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토설화(龜兎說話)
by 송화은율구토설화(龜兎說話)
옛날에 동해 용왕의 딸이 병이 들어 앓고 있었다. 의원의 말이 토끼의 간을 얻어서 약을 지어 먹으면 능히 나을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바다 속에는 토끼가 없으므로 어떻게 할 도리가 없었다.
이 때 한 거북이가 용왕에게 아뢰기를,
"내가 능히 토끼의 간을 얻어 올 것입니다."
하고, 드디어 육지로 올라가서 토끼를 만나 말하기를,
"바다 속에 한 섬이 있는데, 샘물이 맑아 돌도 깨끗하고, 숲이 우거져 좋은 과일도 많이 열리고, 춥지도 덥지도 않고, 매나 독수리와 같은 것들도 감히 침범할 수 없는 곳이다. 만약, 그 곳으로 갈 것 같으면 아무런 근심도 없을 것이다."
하고 꾀어서는, 드디어 토끼를 등 위에 업고 바다에 떠서 한 이삼 리쯤 가게 되었다.
이 때 거북은 토끼를 돌아보며 말하기를,
"지금 용왕의 따님이 병이 들어 앓고 있는데, 꼭 토끼의 간을 약으로 써야만 낫겠다고 하는 까닭으로 내가 수고스러움을 무릅쓰고 너를 업고 가는 것이다."
하니, 토끼는 이 말을 듣고 말하기를,
"아아 그런가, 나는 신명(神明)의 후예로서 능히 오장(五臟)을 꺼내어 깨끗이 씻어 가지고 이를 다시 넣을 수 있다. 그런데 요사이 마침 마음에 근심스러운 일이 생겨서 간을 꺼내어 깨끗하게 씻어서 잠시 동안 바윗돌 밑에 두었는데, 너의 좋다는 말만 듣고 오느라고 그만 간을 그대로 두고 왔다. 내 간은 아직 그 곳에 있는데, 다시 돌아가서 간을 가지고 돌아오지 않으면, 어찌 네가 구하려는 간을 가지고 갈 수 있겠는가. 나는 비록 간이 없어도 살 수가 있으니, 그러면 어찌 둘이 다 좋은 일이 아니겠는가."하니, 거북이는 이 말을 그대로 믿고 도로 육지로 올라왔다.
토끼는 풀숲으로 뛰어 들어가면서 거북에게 말하기를,
"거북아, 너는 참으로 어리석구나. 어찌 간이 없이 사는 놈이 있겠느냐?"
하니, 거북이는 멋쩍어서 아무 말도 못하고 돌아갔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요점 정리
갈래 : 설화(서사), 민담(民譚)
성격 : 우화, 본격 동물담
내용 : 우직하고 충성스러운 성격의 거북과 탐욕스럽고, 간교한 성격의 토끼와 지혜 경쟁
구성 :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의 5단 구성
문체 : 역어체, 설화체
표현 : 의인화
주제 : 분수에 넘치는 행위 경계와 위기 극복의 지혜,
출전 : <삼국사기> 권 41, <열전 김유신 상>
의의 : 풍자와 교훈성을 내포한 동물우화 설화로 인도의 용원 설화를'바탕으로 한 것이며, '수궁가', '별주부전' 등의 근원설화가 되며, 소설적 구성에 가까운 서사 구조를 지니고 있어 소설사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내용 연구
구토(龜兎) : 거북과 토끼
신명(神明) : 하늘과 땅의 신령, '천지신명(天地神明)의 준말로 초자연적 존재를 뜻함.
오장(五臟) : 간장, 심장, 비장, 폐장, 신장 등 다섯가지 내장.
매나 독수리와 ~ 없는 곳이다. : 매나 독수리는 토끼의 생명을 누리는 맹금인데, 이와 같은 것이 없는 살기 좋은 곳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는 구절이다.
