1917), 수필집 〈서커스 외 The Circus and Other Essays〉(1916), 그리고 작가들과의 인터뷰를 모아 엮은 〈태동하는 문학 Literature in the Making〉(1917) 등의 저서가 있다. 1913년 〈뉴욕 타임스 The New York Times〉의 편집인이 되었으며, 1917년 현대 가톨릭 시선집 〈꿈과 심상 Dreams and Images〉을 편집했다. 제1차 세계대전중에 전사했고, 죽은 뒤 무공훈장을 받았다. (출처 : 브리태니커백과사전)
미국 문학
18세기
18세기초에는 낡은 전통을 그대로 답습하려는 저작가들이 있었다. 커튼 매더는 방대한 〈미국에서의 그리스도의 위업 Magnalia Christi Americana〉(1702)과, 힘찬 〈목회 안내 Manuductio ad Ministerium〉(1726)에서 옛 청교도 신앙을 옹호했다. 조너선 에드워즈는 신앙부흥을 목표로 한 '대각성운동'을 일으켜 동부 연안 전체에 널리 영향을 미쳤다. 인간은 원래 타락한 존재이며, 신의 은총을 통해서만 미덕과 구원에 이를 수 있다는 칼뱅주의의 교리를 강력한 설교와 아름답고 명석한 산문으로 논했다. 그의 대표적인 철학논문이 〈의지의 자유 Freedom of Will〉(1754)이다. 그러나 매더와 에드워즈는 운명이 다해가는 교의(敎義)를 옹호한 셈이다. 한편 존 와이스나 조너선 매이휴 같은 자유주의적 뉴잉글랜드 목사들은 한결 관용적인 경향을 보여준다. 보스턴 지사이며 상인인 새뮤얼 시월은 그의 흥미로운 〈일기 Diary〉에서 또다른 변화를 보여준다. 그는 독실한 신앙인이기는 했으나 뉴잉글랜드의 활발한 상업의 세속적인 태도가 엄격한 청교도주의를 대신하고 있음을 적고 있다. 새라 나이트 부인의 〈일기 Journal〉에는 1704년의 뉴욕 여행이 희극적인 필치로 그려져 있다. 남부에는 이들보다 다소 늦게 등장한 버지니아의 윌리엄 버드 2세가 있다. 이 귀족적인 농원주는 암울했던 선인들과는 전혀 대조적이다. 대표작으로는 1728년의 측량여행을 기록한 〈측량기 The History of the Dividing Line〉와 변경에 있는 자기 토지를 찾아간 〈에덴 동산 기행 A Journey to the Land of Eden〉(1733)이 있다.
미국 독립전쟁 초기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작가는 벤저민 프랭클린과 토머스 페인이며 그밖에 새뮤얼 애덤스, 존 디킨슨, 조지프 갤로웨이가 있다. 프랭클린은 1722년부터 형이 발행해오던 신문 〈뉴잉글랜드 커런트 New England Courant〉에 기고하기 시작했다. 이 신문은 서민과 농부를 대변했고 쉽게 이해되는 언어와 실용적인 논의를 폈다. 프랭클린이 1732~57년에 걸쳐 해마다 편집한 〈가난한 리처드 달력 Poor Richard's〉은 경구로 넘쳐 있어 널리 읽혔다. 〈자서전 Autobiography〉(1771~88)에는 출세와 성공을 위한 세속적인 지혜가 들어 있다. 그가 쓴 영국과의 분쟁에 관한 논문·논평·보고서 등은 식민지측의 주장을 밝히고 그것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영국 태생인 토머스 페인은 미국에 건너와 필라델피아에서 잡지 편집인이 되었으며, 곧이어 식민지 편의 가장 유력한 선전원이 되었다. 〈상식 Common Sense〉(1776)이라는 논평은 식민지 사람들이 독립을 선언하는 데 큰 힘이 되었고, 〈위기 The American Crisis〉(1776~ 83)는 암담한 전쟁의 시기를 싸워나가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 둘 다 이 항쟁을 멜로드라마로 그린 것으로 천사와 같은 식민지 사람들이 일제히 일어나 사악한 영국 사람들과 대항한다는 서술이 크게 선전 효과가 있었다. 페인이 성공한 또다른 이유는 시적 열정과 길이 기억에 남는 고양된 언어로 표현한 때문이었다. 이 같은 논쟁에는 관여하지 않았으나 새로운 미국인 상을 재빨리 정립시킨 작가는 프랑스 태생인 미셸 기욤 장 드 크레브쾨르이다. 그의 〈미국 농부의 편지〉(1782)는 유럽 대륙과는 판이한 새로운 토지와 인간의 탄생을 당당하게 그려내고 있다.
신생국가
독립전쟁 이후의 시기에 지도적인 역할을 맡았던 사람들은 〈페더럴리스트 The Federalist〉지의 집필자들과 독립선언문의 토머스 제퍼슨이다. 〈페더럴리스트〉(1787~88)는 알렉산더 해밀턴, 제임스 매디슨, 존 제이가 집필한 85편의 논문으로 되어 있으며, 깊은 통찰력과 냉철한 논리로 새 헌법의 장점을 풀이한 것으로서 미국의 정치이론의 고전적 문서라고 할 수 있다. 제퍼슨은 미국의 정치사상가 가운데 가장 교양이 풍부한 사람으로서 수많은 논문과, 특히 서간, 대통령 취임연설에서 개인의 자유와 지방자치를 계속 주장했고 영향력도 매우 컸다.
주요작품
시인과 시
독립전쟁 동안에 시는 국왕파와 독립파 양쪽에서 무기로 이용되었는데 각자의 주장을 펴고 또 영웅을 칭송하는 시가 많이 씌어졌다. 〈양키 두들 Yankee Doodle〉·〈네이선 헤일 Nathan Hale〉·〈에필로그〉 등이 유명한데, 이런 노래의 대다수는 당시 잘 알려진 영국의 멜로디에 맞추어 애창되었다. 이무렵 코네티컷 주의 하트퍼드를 중심으로 시인의 무리가 나타나 '하트퍼드 재사'(Hartford Wit)라고 불렸다. 그중 가장 유명한 시인이 존 트럼벌, 티모시 드와이트, 조얼 바로이다. 이 시기에 가장 기억에 남는 시인은 필립 프리노이다. 최초로 유명해진 시는 독립전쟁을 노래한 풍자시로서 선전물로도 큰 효과를 거두었다. 그는 신고전파풍의 과장된 어법을 즐겨 썼지만 〈인디언 묘지 The Indian Burying Ground〉·〈야생 인동 The Wild Honey Suckly〉 등의 우아하고 낭만적인 서정시도 있으며 19세기에 중요하게 부각된 문학운동의 선구적 역할을 했다.
희곡과 소설
18세기말에 이르러 역사적으로 중요한 희곡과 소설이 씌어졌다. 직업적인 배우에 의해서 상연된 미국 최초의 희극은 로열 타일러의 〈대조 Contrast〉(1787)이다. 이 희곡에는 영국의 골드스미스와 셰리든의 영향의 흔적이 뚜렷하지만 미국 특유 양키의 전형을 선보였다. 윌리엄 던랩은 많은 희곡을 썼으며, 다른 극작가들의 노력을 격려했다.
최초의 미국소설 〈공감의 힘 The Power of Sympathy〉(1789)을 쓴 사람은 윌리엄 힐 브라운인데, 이것은 영국의 새뮤얼 리처드슨이 만들어낸 감상소설 형식을 따른 것이었다. 그후 19세기말에 이르기까지 감상적 소설의 흐름은 계속되었다. H. H. 브래큰리지와 같이 세르반테스와 헨리 필딩을 따른 작가도 나타났다. 그의 〈현대의 기사도 Modern Chivalry〉(1792~ 1815)는 꽤 인기가 있었던 소설로서 민주주의에 대한 풍자와 변경생활의 묘사가 흥미롭다. 또 찰스 브록던 브라운의 〈윌런드 Wieland〉(1798)·〈아서 머빈 Arthur Mervyn〉(1799~1800)·〈에드거 헌틀리 Edgar Huntly〉(1799)는 고딕적 공포물의 미국풍이라고 할 수 있지만 작품성보다는 선구적인 의미가 더 크다.
