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정의 '따라지' 해설
by 송화은율김유정의 '따라지' 해설
작가 : 김유정(1908-1937), 서울(강원도 춘성?) 출생. 아명은 멱설이. 1916년부터 약 4년간 한문 수업. 휘문 고보를 거텨 1927년 연희 전문 문과 입학하였으나 다음 해 중퇴. 1931년 실레마을에 야학을 열었고 그후 얼마 동안 금광을 전전했으나 1932년부터 실레마을에 금병의숙을 설립하고 본격적인 계몽운동에 나섰다. 1935년부터 본격적인 작품 활동. 순문예 단체인 ‘9인회’ 회원. 1937년 지병인 결핵성 치질과 폐결핵으로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상산곡리에서 요절(夭折).
문단 생활은 2년여밖에 안 되지만 30여 편의 단편을 남겼다. 토착적 유머와 함께 농민의 생활 감정과 습속을 사실적으로, 해학(골계)적으로 그려 낸 작가로 평가된다. 대표작으로 <금 따는 콩밭>, <만무방>, <봄․봄>, <동백꽃>, <따라지>(1937) 등
<줄거리>
어느 화창한 봄날 사직동 꼭대기에 올라붙은 초가집, 방세를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는 주인 마누라의 푸념으로부터 이야기는 시작된다. 주인 마누라는 오늘은 반드시 받아내리라 결심하고, 얼굴이 뜬 ‘노랑퉁이’ 영감에게 집세를 재촉하지만, 앓는 소리와 호통만 듣고 물러나온 뒤에, 카페에 나가는 ‘아끼꼬’에게 화살을 돌리나 늘상 그렇듯이 역습당하기만 한다. 결국 가장 만만한 ‘톨스토이(별명)’에게 방세를 받아내려고 조타를 불러다 짐을 들어내게 한다. 그러나 신경질적인 누이에게 기식한다고 들볶임을 당하며 방구석에 앉아 늘 글만 쓰고 있는 톨스토이에게 연민의 정을 느껴왔던 아끼꼬가 사이에 끼어들어 그들을 몰아 세운다. 거기다가 노랑퉁이 영감까지 지팡이를 휘둘러 사태가 역전되고, 주인 마누라는 파출소 순경을 불러대지만, 이미 평상시로 되돌아가 있는 집안을 본 순경에게 도리어 애매한 비난만 듣고 만다. 또 다시 당한 것을 분해 하는 주인 마누라의 요청대로 아끼꼬는 순경에게 호출되지만, 항상 그랬듯이 그녀는 주인 마누라에게 보복할 생각을 하며 별일없이 돌아온다.
※ 김유정 문학의 특징인 골계와 해학이 잘 드러난 작품이다. 또한 사실주의 문학 정신에 입각한 개성 있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