나는 신명의 후예로서 : 오장을 꺼냈다. 넣었다. 할 수 있다는 터무니없는 거짓말을 나름대로 합리화하기 위해서 꾸며 낸 말이다. 급작스런 상황의 변화에도 전혀 동요하지 않는 토끼의 모습에 지혜스러움을 엿볼 수 있다.
"거북아, 너는 ~있겠느나?" : 거북의 잘난체 하는 허점을 찌르는 우화, 설화가 나타내고자 하는 교훈성이 드러난 부분이다. 이 구절이 결국 무엇을 암시하고 있는지를 선도해와 김춘추의 관계에서 유추해 볼 수 있다.
이해와 감상
고구려 때의 설화로 '삼국사기' '김유신전'에 수록되어 전한다. 신라 선덕 여왕 11년 김춘추의 딸의 사위 품석이 백제군에 죽임을 당하자 이를 보복하기 위해 고구려로 청병하러 떠난 김춘추가 엉뚱하게도 첩자로 오인되어 옥에 투옥되었을 때, 자신이 가지고온 청포, 삼백 보를 고구려 장수 선도해에게 뇌물로 주자. 그가 탈출의 암시로 들려 준 탈신지계의 설화이다.
이와 같은 이야기는 불경이나 외국 설화에도 있는 것으로 고구려 고유의 설화라 보기는 어렵고 상고시대의 여러 나라에 널리 전해진 원시 설화인 것으로 보인다. 이 설화가 국문학에 끼친 영향은 크다. 후에 '토끼전' '토의 간' 등으로 전해지는 귀토지설(龜兎之說)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옛날 동해용왕의 딸이 병에 들었는데, 의사가 이르기를 토끼의 간을 구해서 생약과 함께 써야 가히 나을 수 있다. 하였다. 이에 거북이가 이 사명을 띠고 육지로 올라왔다. 마침내 토끼를 교묘히 속여 등에 태워 바다로 향했다. 한 2, 3 리를 가다가 거북이 토끼에게 어려운 사정을 털어놓았다. 이 말을 들은 토끼 하는 말이, '나는 본시 신령의 후예인지라 간을 꺼내어 깨끗이 씻어서 바위 위에 널어두었다. 나는 간이 없어도 충분히 살아갈 수 있으니 기꺼이 그것을 줄 수 있다. 왜 출발하기 전에 그런 이야기를 하지 않았나? 내 가서 그것을 가져오리라.' 했다. 거북이 이 말을 참말로 듣고 토끼를 놓아주었더니 토끼는 거북의 어리석음을 욕하고 그만 달아나 버렸다. 조선시대에 '별주부전' 이라는 소설로 정착되었다. 이 설화의 핵심적인 모티프가 고전 소설과 판소리에 그대로 살아 남아 있다는 것은 설화에서 소설까지의 서사적 양식의 발전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단서가 된다.
심화 자료
우화 소설(寓話小說)
동물이나 무정물을 주인공으로 하여 인간의 단면을 보여 주는 이야기 형식의 소설, 대체로 풍자적인 것이 많으며, 격언이나 속담 같은 것이 많이 인용된다. 따라서, 도덕성을 강조하는 내용이 많다. 이 범주에 드는 소설로 ' 두껍전', '장끼전', '금송아지전', '소동지전' 등이 있다.
구토 설화의 전승
이 근원 설화에 여러 요서가 덧붙여지면서 구성이 다양해지고 내용이 복잡해지면서 판소리 수궁가가 형성되고, 그 사설이 문자화되어 소설 ' 토끼전'으로 발전하였다. 이후 개화기에는 이해조에 의해 '토의 간'이라는 신소설로 개작되었다. 다시 말해서 적층문학이 한 유형을 보여주고 있다.
구토 설화의 교훈성
난관에 빠져서도 당황하지 않고 슬기를 모아 어려움을 헤쳐 나오는 토끼에게서 삶을 지혜와 자세를 배울 수 있다 하겠다. 이것은 인도의 본생경의 불전 설화인 용원설화를 모태로 한 것이며, 후에 수궁가 ㅡ 별주부전 등의 근원 설화가 된다.