19세기
초기
독립전쟁과 1812년 영국과의 전쟁 이후 국민문학을 대망하는 소리가 높아갔다. 그러자 윌리엄 컬런 브라이언트, 워싱턴 어빙, 제임스 페니모어 쿠퍼, 에드거 앨런 포를 선두로 한 위대한 반세기의 문학적 발전이 시작되었다. 브라이언트는 23세의 나이에 〈사관(死觀) Thanatopsis〉(1817)이라는 시로 주목을 끌었지만, 18세기 영국 신고전파 시인의 영향에 이어서 워즈워스를 비롯한 낭만파 시인의 영향 아래 뉴잉글랜드의 정경을 생생하게 그린 서정적인 자연시를 썼다. 〈물새에게〉·〈숲의 찬가 A Forest Hymn〉 같은 시는 사상과 감정을 결합한 인상적인 표현을 이루었다. 또 브라이언트는 전투적인 자유주의자로서 오랫동안 뉴욕의 〈이브닝 포스트〉지의 주간을 지냈지만 그 명성에 있어서는 뉴욕 태생의 워싱턴 어빙에 미치지 못한다. 어빙은 처음 맨해튼의 시민을 풍자한 〈샐머건디 Salmagundi〉(1807~08)지의 발간을 도왔으며 이어서 디트리히 니커보커라는 필명으로 〈뉴욕 역사 A History of New York〉(1809)를 썼다. 이것은 현학적인 학식과 명문의 네덜란드계 시민을 빗댄 익살스러운 역사 이야기이다. 그후 〈스케치 북 The Sketch Book〉(1819~20)과 〈브레이스브리지 홀 Bracebridge Hall〉(1822) 같은 에세이풍 작품에서는 새로운 낭만적 분위기를 도입했으며, 영국 비평가들의 아낌없는 찬사를 받은 최초의 미국 작가가 되었다. 쿠퍼의 걸작은 위대한 변경 사람 내티 범포의 생애를 그린 5권으로 된 〈가죽 각반 이야기 Leatherstocking〉(1823~41)이다. 그밖에 독립전쟁과 해상생활을 다룬 소설과 몇 권의 사회소설이 있는데, 플롯과 성격 묘사에도 뛰어나 미국뿐만 아니라 영국과 유럽 대륙에서도 널리 읽혔다. 에드거 앨런 포는 남부 태생이지만 볼티모어, 필라델피아, 뉴욕 시에서 잡지편집인으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면서 평론·시·단편소설을 썼다. 〈어셔가의 붕괴 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1839)·〈붉은 주검의 가면 The Masque of the Red Death〉(1842)·〈아만틸라도의 술통 The Cask of Amontillado〉(1846) 등은 고딕풍 공포소설의 걸작이며 치밀한 심리적 수법으로 씌어졌다. 같은 수법으로 씌어진 〈모르그가의 살인 The Murders in the Rue Morgue〉(1841)은 추리(탐정)소설의 효시로 평가된다. 〈갈가마귀 The Raven〉(1845)라는 시로 시인으로서도 명성을 얻은 포는 격조 높은 선율과 암시적인 이미지가 넘치는 많은 시를 썼다. 그의 시와 평론은 보들레르의 번역을 통해서 프랑스에 깊은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이 시기의 걸출한 남부 출신의 소설가로는 존 펜들턴 케네디와 윌리엄 길모어 심스가 있다. 케네디의 〈제비 헛간 Swallow Barn〉(1832)은 버지니아와 사우스캐롤라이나의 농원생활을 즐겁게 그리고 있다. 심스는 역사소설 〈예마시족 The Yemassee〉(1835)에서 변경과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역사를 다루었고, 독립전쟁을 배경으로 한 로맨스도 여러 권 썼다.
미국문예부흥(1830~70)
1830년대에 등장해 남북전쟁말까지 활동한 유머 작가와 뉴잉글랜드 지방 작가, 허먼 멜빌, 월트 휘트먼 등은 새로운 정신으로 작품을 썼다. 앤드루 잭슨이 대통령에 취임(1829)하면서 민주화의 확대와 함께 자국의 풍물과 인물을 강조하는 낭만주의 경향에 맞추어 이들 작가들도 작품 속에서 미국을 형상화했다. 특히 발랄한 필치를 보인 것은 두 그룹의 유머 작가였다. 그 하나는 뉴잉글랜드를 근거지로 하는 시버 스미스, 제임스 러셀 로웰, 벤저민 P. 실레이버 등의 무리로서, 이들은 상식에 바탕을 둔 논의와 꾸며낸 유머로 정치·사회 문제를 논평하는 미국적인 인물의 유형을 창출해냈다. 한편 남서부 지방에서는 데이비 크로켓, 오거스터스 볼드윈 롱스트리트, 존슨 J. 후퍼, 토머스 뱅스 소프, 조지프 G. 볼드윈, 조지 워싱턴 해리스 등이 들끓는 듯한 변경의 생활을 생생하게 그렸고, 잭슨식 민주주의의 한 부분인 보통 사람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
뉴잉글랜드의 지식인(브라민)
하버드대학교 및 매사추세츠 주 케임브리지와 인연이 깊은 뉴잉글랜드 작가의 무리는 모두 교양있는 지식인으로서,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 올리버 웬들 홈스와 앞에서 말한 제임스 러셀 로웰이 이에 속한다. 이 3명은 귀족적이고 외국문화에 심취했으며 모두가 하버드대학교 교수였다. 롱펠로는 유럽식의 시법(詩法)과 이야기 방식을 〈에반젤린 Evangeline〉(1847)·〈하이와서의 노래〉(1855) 등의 미국사를 다룬 이야기 시에서 사용했다. 홈스는 〈아침 식탁〉(1858~91) 연재에서 품위있는 익살을 잘 살렸다. 로웰은 미국의 풍경을 그린 시에서 고향의 정경을 담았고, 남북전쟁의 전사자를 추모하는 〈하버드 기념제 송시 Harvard Commemoration Ode〉에서 기품있는 감정을 잘 표현했다.
초절주의자
1830년대 후반에 매사추세츠 주의 작은 마을 콩코드는 또다른 중요한 문학 그룹인 초절주의자(transcendentalist)들의 중심무대가 되었다. 19세기초에 엄격한 칼뱅주의를 대체한 유니테리언파의 목사로서, 콩코드의 철학자들 가운데 가장 유명한 랠프 월도 에머슨이 이 그룹의 지도자였다. 유니테리언파 교리의 협소함을 느낀 에머슨은 초절주의로 돌아서서, 직관이야말로 논리와 경험을 초월하여 가장 심오한 진리를 계시한다고 믿었다. 단순하고 구체적인 언어로 사상을 표현하려고 힘쓴 그의 산문은 압축된 잠언풍의 표현이 돋보인다. 〈에세이집 Essays〉(1841~ 44)·〈대표적 인물 Representative Men〉(1850)·〈영국인의 특성 English Traits〉(1856) 등은 그의 신념의 시적인 해설이라고 할 수 있으며, 서정시는 다듬어지지 않았으면서도 그 안에 충실한 사상·감정을 담고 있어 17세기 영국의 '형이상파 시'처럼 시적 긴장을 자아낸다.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에머슨의 가까운 이웃이자 사상적인 동지였으나, 에머슨보다 더 현실적이고 또한 흙내음을 직접 느끼게 하는 자연관찰가였다. 그리고 유머도 에머슨보다 풍부해서 역설적인 표현을 즐겨 사용했다. 또한 박식한 독서가였으며 유럽의 고전뿐만 아니라 동양의 고전에도 정통했다. 〈콩코드 강과 메리매크 강에서의 한 주간 A Week on the Concord and Merrimack Rivers〉(1849)이나 〈월든 호수 Walden〉(1854)에는 그의 이러한 특성이 드러나 있다. 〈월든 호수〉에서는 검소한 생활이야말로 생명의 진수에 도달하는 길이라고 믿고, 깊은 숲속의 월든 호수의 통나무집에서 지낸 경험과 명상의 기록이다. 〈시민 불복종 Civil Disobedience〉(1849)은 무정부주의적인 정치관을 표명한 평론으로 미국적 개인주의의 한 정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 두 사람 외에도 초절주의자로서 브론슨 올콧, 조지 리플리, 오레스티스 브라운슨, 마거릿 풀러 등이 있다. 풀러는 초절주의 운동의 기관지인 〈다이얼 Dial〉지(1840~44)를 편집하기도 했고, 저서 〈19세기의 여성 Woman in the Nineteenth Century〉(1845)은 여권운동사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뉴잉글랜드의 개혁자와 역사가
사회적 변화를 요망하는 세계적인 움직임은 1840년대 후반에 정점에 달했으며 뉴잉글랜드에서는 개혁의 기운이 높아갔고, 고고한 지식인과 초절주의자들까지도 논쟁에 휘말리게 되었다. 윌리엄 로이드 개리슨은 〈리버레이터 The Liberator〉(1831~65)라는 부수는 적지만 영향력이 큰 신문을 통해 노예제도를 공격했다. 이 신문의 가장 중요한 기고가이며 이 운동의 지도적인 문인은 존 그린리프 휘티어이다. 노예제 폐지를 호소한 그의 시는 〈노예제 폐지문제의 진전중에 씌어진 시 Poems Written During the Progress of the Abolition Question ……〉 (1837)·〈자유의 목소리 Voices of Freedom〉 (1846) 등이 시집에 수록되어 있다. 이 운동의 뛰어난 소설가로서 가장 폭넓은 호응을 얻은 것은 해리엇 비처 스토였다. 〈톰 아저씨의 오두막집 Uncle Tom's Cabin〉(1852)은 그 당시의 유머와 감상소설을 한데 합쳐 노예의 곤경을 극적으로 표현한 소설이다.
