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관동별곡(關東別曲) / 경기체가

by 송화은율
반응형

관동별곡(關東別曲)

요점 정리

형식 : 경기체가

주제 : 관동의 아름다움을 노래함

구성 : 전 8장

제1장

서사(序詞)로서 순찰경(巡察景)

제2장

학성(鶴城)

제3장

총석정(叢石亭)

제4장

삼일포(三日浦)

제5장

영랑호(永郞湖)

제6장

양양(襄陽)

제7장

임영(臨瀛)

제8장

죽서루

제9장

정선(旌善)의 절경

내용 연구

형식상 7장은 1구에서 4·4·4조로 3·3 ·4의 정격을 벗어나고, 1장은 4·4·3으로, 제 2~8장은 3·3 ·4로 각각 3구에서 4·4·4조의 정격을 벗어난다. 그리고 3~8장까지는 '경기하여' 가 한번 또는 두 번 다른 시어로 바뀌기도 한다.

제1장

海千重 山萬壘 關東別境 해천중 산만루 관동별경

碧油幢 紅蓮幕 兵馬營主 벽유당 홍연막 병마영주

玉帶傾盖 黑 紅旗 鳴沙路 옥대경개 흑삭홍기 명사로

爲 巡察景 幾何如 위 순찰경 기하여

朔方民物 慕義趨風 삭방민물 모의추풍

爲 王化中興 景幾何如 위 왕화중흥 경기하여

제2장

鶴城東 元帥臺 穿島國島 학성동 원수대 천도국도

轉三山 移十州 金鼇頂上 전삼산 이십주 금오정상

收紫霧卷紅嵐 風恬浪靜 수자무권홍람 풍염랑정

爲 登望滄溟景 幾何如 위 등망창명경 기하여

桂棹蘭舟 紅粉歌吹 계도란주 홍분가취

爲 歷訪 景幾何如 위 역방 경기하여

제3장

叢石亭 金 窟 奇岩怪石 총석정 금란굴 기암괴석

顚倒巖 四仙峯 蒼苔古碣 전도암 사선대 창태고갈

我也足 石巖回 殊形異狀 아야족 석암회 수형이상

爲 四海天下 無豆舍叱多 위 사해천하 무두사질다

玉簪珠履 三千徒客 옥잠주이 삼천도객

爲 又來悉 何奴日是古 위 우래실 하노일시고

제4장

三日浦 四仙亭 奇觀異迹 삼일포 사선정 기관이적

彌勒堂 安祥渚 三十六峯 미륵당 안상저 삼십육봉

夜深深 波   松梢片月 야심심 파렴렴 송초편월

爲 古溫貌 我隱伊西爲乎伊多 위 고온모 아은이서위호이다

述郞徒矣 六字丹書 술랑도의 육자난서

爲 萬古千秋 尙分明 위 만고천추 상분명

제5장

仙遊潭 永郞湖 神淸洞裏 선유대 영랑호 신청동리

綠荷洲 靑瑤  風烟十里 녹하주 청요잠 풍연십리

香   翠森森 琉璃水面 향염염 취삼삼 유리수면

爲 泛舟景 幾何如 위 범주경 기하여

蓴羹로膾 銀絲雪縷 순갱로회 은사설루

爲 羊酪 豈勿參爲里古 위 양락 기물참위리고

제6장

雪嶽東 洛山西 襄陽風景 설악동 낙산서 양양풍경

降仙亭 祥雲亭 南北相望 강선정 상운정 남북상망

騎紫鳳 駕紅鸞 佳麗神仙 기자봉 가홍란 가려신산

爲 爭弄朱絃景 幾何如 위 쟁롱주현경 기하여

高陽酒徒 習家池館 고양주도 습가지관

爲 四節 遊伊沙伊多 위 사절 유이사이다

제7장

三韓禮義 千古風流 臨瀛古邑 삼한예의 천고풍류 임영고읍

鏡浦臺 寒松亭 明月淸風 경포대 한송정 명월청풍

海棠路   池春秋佳節 해당로 함담지춘추가절

爲 遊賞景 何如爲尼伊古 위 유상경 하여위니이고

燈明樓上 五更鍾後 등명루상 오경종후

爲 日出 景幾何如 위 일출 경기하여

제8장

五十川 竹西樓 西村八景 오십천 죽서루 서촌팔경

翠雲樓 越松亭 十里靑松 취운루 월송정 십리청송

吹玉  弄瑤琴 淸歌緩舞 취옥저 농여금 청가완무

爲 迎送佳賓景 何如 위 영송가빈경 하여

望 亭上 滄波萬里 망사정상 창파만리

爲 鷗伊鳥 藩甲豆斜羅 위 구이조 번갑두사라

제9장

江十里 壁千層 屛圍鏡澈 강십리 벽천층 병위경철

倚風巖 臨水穴 飛龍頂上 의풍암 임수혈 비룡정상

傾綠蟻 聳氷峯 六月淸風 경록의 용빙봉 육월청풍

爲 避署景 幾何如 위 피서경 기하여

朱陳家世 武陵風物 주진가세 무릉풍물

爲 傳子傳孫景 幾何如 위 전자전손경 기하여

이해와 감상

 

