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치소리 / 줄거리 / 김동리
by 송화은율까치소리 줄거리
1966년 발표된 <까치소리>는 김동리 문학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운, 탁월한 주제와 치밀한 구성을 지닌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순박하고 평화로운 마을에 전쟁이 가져온 혼란과 상처를 자연주의적인 문맥 속에서 극적으로 표현했으며, ‘까치 소리’가 지니고 있는 신화의 상징 체계 속에 무리 없이 투영시켜 예술성을 획득했기 때문이다.
줄거리를 살펴보면,
봉수는 전쟁터에서 죽음의 고비를 수차례 넘기는데, 그때마다 고향에 두고 온 애인 정순에 대한 사랑의 힘으로 이를 극복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전쟁터(마련된 죽음)으로부터 자해(自害) 끝에 제대해 보니, 정작 정순은 자기를 기다리지 않고, 죽마고우였던 상호의 꾀임에 넘어가 그의 아내가 되어 있었다. 그뿐 아니라 연로한 어머니는 심한 천식을 앓고 있었고, 마을에 있는 회나무에서 까치가 울 때마다 발작을 일으키며 죽여 달라고 외쳐댄다.
까치가 울 때마다 기침을 터뜨리는 어머니는 아주 흑흑 하며 몇 번이나 까무러치다시피 하 다 겨우 숨을 돌이키매 으레 봉수(奉守)야 하고, 나의 이름을 부르곤 했다. 그것도 그냥 이름 을 부르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죽여 다오’를 붙였다.
그 때마다 봉수는 살의(殺意)를 느낀다.
그러던 어느 날 봉수는 애인이었던 정순에게 상호를 버리고 자기와 다시 맺어줄 것을 하소연하지만, 정순은 거절의 뜻을 동생인 영순을 통해 전달한다. 봉수는 그 편지를 받아 읽는 순간 갑자기 야수의 심정이 된다. 영순은 오빠와 봉수의 관계를 평상시 안타깝게 여기고 있던 차에 여성 본능적 차원에서 봉수에게 연민의 정을 느끼고 그에게 몸을 맡긴다. 봉수는 천사와 같은 영숙을 능욕했지만 뒤에 오는 것은 더 큰 절망이었다. 왜냐하면 그것은 자신의 절망과 영숙의 절망이 합쳐진 것이기 때문이다. 그 결과로 발생된 분노는 저녁 까치의 울음소리처럼 살기어린 전율로 변해서, 그녀를 목졸라 죽이고 만다.
이 때 까치가 울었던 것이다. 까작 까작 까작 까작 하는, 어머니가 가장 모진 기침을 터뜨 리기 마련인 그 저녁 까치 소리였던 것이다. 그리고 이와 동시 나의 팔다리와 가슴속과 머리 끝까지 새로운 전류(電流) 같은 것이 흘러들기 시작했던 것이다.
까작 까작 까작 까작 그것은 그대로 나의 가슴속에서 울려오는 소리였다. 나는 실신한 것 같이 누워 있는 영숙이를 안아 일으키기라도 하려는 듯 천천히 그녀의 가슴 위에 손을 얹었 다. 그리하여 다음 순간 내 손은 그녀의 가느단 목을 누르고 있었다.
<까치소리>는 주인공인 ‘봉수’를 중심으로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전쟁터에서 가족과 애인을 찾아 돌아오는 부분과, 전쟁터에서 돌아와 여러 가지 절망적 상황과 마주치는 부분이다. 이 때 전사하지 않고 무사히 돌아온 것은 길조(吉兆)로서의 ‘까치소리’였고, 귀향하여 적응하지 못하고 살인을 저지르는 것은 흉조(凶兆)로서의 ‘까치소리’였다. 이처럼 까치 소리가 가지고 있는 속신(俗信), 즉 “아침 까치가 울면 손님이 오고, 저녁 까치가 울면 초상이 난다.”는 전래의 이야기가 작품의 구조와 일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까치소리>에선 전쟁과 같은 부조리한 상황이 희망에 찬 인간을 어떻게 절망적인 인간으로 만들고, 그 여파가 다른 사람들에겐 어떻게 미치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아들을 전쟁터로 보낸 어머니가 아들로부터 소식 오기를 처절히 기다리다 천식이 악화된다는 것과, 소식이 없던 아들이 전쟁터에서 돌아오지만 그의 애인은 이미 다른 사람의 아내가 되어 있는 것을 보고 살인을 저지른다는, 두 가닥의 이야기를 전개시켜 나가는 데에 <까치소리>에 숨어 있는 민간 신화의 의미를 탐색하여 불교적 연기관(緣起觀)에 나타난 상징 체계를 현대적인 상황 속에서 수용하고 있다. 비록 봉수의 연적인 상호는 벌받지 않지만, 그가 지은 죄로 인해 그의 여동생 영숙이 불행하게 죽는 것은 원죄(原罪)로 인해 인간이 역사 속에서 수난을 받는 것과 같은 이야기로 ‘까치 소리’에 숨은 상징 체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 작품의 요약과 확인 |
■ 핵심 정리
1. 갈래 : 단편 소설, 액자 소설
2. 시점 : 1인칭 주인공 시점(내부 이야기)
3. 배경 : 한국전쟁 중의 시골 마을
4. 주제 : 인간의 삶에 내재하는 운명의 힘과 그 파국의 결과
속신의 상징성과 주술적인 위력
5. 출전 : 《현대문학》(1966)
■ 확인 질문
1. 이 작품에서 까치 울음에 얽힌 속설은 주인공의 삶에 어떤 힘으로 작용을 할 것인지 소설의 결말을 예측하여 대답하시오.
☞ 까치 소리가 우는 저녁 무렵, 주인공(봉수)는 살인을 저지르게 될 것이 다.
☞ 주인공(봉수) 앞에 불행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2. 주인공이 영숙을 살해하게 된 중요 원인 두 가지를 밝혀 쓰시오.
☞ 정순의 배신으로 인한 좌절감(사랑의 실패), 까치 소리의 비극적 주술성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