이 시기에 뉴잉글랜드 문학의 전성기에 공헌한 또다른 작가 그룹이 있었다. 이들은 역사가들로서 외국에서 배운 학자적인 방법과 극적인 서술형식을 갖추었다. 조지 뱅크로프트는 중량감에 넘치는 〈미국사 History of the United States〉(12권, 완성 1882)를 썼고, 존 로스롭 모틀리는 네덜란드 공화국과 네덜란드 왕국의 역사를 매력적인 필치로 펴냈다(9권, 1856~74). 그러나 이 그룹의 대표적인 작가는 미국의 변경에서 벌어진 영국과 프랑스의 각축을 생생히 기술하고 자신의 서부여행을 기록한 〈오레곤으로 가는 길 The Oregon Trail〉(1849)을 쓴 프랜시스 파크먼이다.
호손, 멜빌, 휘트먼
이 시대의 뉴잉글랜드 소설가 가운데 제1인자라고 할 수 있는 너새니얼 호손의 단편이나 로맨스에서도 역사가 폭넓게 다루어져 있다. 예컨대 그의 걸작 〈주홍 글씨 The Scarlet Letter〉(1850)의 무대는 식민지시대이며, 〈일곱 박공의 집 The House of the Seven Gables〉(1851)은 과거와 현재를 다루고 있다. 〈대리석 목양신(牧羊神) The Marble Faun〉(1860) 같은 작품은 먼 유럽을 무대로 삼고 있다. 이들 작품은 때로는 일상적인 현실에서 떨어져 있으면서도 깊은 심리적인 통찰을 보여주며 복잡한 윤리 문제를 파헤치고 있다.
또 한 사람의 대작가는 허먼 멜빌이다. 학교교육을 거의 받지 않고 바다 생활에 뛰어든 그에게는 포경선이 '예일대학교이며 하버드대학교'였다. 초기에 쓴 작품은 선원으로서의 자신의 경험을 소설화한 〈타이피족 Typee〉(1846)·〈오무 Omoo〉(1847)였으며, 수년 후에 쓴 〈레드번 Redburn〉(1849)·〈화이트 재킷 White Jacket〉(1850) 등도 이 점에서는 같다. 그러나 1846~51년에 걸쳐 철학과 고전, 호손의 우의적이고 상징적인 작품을 탐독한 결과 새로운 문학적 관심과 의욕이 생겨났다. 〈마디 Mardi〉(1849)는 과도기적인 작품으로 그시대의 사상을 비평한 우화형식으로 씌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새로운 관심의 정점을 이룬 것이 〈백경 Moby Dick:or, The Whale〉(1851)이다. 이것은 지극히 복잡하면서도 훌륭하게 통합을 이룬 상징성에 넘치는 작품이다. 단편소설 중 걸작으로 꼽히는 〈베니토 세리노 Benito Cereno〉, 심리소설 〈피에르 Pierre〉(1852), 중편 〈빌리 버드 Billy Budd〉(집필 1890?)에서도 〈백경〉을 쓴 멜빌의 천재적 요소가 드러난다.
맨해튼의 열렬한 찬미자인 월트 휘트먼은 삶의 어두운 면에 사로잡힌 멜빌과는 달리 위대한 낙천가였으며 보통 사람의 가능성과 잭슨의 민주주의를 신봉했다. 시인을 에언자로 보는 낭만주의적 관념과 에머슨의 초절철학에 고무되어 휘트먼은 1855년에 〈풀잎 Leaves of Grass〉 초판을 간행했다. 이 시집은 운문 자서전으로서 미국에서 개인주의가 고양되는 시기에 보통시의 사상과 신념 및 감정을 노래했다. 다만 자유시의 형식을 취해 용어나 리듬이 당시의 시와는 달랐기 때문에 많은 독자를 얻지는 못했다. 그러나 미국의 대시인의 한 사람으로 인정받게 되었고 1960년대에는 일종의 부흥현상까지 나타났다.
남북전쟁에서 1914년까지
남북전쟁은 새로운 생활양식으로의 이행을 가져온 사건이었다. 그후 산업의 중요성이 점점 커졌고, 공장이 늘어나고 도시가 팽창해진 반면 농업의 중요성은 쇠퇴해갔다. 변경은 점점 서쪽으로 후퇴하다 19세기말에는 완전히 사라져버렸다. 근대 미국의 출현은 자연히 문학에서의 중요한 변화를 수반하게 되었다.
유머 작가들
오랫동안 가장 대중적인 인기를 모아온 유머 작품에 중요한 변화의 조짐이 나타났다. 아티머스 워드, 페트롤리엄 V. 내즈비, 빌 아프(1826~1903), 조시 빌링스, 빌 나이 등은 독자의 인기에 편승하여 지금까지의 지역적 특색을 버리고 개성이 약화된 유머 작가로 돌아섰다. 유머의 성질도 인물묘사에서 문법과 철자가 엉망이고 속어투성이인 우스꽝스러운 어법으로 옮겨갔다.
소설과 지방색 작가
이 시기부터 소설이 중심적인 장르가 되었다. 먼저 인기를 얻은 것은 지방색 작가로 불린 소설가들로서 새로운 유머 작가들이 포기한 지역적 특성을 그려내는 일을 떠맡고 나섰다. 브렛 하트는 이같은 지방색 소설의 창시자로서 가장 뛰어난 작가였다. 이 장르에 속하는 것으로는 뉴잉글랜드를 그린 해리엇 비처 스토의 〈그리운 마을 사람들 Oldtown Folks〉(1869)·〈샘 로슨의 그리운 마을 난롯가 이야기 Sam Lawson's Oldtown Fireside Stories〉(1871)를 비롯해 캘리포니아 광산촌 생활의 해학적이며 감상적인 이야기를 그린 브렛 하트의 〈로링 캠프의 행운 외(外) Luck of Roaring Camp, and Other Sketches〉(1870), 인디아나 주의 초기 개척지를 다룬 에드워드 이글스턴의 장편 〈인디애나의 교사 Hoosier Schoolmaster〉(1871)를 들 수 있다. 20세기로 들어와서는 위의 3명의 작가가 세운 형식을 따른 단편소설과 몇 편의 장편소설이 나왔다. 그 대표적인 것에는 조지 W. 케이블에 의한 루이지애나 주의 크리올(프랑스계 이민), 토머스 넬슨 페이지에 의한 버지니아의 흑인, M. N. 머프리에 의한 테네시의 산간 주민들, 새러 온 주엣이나 메리 E. W. 프리먼의 뉴잉글랜드의 과묵한 사람들의 묘사 등이 있다. 또 헨리 카일러 버너와 O. 헨리(본명 윌리엄 시드니 포터)에 의한 뉴욕 시 주민들의 이야기도 있다.