배경 설화에서 보듯이 이미 고구려에서는 널리 알려진 이야기로서 주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볼 수 있다.
1. 지혜의 경쟁을 주지로 한 우화,
2. 속고 속이는 인정 세태풍자
3. 위기 극복의 지혜
4. 분수에 넘치는 행위의 경계 등 다양하게 볼 수 있다.
용원 설화(龍猿 說話)
'구토 설화'는 인도의 '자타카 본생경'의 불전 설화인 용원 설화를 모태(母胎)로 하고 있으며,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바닷속에 용왕이 살았는데, 그의 왕비가 잉태하여 원숭이의 염통을 구하기 위하여 육지로나와 나무 위에서 열매를 따 먹고 있는 원숭이를 만났다. 용왕은 "그대가 사는 이곳은 좋지 못하니 아름다운 수목이 있고, 먹을 열매가 많은 바닷속으로 안내하겠다."고 제언하였다. 이에 솔깃한 원숭이는 기뻐하여 용왕의 등에 업혀 물 속으로 들어갔다. 도중에서 용왕은 그만 원숭이에게 사실을 고하였다. 그 말을 듣고 놀란 원숭이가 용왕을 보고 "염통을 나뭇가지에 걸어 두고 왔으니 얼른 다시 가지러 가자."고 하였다. 용왕은 원숭이의 말을 곧이 듣고 다시 육지로 업고 나왔다. 원숭이는 육지에 나오자마자 나무 위에 올라가서 내 오지 않고 용왕을 보고 조소(嘲笑)만 하였다.
今龍女被病 : 지금 용녀가 병들게 되다. `披`는 피동형.
聞爾甘言俓來 : 너의 달콤한 말을 듣고 곧바로 왔다.`俓`은 `곧바로`의 뜻으로 쓰임.
何不廻歸 : 어찌 돌아가지 않으리요. 반어형.
豈不兩相宜哉 : 어찌 둘에게 서로 마땅하지 않으리요? `豈~哉`는 방어형으로 `어찌~하겠는가?`의 뜻.
귀토지설
고구려 때의 설화로 '삼국사기' '김유신전'에 수록되어 전한다. 고구려 보장왕때 신라 김춘추가 고구려에 청군하러 갔다가 고구려에 땅을 돌려주지 않은 연고로 투옥되었을 당시 고구려의 총신 선도해에게 청포 300보를 주고 내통하여 도해로부터 얻어 들을 탈신지계의 이야기이다. 이와 같은 이야기는 불경이나 외국 설화에도 있는 것으로 고구려 고유의 설화라 보기는 어렵고 상고시대의 여러나라에 널리 전해진 원시 설화인 것으로 보인다. 이 설화가 국문학에 끼친 영향은 크다. 후에 '토끼전' '토의 간' 등으로 전해지는 귀토지설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옛날 동해용왕의 딸이 병에 들었는데, 의사가 이르기를 토끼의 간을 구해서 생약과 함께 써야 가히 나을 수 있다. 하였다. 이에 거북이가 이 사명을 띠고 육지로 올라왔다. 마침내 토끼를 교묘히 속여 등에 태워 바다로 향했다. 한 2,3 리를 가다가 거북이 토끼에게 오려운 사정을 털어놓았다. 이 말을 들은 토끼 하는 말이, '나는 본시 신령의 후예인지라 간을 꺼내어 깨끗이 씻어서 바위위에 널어두었다. 나는 간이 없어도 충분히 살아갈 수 있으니 기꺼이 그것을 줄 수 있다. 왜 출발하기 전에 그런 예길 하지 않았나? 내 가서 그것을 가져오리라.' 했다. 거북이 이 말을 참말로 듣고 토끼를 놓아 주었더니 토끼는 거북의 어리석음을 욕하고 그만 달아나 버렸다. 조선시대에 '별주부전' 이라는 소설로 정착되었다. (출처 : 한국사전연구사간.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