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김인향전(金仁香傳)

by 송화은율
반응형

김인향전(金仁香傳)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한글필사본 · 활자본. ≪ 한글필사본고소설자료총서 ≫ 에는 ‘ 인향전 권지단 ’ 이란 표제를 가진 이본(異本) 3종이 있다. 활자본은 세창서관 ( 世昌書館 ) 발행으로 통용되는 박승엽저 ‘ 인향전 ’ 을 ‘ 김인향전 ’ 으로 고쳐 부르고 있다.

이 소설은 1915년 한성서관과 유일서관, 1923년과 1925년 판문서관, 그리고 1932년 신구서림에 의해서 광고된 바 있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태종 때 평안도 안주성에 살던 좌수 김석곡(金石谷)의 후처 정씨(鄭氏)는 전실소생의 아들 인형(仁亨)과 딸 인향(仁香) · 인함(仁咸)을 몹시 구박한다. 자신의 소생을 갖게 되어 인향남매를 아주 없애버릴 흉계를 품은 정씨는 간악한 노파의 꾀를 빌려 인향이 처녀의 몸으로 외간남자와 정을 통해 임신한 것으로 꾸민다.

이에 아버지는 분노하여 인형을 시켜 인향을 죽이게 한다. 인향은 못에 빠져 죽고 동생 인함도 뒤따라 목매어 죽는다. 두 딸을 잃은 아버지는 상심하여 죽고, 고아가 된 인형은 외가에 의탁한다.

 

한편 안주부사의 공청에 인향자매의 원혼이 나타나 억울함을 호소하나, 부사들은 계속 놀라 죽고, 마을에는 흉년이 들어 안주읍이 거의 폐읍이 될 지경이 된다. 이에 조정에서는 김두룡(金斗龍)을 부사로 보낸다.

그는 인향자매의 원귀를 만나서 사실을 알아내어 정씨와 노파를 처형한 다음, 인향형제의 위령제를 지내준다. 한편, 과거에 급제하여 한림학사가 된 인향의 약혼자 유성윤(柳成允)이 인향의 몽중암시로 그녀의 무덤을 파고, 아직 썩지 않은 인향자매의 시체에 영약을 뿌려 회생시킨다. 인형과 인향자매가 다시 상봉하고 인향은 드디어 유한림과 혼인한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해와 감상

〈 김인향전 〉 은 계모가 전처소생을 학대하는 계모형 가정소설로 〈 장화홍련전 〉 의 모방작으로 인정되고 있다. 흥미 위주의 무비판적 답습이라는 의미에서 통속적 계승작으로 보기도 한다. 이 작품은 〈 장화홍련전 〉 에 비해 봉건적 가치관이 크게 약화되어 있고 문체도 신소설에 상당히 근접해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후대의 저작으로 추정된다.

〈 장화홍련전 〉 의 경우 계모의 학대는 경제적 욕망과 남편과 전실 자식에 대한 소외감에서 비롯된다. 반면 〈 김인향전 〉 에서는 전적으로 계모의 성격적 결함에서 학대가 시작된다. 이런 면에서 〈 장화홍련전 〉 에서 보이던 문제의식과 현실감각이 둔화되고, 계모는 악하고 전실자식은 선하다는 통념에 지배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 김인향전 〉 은 계모의 학대로 죽은 주인공이 재생하는 전기소설적 구조를 지니고 있는 점이나, 인향의 죽음과 재생을 이끄는 결연 관계가 나타나는 점, 그리고 인향의 죽음이 누명을 벗기 위해 스스로 선택한 것이라는 점 등에서 〈 장화홍련전 〉 과 차별성을 가진다. 게다가, 다른 계모형 소설에서는 계모의 얼굴을 거의 박색으로 그리는 반면 여기서는 계모를 미인으로 표현한 점에서 현실성을 획득하고 있다.

또 〈 김인향전 〉 에서 비극성이 한층 고조된다는 주장도 있다. 인향의 아버지가 인향과 인함의 죽음을 보고 실성하여 통곡하다가 병들어 죽는 장면이나 인향이 친오라비 인형의 인도로 연못에 빠져 죽는 대목에서 감상적인 분위기가 한층 두드러진다는 견해이다. 1938년의 중흥서관본이 ≪ 활자본고전소설전집 ≫ 에 수록되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장서각도서에 있다. → 장화홍련전 ≪ 참고문헌 ≫ 李朝時代小說論(金起東, 二友出版社, 1980), 韓國古典小說硏究(金起東, 敎學社, 1983), 한국가정소설연구(우쾌제, 高麗大民族文化硏究所, 1988), 계모형 소설의 시학(김재용, 집문당, 1996), 가정소설 작품세계의 시대적 변모(이원수, 경북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91), 계모형 가정소설의 갈등양상과 의미(이승복, 冠嶽語文硏究 20집, 서울대학교국어국문학과, 1995).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