이들 작가는 여러 지역 사람들의 생활을 사실적으로 그림으로써 미국인 전체의 상호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그러나 그들의 단편소설은 대체로 사실성이 한정되었다. 그 이유는 작가들이 그들 시대를 묘사하는 대신에 과거를 회고하는 경향이 있었고 매력적이 아닌 것은 제쳐놓고 감상이나 유머를 내세웠기 때문이다. 이들 지방색 소설은 로맨스에 젖어 있기는 했지만 보통 사람들의 생활을 공감과 이해심을 가지고 그려낸 점에서 사실주의로의 과도기적 소설이라 할 수 있다. 마크 트웨인(본명 새뮤얼 랭혼 클레먼스)에게는 유머 작가와 지방색 작가의 영향이 강하며, 남북전쟁 이전의 지방 유머 작가들로부터 배운 바도 있다. 초기작 〈철부지의 해외여행기 The Innocents Abroad〉(1869)·〈고난을 넘어서 Roughing It〉(1872)는 여행기이며 남북전쟁 후의 직업적 유머 작가들과의 결연이 뚜렷이 나타난다. 〈톰 소여의 모험 The Adventures of Tom Sawyer〉(1876)과 속편 〈허클베리 핀의 모험 The Adventures of Huckleberry Finn〉(1884) 및 〈미시시피 강의 생활 Life on the Mississippi〉(1883)은 그의 최고 걸작들로서 미시시피 강 연안의 생활을 발랄한 필치로 재생했다. 그는 이러한 작품에서도 곧잘 유머 작가들처럼 익살을 떨거나 벌레스크에 빠지곤 했다. 그러나 그의 기지나 대화 및 인물창조의 재능은 빼어난 것이어서 미국의 대작가의 한 사람으로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오하이오 태생인 윌리엄 딘 하우얼스는 사실주의 소설의 가장 효과적인 제창자였다. 그가 생각한 사실주의는 일상적인 생활의 양상을 있는 그대로 그리는 것이고 비극적인 것보다는 희극적인 것을 선호했다. 〈그들의 신혼여행 Their Wedding Journey〉(1872)·〈현대인다운 이야기 A Modern Instance〉(1882)·〈사일러스 래프햄의 출세 The Rise of Silas Lepham〉(1885) 등에는 그의 기법이 가장 잘 나타나 있다. 〈애니 킬번 Annie Kilburn〉(1888)·〈새로운 운명의 모험 A Hazard of New Fortunes〉(1890) 등의 후기작에서는 평범한 인물의 생활을 다루면서 사회·정치·경제 비판을 시도하고 있다.
자연주의자
19세기말에는 사실주의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자연주의를 따르는 작가들이 나타났다. 햄린 갈런드는 이같은 움직임을 대표하는 한 사람으로서 농민의 비참한 현실과 성의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하우얼스보다 한결 솔직했다. 〈발길 잦은 길 Main-Travelled Roads〉(1891)·〈더처 집안의 장미 Rose of Dutcher's Coolly〉(1895)에서는 소설이 철학적 또는 사회적 신조의 표현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작품과 〈무너지는 우상 Crumbling Idols〉(1894)이라는 신소설을 위한 비평적 선언서는 자연주의 운동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같은 무렵에 프랑스의 자연주의자 에밀 졸라의 영향을 받은 작가들이 잇달아 나타났다. 예컨대 시어도어 드라이저는 초기의 사실주의자들에게는 지나치게 대담한 것으로 보였을 주제를 들고 나왔다. 인간의 행동이 '화학적인 강제력'에 좌우된다고 생각한 드라이저는 자신의 행동을 제어할 수 없는 인물, 또는 강력하고 무자비한 상대에게 패배당하는 인물을 묘사했다. 그의 작품에는 〈시스터 캐리 Sister Carrie〉(1900)·〈제니 거하트 Jennie Gerhardt〉(1911)·〈자본가 The Financier〉(3부작, 1912)·〈거인 The Titan〉(1914)·〈미국의 비극 An American Tragedy〉(1925)이 있다. 드라이저는 문체나 상징성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으나 스티븐 크레인과 프랭크 노리스는 문체에 관심을 쏟고 세부의 상징적 효과를 살리려고 했다. 크레인의 중편 〈거리의 여자 매기 Maggie:A Girl of the Streets〉(1893)·〈빨간 무공훈장 The Red Badge of Courage〉(1895)과 몇몇 단편에서는 환경에 압도당하는 인간의 모습을 그린 인상주의적 색채가 드러난다. 노리스는 사실적인 문체로 〈맥티그 McTeague〉(1899)·〈문어 The Octopus〉(1901)·〈밀 판매장 The Pit〉(1903) 등에서 크레인처럼 인생에 대한 불빛을 밝히려고 했다. 이 두 사람은 요절했지만 그들의 문학적 실험은 20세기 소설의 선구로서 의의가 크다.
헨리 제임스
뉴욕 태생으로 영국에서 거주한 헨리 제임스에 이르러 소설은 또다른 방향을 취했다. 소설이 현실을 재현해야 한다고 생각한 점에서는 사실주의자나 자연주의자와 같았지만 제임스는 소설 가운데 그려진 현실은 2번의 번역을 거친 것이라고 보았다. 첫째는 소설가의 독자적인 경험을 통해서, 그다음에는 소설가가 그것을 그려감으로써 이중의 굴절을 겪는다는 것이다. 〈소설의 기법 The Art of Fiction〉(1884)과 그의 전집판에 붙인 뛰어난 서문은 소설 기술의 논의를 위해서도 귀중한 자료이다. 단편작가로서도 뛰어났지만 제임스의 의의는 역시 그의 이론을 구체화한 장편소설에 있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미국인 The American〉(1877)·〈어느 부인의 초상 The Portrait of a Lady〉(1881)·〈포인튼가의 수장품 The Spoils of Poynton〉(1897)·〈메이지가 알고 있었던 것 What Maisie knew〉(1897)·〈비둘기 날개 The Wings of the Dove〉(1902)·〈사절들 The Ambassadors〉(1903)·〈황금 주발 The Golden Bowl〉(1904)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초기 작품은 미국인과 유럽인, 또 아메리카 대륙과 유럽 사이에 벌어지는 갈등을 다룬 국제적인 소설이다. 그후 제임스의 관심은 차츰 작중인물의 심리적 추이와 그들의 한정된 통찰과 인식 및 감정을 세밀하게 묘사하는 데 집중되었다.
도금시대의 비판자
남북전쟁에서 1914년에 걸쳐 꽃피워진 여러 유형의 문학 가운데 사회에 대한 항의 문학이 있다. 대기업의 세력증대와 정부의 부패를 공격하는 소설이 잇달아 나왔으며 유토피아 소설도 나왔다. 헨리 애덤스의 소설 〈민주주의 Democracy〉(1880)는 정치적 부패와 무능을 다루었다. 에드워드 벨라미의 〈돌이켜보면 Looking Backward〉(1888)은 자본주의에 대한 고발이며 집산주의적인 유토피아를 그리고 있다. 하우얼스의 〈알트루리아에서 온 나그네 Traveler from Altruria〉(1894)는 정부가 사람들의 생활을 통제하는 평등주의적인 사회를 제창한다. 1906년에는 업튼 싱클레어의 〈정글 Jungle〉이 출판되었는데, 이것은 미국의 정치·경제를 비판하고 그 구제방안으로 사회주의를 주장한 수많은 저작 가운데 첫 작품이다.
한편 시 장르에서는 에드윈 마컴이 1899년 〈괭이를 든 사나이 Man with the Hoe〉에서 노동 착취에 항의함으로써 곧 전국적인 관심을 일으켰다. 그 다음해 윌리엄 본 무디는 〈망설임의 시대의 송시 Ode in Time of Hesitation〉에서 미국의 제국주의를 비난했다. 〈필리핀에서 쓰러진 병사에게 On a Soldier Fallen in the Philippines〉(1901)는 같은 주제를 한결 효과적으로 발전시켰다. 저널리즘 잡지의 융성과 함께 시어도어 루스벨트가 '폭로작가'라고 명명한 저널리스트들이 미국의 비판자로서 중요한 존재가 되었다. 아이다 M. 타벨의 〈스탠다드석유회사 역사 History of the Standard Oil Company〉(1904)와 링컨 스테펀스의 〈도시의 치욕 Shame of the Cities〉(1904)은 저널리즘을 통해 사회를 계몽시키려고 한 전형적인 저작이다.