고려 말엽의 문인 근재(謹齋) 안축(安軸)의 경기체가(景幾體歌)로 1330년(충숙왕 17) 작자가 강릉도(江陵道)를 존무(存撫)하고 돌아오는 길에 관동의 아름다운 경치를 보고 읊은 노래이다. 작자의 유저인 《근재집(謹齋集)》에 실려 전하며,

첫 장은 다음과 같다. “해천중(海千重) 산만첩(山萬疊) 관동별경(關東別境)

벽유당(碧油幢) 홍련막(紅蓮幕) 병마영주(兵馬營主)

옥대경개(玉帶傾盖) 흑삭홍기(黑紅旗) 명사로(鳴沙路)

위 순찰ㅅ경(巡察ㅅ景) 긔 엇더니잇고.

삭방민물(朔方民物) 모의기풍(慕義起風)

위 왕화중흥ㅅ경(王化中興ㅅ景) 긔 엇더니잇고.”

이 작품은 실재하는 자연을 주관적 흥취로 여과하고 관념화하여 나열하여,

그 미감을 절도있게 표출함으로써 사대부 특유의 세계관을 작품으로 승화하였다.

작품의 정제되지 않은 형식은 경기체가 장르의 형성 과정을 보여준다.

이해와 감상1

 

1330년(충숙왕 17) 안축(安軸)이 지은 경기체가. 작자의 문집인 ≪근재집 謹齋集≫ 권2에 전한다. 작자가 44세 때 강원도존무사(江原道存撫使)로 있다가 돌아오는 길에 관동지방의 뛰어난 경치와 유적 및 명산물에 감흥하여 짓게 되었다.

전체 9장으로, 1장은 작품의 서사(序詞)로서 위풍당당한 순찰(巡察)의 정경을, 2장은 학성(鶴城)을, 3장은 총석정(叢石亭)을, 4장은 삼일포(三日浦)를, 5장은 영랑호(永郎湖)를, 6장은 양양(襄陽)의 풍경을, 7장은 임영(臨瀛)을, 8장은 죽서루(竹西樓)를, 9장은 정선(旌善)을 노래했다.

형식상 7장은 1구에서 4·4·4로 3·3·4의 정격을 벗어나고, 1장은 4·4·3으로, 2∼8장은 3·3·4로 각각 3구에서 4·4·4의 정격을 벗어난다. 그리고 3∼8장까지는 ‘경기하여(景幾何如)’가 한 번 또는 두 번 다른 시어로 바뀌기도 한다.

실재하는 자연을 주관적 흥취로 여과하고 관념화하여 나열하여, 그 미감을 절도 있게 표출함으로써 사대부 특유의 세계관을 작품으로 승화하였다. 작품의 정제되지 않은 형식은 경기체가 장르의 형성과정을 보여준다.

≪참고문헌≫ 謹齋集, 高麗歌謠의 硏究(李明九, 新雅社, 1974), 別曲의 歷史的形態考(鄭炳昱, 思想界 3권 1호, 1955).(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심화 자료

안축 (安軸 1287~1348)

고려 말기의 문신으로 본관 순흥(順興). 자 당지(當之). 호 근재(謹齋). 시호 문정(文貞).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금주사록(金州司錄)·사헌규정(司憲糾正)·단양부주부(丹陽府注簿)를 거쳐, 1324년(충숙왕 11) 원나라 제과(制科)에 급제하여 요양로개주판관(遼陽路蓋州判官)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고려에 돌아와서 성균학정(成均學正)·우사의대부(右司議大夫)를 거쳐, 충혜왕 때 강릉도안렴사(江陵道按廉使)가 되어 이때 문집 《관동와주(關東瓦注)》를 지었다. 1332년(충숙왕 복위 1) 판전교지전법사(判典校知典法事)에서 파면되었다가 전법판서(典法判書)로 복직되고, 그뒤 내시(內侍)와의 불화로 파직되었다. 1344년(충혜왕 5) 밀직사지사에 이어 첨의찬성사, 1347년 정치도감판사(整治都監判事)로 양전(量田)에 관여하였다. 뒤에 민지(閔漬)가 만든 《편년강목(編年綱目)》을 개찬(改撰), 충렬 ·충선 ·충숙 3조(朝)의 실록(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경기체가인 《관동별곡(關東別曲)》 《죽계별곡(竹溪別曲)》을 남겨 문명(文名)을 날렸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