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구성동(九城洞)- 정지용

by 송화은율
반응형

(九城洞) - 정지용

 

 

골작*에는 흔히

유성(流星)이 묻힌다.

 

황혼(黃昏)

누뤼*가 소란히 쌓이기도 하고,

 

꽃도

귀양 사는 곳,

 

절터드랬는데

바람도 모이지 않고

 

산 그림자 설핏하면

사슴이 일어나 등을 넘어간다.

(󰡔청색지󰡕 2, 1938.8)

 

* 골작 : 골짜기

* 누뤼 : 우박. ‘누리가 본디말.


 

<핵심 정리>

 

감상의 초점

이 작품은 시인 자신이 밝힌 바에 의하면 어느 해 여름 금강산에 간 체험을 바탕으로 󰡔비로봉(毘盧峯)󰡕, 󰡔옥류동(玉流洞)󰡕과 함께 창작, <조선일보>(1937.6.9)에 소개된 이후 <청색지(靑色紙)> 2호에 재발표되었다.

고고하고 관조적인 정지용의 정신적 경지가 잘 드러난 작품이다. ()을 제재로 한 그의 시들은 대개 자연을 동양적, 고전적 정신에 담아내고 있는데, 이 시에도 그러한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성격 : 관조적, 회화적

심상 : 시각적 심상

운율 : 각운

특징 : 화자와 청자가 철저히 배제된 사물시(事物詩).감정의 표출 억제

3연을 중심으로 한 대립과 대칭의 구조

구성 : 유성이 떨어지는 골짜기(1)

우박이 떨어질 때의 소란함(2)

꽃이 호젓이 핀 모습(3)

바람도 불지 않는 고요함과 쓸쓸함(4)

산마루를 넘어가는 사슴(5)

제재 : 구성동(九城洞)

주제 : 고요하고 적막한 자연의 세계

 

 

<연구 문제>

1. 이 시는 어떤 감각적 심상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지 두 어절로 쓰라.

시각적 심상

 

2. (1)이 시가 지니는 구조상의 특징을 쓰고, (2)그 이유를 설명하라.

(1) 대립과 대칭의 융합 구조

(2) 이 시는 제3연을 중심으로 제1연과 제5, 2연과 제4연의 각운에 대한 형태적 대칭과 제1연과 제5연이 의미상 대칭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시 전체의 변화를 유도하는 제2연과 제4연의 모순적 대립으로 그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3. 이 형상화하는 이미지의 공통점을 쓰라.

유성사슴은 모두 소멸(소진)하는 이미지라는 공통점이 있다.

 

4. 이 시에 두드러지게 나타난 화자의 정서를 한 단어로 쓰라.

쓸쓸함.

 

 

<감상의 길잡이>(1)

이 시는 대립과 대칭의 전체적 구조 속에서 그 의미 체계를 파악할 수 있다.

대칭의 구조는 제1연과 제5, 2연과 제4연에서 나타나는 형태적 대칭(각운)과 제1연과 제5연의 등가적인 의미상 대칭을 뜻한다. 형태적 대칭은 각각 다른 각운에 의해 시 전체의 완결성과 통일성을 이루는 역할을 하고 제1연과 제5연에서 나타나는 의미상 대칭은 소진하는 유성과 가뭇없이 사라지는 사슴같은 물상(物象)을 통해 자연이 인간에게 텅 빈 소멸의 공간으로 보이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형태적인 면에서나 의미적인 면에서나 모두 등가성을 띠는 제1연과 제5연의 대칭 구조와는 달리 제2연과 제4연은 의미상의 대립을 이룬다. 2연의 소란함과 제4연의 쓸쓸함은 서로 상반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전체적인 면에서 볼 때, 소란함도 이내 쓸슬함으로 귀결되고 만다.

 

이러한 대립과 대칭의 중심에 귀양사는 의 모습이 그려진다. 꽃이 호젓이 핀 모습은 다른 것들로부터 소외된 채 귀향살이를 하는 것처럼 보여진다.

 

이 고적함이 바로 산골짜기 폐사지(廢寺址)에 서 있는 화자의 정서이다. 이는 자연이 그 객관적인 모습을 그대로 지니면서 화자의 정서에 의해 착색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감상의 길잡이>(2)

이 시는 시인의 금강산 기행 체험을 바탕으로 창작된 작품으로 감각적인 직관에서 신앙심의 발현으로 옮긴 지용의 시 세계가 마침내 고고하고 관조적인 정신 세계로 안착되었음을 잘 보여 주고 있다. 화자와 청자가 모두 배제된 사물시(事物詩)로 대립과 대칭으로 이루어진 전체 구조 속에서 작품의 의미 체계를 파악할 수 있다.

 

먼저 대칭의 구조는 1연과 5, 2연과 4연의 형태적 대칭과, 1연과 5연의 등가적(等價的) 의미의 대칭으로 나눌 수 있다. 15연은 묻힌다넘어간다의 평서형 종결어미로, 24연은 하고않고의 대등적 연결 어미로 형태상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15연의 의미의 대칭은 사라지는 유성넘어가는 사슴을 통해 텅 빈 자연의 적막감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대칭적 구조와는 달리 24연은 의미상 대립을 이루고 있다. 2연은 움직임과 소란함, 4연은 고요함과 쓸쓸함으로 서로 상반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2연의 움직임과 소란함은 그것을 보여 주기 위해서가 아니라, 고요함쓸쓸함과 대비시켜 강조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1연에서 유성이 떨어지는 골짜기의 모습을, 2연에서 우박이 떨어지는 움직임과 소란함을, 3연에서 호젓하게 피어 있는 꽃을, 4연에서 바람도 불지 않는 고요함과 쓸쓸함을, 5연에서 산마루를 넘어가는 사슴의 순서로 전개되는 대립과 대칭의 전체 구조 가운데에 귀양사는 모습으로 외롭게 피어난 꽃이 제시된다. 이렇게 제시된 3연의 꽃을 중심으로 24행에 우박과 바람이, 15행에 유성과 사슴이 놓임으로써 구성동의 고요하고 적막함이 더욱 강조되어 나타난다. 이 고적감이 바로 산골짜기 폐사지(廢寺址)에 서 있는 화자의 정서이다. 이것은 자연은 언제나 같은 모습이더라도, 그 자연을 완상하는 인간의 정서에 따라 자연의 모습이 변화될 수 있음을 알게 해 준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