헨리 애덤스
미국의 근대생활 전반에 대해 매우 통렬하면서도 품위를 갖추어 공격한 것은 헨리 애덤스의 자서전이다. 그는 〈미합중국사 History of the United States〉(1889~91)·〈몽 생 미셸과 사르트르〉(1904)를 쓴 위대한 교사이며 역사가로 자서전 〈헨리 애덤스의 교육 The Education of Henry Adams〉에서는 질서와 신앙을 추구한 그의 탐구가 무위로 끝나고 말았다고 적고 있다.
이 시대의 시
세기의 전환기는 미국시의 빈곤기였으나 주목할 만한 시인이 2명 나타났다. 그 한 사람은 시드니 러니어(1842~81)로서 〈옥수수 Corn〉(1875)·〈교향곡 The Symphony〉(1875)·〈글린의 늪 The Marshes of Glynn〉(1878)에서 음악적 리듬과 교향곡 주제의 전개수법을 활용한 재능있는 음악가 시인이었다. 또 한 사람은 에밀리 디킨슨이다. 수줍고 장난기 있고 괴짜인 그녀는 생전에 작품을 1편도 발표하려고 하지 않았으며 최초의 시집이 출판된 것은 그가 죽은 지 4년 뒤인 1890년이었다. 그러나 각운(脚韻)을 의식적으로 깨뜨린 점, 짧은 시절(詩節) 속에 숨은 의미를 압축해서 잡아넣으려는 경향 등의 독특한 수법은 이후의 시인들에게 강한 영향을 미쳤다.
20세기
1914~45년
이 시기에 이루어진 문학적 형식은 매우 다양했으며, 희곡·시·소설 등에서 근본적인 수법의 변혁을 시도하려는 작가들이 많았다.
연극에 나타난 실험정신
19세기에는 연극이 주요한 문학 장르는 아니었으나 종전의 상업무대에 반기를 든 새 연극만큼 실험적인 문학형식도 없었다. 20세기초에 유럽을 찾은 미국인들은 유럽 연극이 활발한 데 놀랐다. 그들은 귀국하자마자 상업적인 틀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소극장운동에 의한 연극실험에 착수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많은 연출가·배우·극작가 등이 생겨났고, 소극장 그룹 가운데 몇 개는 상업극단으로 성공하기도 했다. 예컨대 1915년에 창설된 ' 워싱턴 스퀘어 극단'은 1919년에 시어터 길드가 되었다. 거기서부터 실험적이고 진지하고 그러면서 원숙한 희곡이 생겨났다.
유진 오닐은 이 시기에 나타난 미국 최대의 극작가인데 이상과 같은 연극운동이 낳은 존재라고 할 수 있다. 그의 희곡은 연극적 실험성에 있어서도 두드러지게 그 폭이 넓다. 〈지평선 너머 Beyond the Horizon〉(1920)·〈애나 크리스티 Anna Christie〉(1921)·〈느릅나무 그늘 밑의 욕망 Desire Under the Elms〉(1924)·〈얼음장수 오다 The Iceman Cometh〉(1946) 등은 자연주의적인 작품이고 〈황제 존스 The Emperor Jones〉(1920)·〈털보원숭이 The Hairy Ape〉(1922)에서는 표현주의 기법을 사용했다. 또한 〈이상한 막간극 Strange Interlude〉(1928)에서는 의식의 흐름 기법을 극작에 사용했으며, 〈상복이 어울리는 엘렉트라 Mourning Becomes Electra〉(1931)는 심리분석이 돋보인다. 마크 코널리는 〈푸른 목장 The Green Pastures〉(1930)에서 성서풍의 흑인 민속극을 썼으며 감동적인 환상을 살렸다. 엘머 라이스는 표현주의적인 작품 〈계산기 The Adding Machine〉(1923)와 자연주의적 작품 〈거리의 정경 Street Scene〉(1929)을 썼다. 맥스웰 앤더슨은 사실주의자로 출발해 〈여왕 엘리자베스 Elizabeth the Queen〉(1930)·〈원터셋 Winterset〉(1935) 같은 시적 희곡으로 돌아섰다가 다시 풍자적인 뮤지컬 코미디 〈니커보커의 휴일 Knickerbocker Holiday〉(1938)을 썼다. 로버트 셔우드는 〈빈에서의 재회 Reunion in Vienna〉(1931) 같은 희극과 〈밤은 오지 않으리 There Shall Be No Night〉(1940)라는 비극 등 뛰어난 작품을 썼다. 클리퍼드 오데츠는 노동조합주의를 옹호한 〈레프티를 기다리며 Waiting for Lefty〉(1935)에서 무대와 관객석을 활용했으며, 〈깨어나 노래하라 Awake and Sing〉(1935)를 썼다. 자연주의풍의 손턴 와일더는 〈우리 마을 Our Town〉(1938)에서 양식화된 무대와 시적 대화를 살렸으며 〈위기일발 The Skin of Our Teeth〉(1942)에서는 환상의 분위기를 조성했다.
시
대체로 19세기 빅토리아 시대의 시법을 따르면서도 일반독자와 비평가에 의해서 널리 환영받은 뉴잉글랜드 시인이 2명 있다. 그중 한 사람인 에드윈 알링턴 로빈슨은 1896년에 첫 시집을 냈는데 전통적인 소네트(14행시) 민요풍 시와 무운시(無韻詩)를 썼다. 1920년대에 〈시집 Collected Poems〉(1921)·〈2번 죽은 사나이 The Man Who Died Twice〉(1925)·〈트리스트럼 Tristram〉(1927)으로 3번이나 퓰리처상을 받았다. 로버트 프로스트는 정형시와 무운시를 썼다. 첫 시집 〈소년의 의지 A Boy's Will〉(1913)에 이어서 〈보스턴의 북쪽 North of Boston〉(1914)·〈뉴햄프셔 New Hampshire〉(1923)·〈아득한 산맥 A Further Range〉(1936)·〈이성의 가면극 A Masque of Reason〉(1945)이 간행되었다. 이 두 시인은 인생의 비극적인 양상에 주목했고 안이한 해결책에는 회의적이었는데, 이러한 태도와 감정이 당대의 기분과 잘 어울렸던 까닭에 널리 애독되었던 것이다.
미국의 근대극이 소극장에서 시작되었듯이 미국의 근대시도 소잡지(리틀 매거진) 가운데서 생겨났다. 특히 중요한 것은 해리엇 먼로가 시카고에서 창간한 〈포이트리 Poetry:A Magazine of Verse〉였다. 시카고를 중심으로 한 중서부는 곧 세 시인의 근거지로 주목을 끌게 되었다. 베이첼 린지는 〈윌리엄 부스 장군 천국에 가다 외(外) General William Booth Enters into Heaven, and Other Poems〉(1913)·〈콩고 강 외(外) The Congo, and Other Poems〉(1914) 등에서 전설적인 소재와 미국적 웅변술을 살려서 불규칙적인 송시 형식을 만들었다. 칼 샌드버그는 〈시카고 시집 Chicago Poems〉(1916)·〈민중이여, 그렇다 The People, Yes〉(1936)와 같은 시집에서 대평원과 도시의 민중생활을 자유시형으로 힘차게 노래했다. 에드거 리 매스터스의 〈스푼리버 선집 Spoon River Anthology〉(1915)은 큰 인기를 얻었는데, 시골에 사는 남녀의 독백을 자유시형으로 엮어놓은 작품으로서 그 대다수는 좌절된 인생을 쓸쓸히 회상하고 있다.
에드나 세인트 빈센트 밀레이와 새라 티즈데일은 전통적인 소네트나 짧은 서정시를 썼지만, 다같이 낡은 기준에서 볼 때 특히 여성시인으로서 파격적인 솔직성을 발휘했다. 스티븐 빈센트 베네는 〈존 브라운의 유해 John Brown's Body〉(1928)에서 감동적인 운문소설을 썼다. 로빈슨 제퍼스는 거친 이미지와 무운시를 사용했는데 이 시기의 시인 가운데 가장 비장한 태도를 표현한 시인이었다. 또 3명의 뛰어난 흑인시인 제임스 웰던 존슨, 랭스턴 휴스, 카운티 컬런은 다같이 새로운 주제, 특히 흑인문제를 전통시 형식으로 다루었다. 콘래드 애이큰은 교향곡 형식의 시적 응용과 '의식의 흐름'기법을 적절히 섞었으며, 메리언 무어는 색다른 자유시형을 고안하여 절묘하게 사용했다. e. e. 커밍스는 파격적인 구두법과 주로 소문자 인쇄기법을 사용해 감상시·풍자시를 썼다.
영시와 산문에서 모더니스트적 혁신을 불러일으킨 에즈라 파운드는 제2차 세계대전 직후의 몇 년을 제외하고는 줄곧 유럽에서 살았다. 그러나 시인으로서뿐만 아니라 다른 시인의 후원자로서 20세기의 미국시에 미친 그의 영향은 대단하다. 장시 〈칸토스 The Cantos〉(1925~59)는 지금까지도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대작이다. 미국 모더니즘의 대표적 시인은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와 윌리스 스티븐스이다. 윌리엄스는 처음에는 이미지즘의 실험시를 썼으며 미국의 정경을 활용해 때로는 매우 객관적이고 지극히 자전적인 목소리로 생활 주변의 사물과 사람들을 노래했다. 5부작 〈패터슨 Paterson〉은 미국의 '문화적 서사시'로서 그의 대표작이다. 스티븐스는 〈하르모니엄 Harmonium〉(1923)에서 프랑스 상징파 시인의 영향을 보이면서 섬세한 심미적 세계를 구축했다. 그는 때로 철학적 추상 속에 몰두하면서도 극명한 시각적 언어를 구사하고 현실을 재구성하는 상상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 두 시인이 미친 영향력은 사후에 더욱 높이 평가되고 있다. 엘리엇은 1917년 〈프루프록과 다른 관찰 Prufrock and Other Observations〉, 1922년 그를 유명하게 만든 〈황무지 The Waste Land〉를 발표했다. 시인이며 비평가로서 제1·2차 세계대전 기간에 대단한 영향을 발휘했다. 그의 최대 작품으로 평가되기도 하는 〈4개의 4중주 Four Quartets〉(1943)에서는 그지없이 아름다운 이미지와 좀처럼 잊을 수 없는 언어를 통해서 자신의 과거와 인류의 과거 및 인간 역사의 의미를 추구하고 있다. 엘리엇과 몇몇 시인은 영국의 17세기 형이상파 시인, 특히 존 던의 영향을 받았다. 엘리엇의 영향은 아치볼드 맥리시의 작품에서도 뚜렷이 나타난다. 그의 초기 시는 〈황무지〉를 연상케 하지만 후기에 이르러서는 엘리엇의 종교적 태도와는 다른 사회진보에 대한 적극적인 신뢰를 표명하고 있다. 존 크로 랜섬과 앨런 테이트 같은 남부 시인에게도 엘리엇의 영향과 형이상파 시인의 영향이 보인다. 하트 크레인도 기법에서는 비슷하지만, 그 소재와 내용은 독자적이다. 그밖에 개성적인 방법과 사상을 지닌 형이상파 시인으로는 루이스 보갠, 뮤리얼 류카이저, 델모어 시워츠, 칼 셔피로가 있다.
소설
시의 성장을 촉진한 소잡지는 미국소설의 발전에도 기여했다. 소잡지는 인습적인 형식을 깨뜨린 단편소설과 기성작가에 대한 공격적인 비판을 실었고 전위적인 소설의 의의를 강조하는 역할을 했다. 가장 강력한 소잡지는 저널리스트이자 비평가인 H. L. 멩켄이 편집한 〈스마트 세트 The Smart Set〉(1914~23)·〈아메리칸 머큐리 American Mercury〉(1924~33, 공동편집) 등이었다. 멩켄은 새로운 수법의 단편을 실었고, 미국의 기성제도와 신념을 공격했다. 멩켄이 후원한 소설가의 한 사람이 제임스 브랜치 캐벌(1879~1958)이다. 그는 〈저겐 Jurgen〉(1919)으로 명성을 얻었는데, 이것은 미국의 정통적인 신념과 제도를 공격한 소설이다. 시골마을 생활의 협소함과 좌절감을 그린 작가들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작가는 셔우드 앤더슨인데, 단편집 〈오하이오 주 와인즈버그 Winesburg, Ohio〉(1919)·〈달걀의 승리 Triumph of the Egg〉(1921)에서 억압과 공포증에 시달리는 시골마을 사람들의 모습을 그려냈다.
1920년에는 F. 스콧 피츠제럴드의 〈낙원의 이쪽 This Side of Paradise〉과 싱클레어 루이스의 〈중심가 Main Street〉가 성공하면서 새로운 경향의 소설들이 되었다. 작가들은 사실주의와 자연주의, 곧 현대생활의 솔직한 묘사를 지향했다. 그리고 시대의 문제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면서 1920년대에는 기존의 제도와 이데올로기에 대한 환멸을, 1930년대에는 경제 및 정치제도에 대한 항의를 표현했다.
사회비판문학
피츠제럴드의 〈낙원의 이쪽〉(1920)은 제1차 세계대전 직후 미국 젊은이들의 환멸과 도덕적 혼란을 그리고 있다. 또한 〈위대한 개츠비 The Great Gatsby〉(1925)도 같은 주제를 한결 성숙한 태도로 추구했다. 역시 사회를 비판한 루이스는 〈중심가〉(1920)·〈배빗 Babbitt〉(1922)·〈애로스미스 Arrowsmith〉(1925)·〈킹스블러드가의 혈통 Kingsblood Royal〉(1947) 등에서 편협한 지방근성, 평범한 사업가, 물질주의적인 과학자, 인종적 편견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제임스 T. 패럴의 3부작 〈스터즈 로니건 Studs Lonigan〉(1932~35)도 면밀한 세부묘사가 돋보인다. 리처드 라이트의 〈톰 아저씨의 후예들 Uncle Tom's Children〉(1938)·〈미국의 아들 Native Son〉(1940)은 흑인의 곤경에 대한 항의이다. 사회적 저항소설가로서 특히 주목을 끈 것은 존 도스 패서스이다. 그는 먼저 제1차 세계대전을 다룬 반전소설 〈3명의 병사 Three Soldiers〉(1921)에서 출발해 3부작 〈유에스에이 U.S.A.〉에서 좌익적인 관점에서 현대의 사회경제체제를 폭넓게 고발했다. 내서니얼 웨스트의 〈미스 론리하츠 Miss Lonelyhearts〉(1933)·〈메뚜기의 철 The Day of the Locust〉(1939)에는 비인간적이고 잔인한 세계에 대한 통렬한 비전과 블랙코미디풍의 문체가 돋보인다.
헤밍웨이·포크너· 스타인벡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초기 단편소설과 장편소설 〈해는 또다시 떠오른다 The Sun Also Rises〉(1926)·〈무기여 잘 있거라 A Farewell to Arms〉(1929) 등에는 이른바 '길잃은 세대'(Lost Generation)의 전후시대에 대한 환멸이 넘쳐 있다. 그는 그후 스페인 내란이 일어나자 집단적 행동의 가능성에 신뢰를 보이게 되었고, 〈가진 자와 없는 자 To Have and Have Not〉(1937)·〈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For Whom the Bell Tolls〉(1940)·〈노인과 바다 The Old Man and the Sea〉(1952) 등에서도 이같은 새로운 신념이 엿보인다. 윌리엄 포크너는 미시시피 주의 요크나파토파 군(郡)이라는 신화적인 지방을 무대로 하여 시점(視點)의 이동과 '의식의 흐름' 기법을 대담하게 이용한 복잡한 구성의 장편소설을 썼다. 〈음향과 분노 The Sound and the Fury〉(1929)·〈죽음의 자리에 누우면서 As I Lay Dying〉(1930)·〈8월의 햇빛 Light in August〉(1932)·〈촌마을 The Hamlet〉(1940) 등은 전반적으로 혹독한 인간 조건의 모습을 그리고 있고, 〈무덤의 침입자 Intruder in the Dust〉(1948)·〈약탈자 The Reivers〉(1962)에는 한결 낙관적인 신념이 나타나 있다. 존 스타인벡의 첫 작품 〈황금잔 Cup of Gold〉(1929)은 역사소설이며 반항적인 1920년대의 전형적인 무정부주의적 개인을 찬양한 것이다. 그후 발표한 〈승산 없는 싸움 In Dubious Battle〉(1936)·〈분노의 포도 The Grapes of Wrath〉(1939)에는 집단적 행동에 대한 신념이 깔려 있다.
서정적 소설가
현대소설의 흥미로운 전개의 하나는 시, 곧 서정성과 상징적인 의미를 심화·확대해가는 경향이다. 헤밍웨이·스타인벡·포크너 모두 다양한 방식으로 이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서정성이 돋보이는 것은 윌라 캐더의 〈나의 안토니아 My Antonia〉(1918)·〈대주교에게 죽음이 찾아오다 Death Comes for the Archbishop〉(1927)이다. 캐서린 앤 포터는 형이상파 시인풍의 문체를 즐겨 썼다. 〈꽃피는 박태기나무 Flowering Judas〉(1930)·〈창백한 말, 창백한 기수 Pale Horse, Pale Rider〉(1939) 등에서는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해 복잡하고 미묘한 상징성을 보여준다. 또 한 사람의 주요한 서정소설가 토머스 울프는 〈천사여 고향을 보라 Look Homeward, Angel〉(1929)·〈시간과 강에 관하여 Of Time and the River〉(1935)·〈거미줄과 바위 The Web and the Rock〉(1939)·〈그대 다시는 고향에 못가리 You Can't Go Home Again〉(1940)라는 대하소설에서 그 자신의 생활을 서정적으로 기록했다.
비평
20세기 전반은 문학비평이 두드러지게 발전한 시기였다. 이 시기는 어빙 배빗을 중심으로 한 신인문주의(New Humanism) 비평가들과 우상파괴에 앞장선 H. L. 멩켄을 비롯한 저널리스트 비평가들 사이의 문학논쟁으로 주목을 끈다. 신인문주의 비평가들은 전통적 문학관을 옹호하고 현대소설의 자연주의적 경향을 비판했으며, 저널리스트 비평가들은 꾸밈없는 진실을 표현하는 것이 작가의 임무라고 주장했다. 결국 자연주의가 신장되었고, 문학은 해묵은 제약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사회 변화가 두드러진 이 시기에 문학을 사회와 정치와의 관련에서 고려하려는 비평가들이 나타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밴 와익 브룩스와 버넌 루이스 패링턴은 사회의 반영으로서의 문학에 초점을 맞추었다. 케니스 버크와 에드먼드 윌슨은 심미적 관심과 사회적 관심을 관련시키면서 문학작품을 해석했다. 한편 지나친 이데올로기적 비평에 반발하여 문학작품 그 자체의 분석과 감상에 치중하는 순수하고 심미적인 분석비평, 이른바 신비평이 대두되었다. 이 그룹의 중심은 남부 출신의 존 크로 랜섬, 앨런 테이트 및 클리언스 브룩스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소설·시·희곡의 모든 분야에서 포크너·헤밍웨이·스타인벡 등 전 시대의 대가들이 계속해서 중요한 작품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 시기의 미국문학에서 두드러진 것은 문체·기질 등에 드러난 다양성이라고 할 수 있다.
장편소설과 단편소설
두 그룹의 작가들이 제2차 세계대전의 문화적 충격, 특히 기술적 공포에 대한 반응을 보였다. 노먼 메일러는 〈벗은 자와 죽은 자 The Naked and the Dead〉(1948), 어윈 쇼는 〈젊은 사자들 The Young Lions〉(1948), 제임스 존스는 〈지상에서 영원으로 From Here to Eternity〉(1951)에서 자연주의적 수법을 사용해 전쟁의 비극을 기록했다. 이들보다 젊은 세대인 조지프 헬러는 〈캐치 22 Catch-22〉(1961)에서, 커트 보니것 2세는 〈제5도살장 Slaughterhouse Five〉(1969)에서 사실적·자연주의적 수법 대신 초현실적 블랙 유머와 환상을 사용해 전쟁의 비인간성과 군대의 관료성 등을 풍자했다. 특히 원자탄의 참화는 미국작가들에게 블랙 유머와 부조리적 환상을 추구하게 했다. 사회현실을 묘사하는 대신 전 시대의 소설을 모방하는 지극히 자의식적 소설인 '메타픽션'도 나타났다. 러시아 태생의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롤리타 Lolita〉(1955)·〈프닌 Pnin〉(1957)·〈창백한 불꽃 Pale Fire〉(1962)·〈아다 Ada:Ardor:A Family Chronicle〉(1969)와 아르헨티나의 작가 호르헤스 루이스 보르헤스의 〈미로 Labyrinths〉(1962)는 이러한 새 메타픽션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나보코프와 보르헤스의 제자임을 밝힌 존 바스는 자신의 작품을 "'저자'의 역할을 모방하는 저자에 의해서 씌어진 소설의 형식을 모방하는 소설"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바스는 〈연초 도매상 The Sot-Weed Factor〉(1960)·〈염소소년 자일스 Giles Goat-Boy〉(1966)·〈서간집 Letters〉(1979)에서, 도널드 바셀미는 〈백설공주 Snow White〉(1967)에서 역사소설, 서간체 소설, 동화 등 전통적인 문학형식을 풍자적으로 모방한 패러디를 썼다.
부조리적 우화의 대표적 작가인 토머스 핀천은 〈브이 V〉(1963)·〈제49호 품목의 경매 The Crying of Lot 49〉(1966)·〈중력의 무지개 Gravity's Rainbow〉(1973)에서 엔트로피, 즉 물질적·도덕적 에너지의 붕괴의 불가피성이라는 가정을 깔아놓았다. 윌리엄 버러스는 〈벌거벗은 점심 Naked Lunch〉(1959)에서 마약중독자의 의식을 통해 추악한 현대의 정경을 묘사했다. 바스·바셀미·핀천이 사회를 반영하는 거울이라는 전통적 소설관을 배격한 데 반해 사회적 사실주의를 고집하는 작가들도 많다.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솔 벨로는 〈희생자 The Victim〉(1947)·〈오기 마치의 모험 The Adventures of Augie March〉(1953)·〈허조그 Herzog〉(1964)·〈샘러 씨의 행성 Mr. Sammler's Planet〉(1970) 등에서 현대의 악몽 같은 현실을 의식하면서도 절망에 빠지는 일 없이 인간다움의 필요를 강조한다. 유대교와 미국의 초월주의를 비롯해 수많은 사상에 바탕을 둔 벨로의 신비적 비전은 매우 긍정적이다. 버나드 맬러머드, 필립 로스, 아이작 바세비스 싱어 같은 유대계 작가들도 유머와 관용으로 인간의 조건을 다루었다. 맬러머드의 희극적 재능은 〈마술의 통 The Magic Barrel〉(1958) 가운데 가장 잘 드러나 있다. 로스의 최대업적은 어느 유대계 소설가를 주인공으로 삼은 3부작 〈유령작가 The Ghost Writer〉(1979)·〈풀려난 주커만 Zuckerman Unbound〉(1981)·〈해부학 시간 The Anatomy Lesson〉(1983)이다. 폴란드 태생인 싱어는 원래 이디시어로 쓴 단편집으로 1978년에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J. D. 샐린저는 〈호밀밭의 파수꾼 The Catcher in the Rye〉(1951)·〈프래니와 주이 Franny and Zooey〉(1961)에서, 존 업다이크는 〈달려라 토끼 Rabbit, Run〉(1960)·〈부부 Couples〉(1968)·〈돌아온 토끼 Rabbit Redux〉(1971)에서 미국 중산층의 성적·도덕적 혼란을 그렸다. 존 치버는 단편과 〈웝숏가 연대기 The Wapshot Chronicle〉(1957)·〈웝숏가 추문 The Wapshot Scandal〉(1964)에서 기억에 남는 많은 기인들을 창조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황금팔의 사나이 The Man with the Golden Arm〉(1949)의 넬슨 올그런과 〈브루클린으로 가는 마지막 비상구 The Last Exit to Brooklyn〉(1964)의 휴버트 셀비는 하층계급의 도시생활을 솔직하게 그렸다. 포크너에 이어 남부소설의 전통을 더욱 발전시킨 작가로는 남부의 고딕 소설에 새 방향을 제시한 플래너리 오코너와 유도라 웰티, 카슨 매컬러스(1917~67) 등 세 여성작가를 들 수 있다. 오코너는 인간성에 대한 깊은 종교적 관심과 놀라운 희극적 재능을 훌륭히 결합했다. 웰티는 뛰어난 스타일리스트였다. 〈냉혈 In Cold Blood〉(1966)을 쓴 트루먼 커포티는 다큐멘터리 사실주의에 뛰어났다. 윌리엄 스타이런은 〈냇 터너의 고백 The Confessions of Nat Turner〉(1967)·〈소피의 선택 Sophie's Choice〉(1979)에서 남북전쟁 이전의 흑인폭동, 나치의 유대인 대학살과 같은 인류역사의 어두운 면을 조명했다. 워커 퍼시는 〈영화 팬 The Moviegoer〉(1961)·〈마지막 신사 The Last Gentleman〉(1966)에서 남부 소설의 중요한 목소리를 확립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흑인작가들은 리처드 라이트 방식의 사회적 항의와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제임스 볼드윈은 〈산에 올라가서 말하라 Go Tell It on the Mountain〉(1953)·〈또 하나의 나라 Another Country〉(1962)에서 흑인사회의 다양성을 묘사하고, 수필집 〈다음에는 불을 The Fire Next Time〉(1963)을 통해서 민권운동을 자극하기도 했다. 랠프 엘리슨은 〈보이지 않는 인간 Invisible Man〉(1952)에서 흑인의 역사와 서구 신화를 결합시키고 있다. 최근에는 〈가장 푸른 눈 The Bluest Eye〉(1970)·〈술라 Sula〉(1973)·〈솔로몬의 노래 Song of Solomon〉(1977)를 쓴 토니 모리슨과 〈컬러 퍼플 The Color Purple〉(1983)의 작자 앨리스 워커의 두 흑인 여성작가가 흑인의 역사, 아프리카와 유럽의 신화, 유럽의 동화, 흑인의 민속문화 등의 다양한 소재를 활용한 독창적 작품과 흑인 페미니스트 소설을 발표했다.
전후의 미국소설을 개관한다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현실 자체는 접근 불가능한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작가들은 새롭고 박진감 넘치는 소설 형식을 발견하거나 창출해야 할 압력을 끊임없이 받고 있다. 가장 매력적인 2명의 현대작가는 노먼 메일러와 조이스 캐럴 오츠로서, 이들은 새 방향을 추구하는 대표적 작가이다. 메일러는 〈밤의 군대들 The Armies of the Night〉(1968)·〈사형집행인의 노래 The Executioner's Song〉(1980)를 발표하면서 사회적 저항소설에서 '비소설의 소설', '역사로서의 소설', '진짜 삶을 다룬 소설'로 돌아섰고, 오츠는 〈지상적 환희의 정원 A Garden of Earthly Delights〉(1967)·〈그들 them〉(1969) 등의 자연주의 전통에서 출발해 〈이상한 나라 Wonderland〉(1971)·〈벨플뢰르 Bellefleur〉(1980)에서 초현실주의와 고딕풍 환상 등을 실험하면서 새로운 소설형식을 넓혀가고 있다.
시
소설에서와 같이 전후의 시도 다양성이 두드러진다. 시인들은 전쟁 전의 경향을 버리고 극적 또는 변증법적 구성을 추구했다. 또한 경구풍의 기지가 돋보이는 시를 썼으며, 시법의 엄격성에 이끌려 각운을 사용하기도 했다. 로버트 로웰, 시어도어 레트키, 로버트 펜 워렌, 존 베리먼, 랜덜 재럴, 리처드 윌버, W. D. 스노드그레스 등이 새 시단을 대표한다. 이들 중 몇몇 시인은 정신질환, 성, 이혼, 알코올 중독 등의 자전적 요소를 끈질기게 파고들었다.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는 일상생활에 기초를 둔 명석한 구어적 리듬을 살린 시를 썼는데 그의 영향은 '블랙 마운틴' 파로 알려진 시인들에게 뚜렷이 나타나 있다. 찰스 올슨과 로버트 크릴리가 대표적인 블랙 마운틴 시인이다. 태평양연안에서는 1950년대에 '비트'파 시인이 등장한다. 이 파는 짧은 기간 주목을 끌었지만 앨런 긴즈버그와 로렌스 펄링게티는 여전히 높이 평가받고 있다. 또 뉴욕파 시인으로는 존 애시버리, 캐니스 코크, 프랭크 오해라 등이 있다. 1960년대 이후에 주목받은 여성시인들 가운데는 실비아 플래스, 에이드린 리치, 앤 섹스턴, 데니스 레버토브가 있으며 고백시, 페미니스트 시로 유명하다.
연극
전후 극단에서 중심적 역할을 한 사람은 테네시 윌리엄스와 아서 밀러이다. 윌리엄스는 〈유리 동물원 The Glass Menagerie〉(1944)·〈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A Streetcar Named Desire〉(1947) 등에서 파격적인 무대장치, 시적인 대사 등을 사용해 실험성을 높였다. 밀러도 〈세일즈맨의 죽음 Death of a Salesman〉(1949)·〈시련 The Crucible〉(1953) 등에서 갖가지 방법으로 실험성을 발휘하면서 동시에 사회비판과 항의를 계속했다. 젊은 극작가로는 오프 브로드웨이에서 비평가에게 인정받은, 지식인 부부의 생활을 신랄하게 꼬집은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 하랴! Who's Afraid of Virginia Woolf?〉(1962)·〈동물원 이야기 The Zoo Story〉·〈미국인의 꿈 The American Dream〉(1964)의 작가 에드워드 올비가 있다. 흑인 작가로는 로레인 핸즈버리와 이마무 아미리 배러카(르로이 존즈)를 들 수 있다. 최근의 주요 실험 작가는 〈카우보이 Cowboys〉(1964)·〈진짜 서부 True West〉(1980) 등을 쓴 샘 셰퍼드이다. 전후 연극의 중심은 브로드웨이에서 오프 브로드웨이로, 다시 오프 오프 브로드웨이로 옮겨갔다. 많은 전위극이 다락방, 교회, 카바레 등에서 상연되었고 즉흥·충격·부조리 기법이 실험적 연극의 특징이 되었지만, S. 베케트, E. 이오네스코, B. 브레히트 등 유럽 극작가들이 미친 영향도 빼놓을 수 없다.
비평
1950년대까지는 분석적이고 심미적인 신비평이 가장 유력했지만 한편에서는 프로이트주의, 마르크스주의, 원형·신화 비평도 활발히 전개되었다. 아카데믹한 신비평과는 별도로 문학의 현장에 밀착한 저널리즘의 영역에서도 활발한 활동이 있었다. 앨프레드 케이진, 어빙 하우가 대표적인데, 이들에게 공통된 특징은 현실에 대한 발랄한 관심이며 순수한 문학적 문제뿐만 아니라 정치나 역사에도 독자적인 발언을 계속하고 있다. 심미성과 사회성을 종합해 균형있는 감각의 비평의 모범을 보인 것은 에드먼드 윌슨과 라이오넬 트릴링이었다. 1970년대 이후의 중요한 비평운동은 구조주의·해체주의 비평과 페미니스트 비평이다. 구조주의·해체주의 비평은 프랑스의 자크 데리다와 롤랑 바르트의 영향하에 언어학과 철학의 혁신에 입각한 추상적 비평이 시도되었으며, 문학보다 비평에 관심의 초점이 맞추어졌다. 이에 반해 페미니스트 비평은 문학의 사회적, 심지어는 정치적 기능을 강조한다.(출처 : 브리태니커백과사전)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