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목설(曲木說)
by 송화은율곡목설(曲木說)
이웃에 장씨 성을 가진 자가 살았다. 그가 집을 짓기 위하여 나무를 베려고 산에 갔는데, 우거진 숲 속의 나무들을 모두 둘러보았지만 꼬부라지고 뒤틀린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다 산꼭대기에서 한 그루의 나무를 발견하였는데, 정면에서 바라보나 좌우어세 바라보나 곧았다. 장씨가 쓸 만한 재목이다 싶어 도끼를 들고 다가가 뒤쪽에서 바라보니, 형편없이 굽은 나무였다. 이에 도끼를 버리고 탄식하였다.
'아, 재목으로 쓸 나무는 보면 쉽게 드러나고, 판단하기도 쉬운 법이다. 그런데 이 나무를 내가 세 번이나 바라보고서도 재목감이 아니었다는 사실을 몰랐다. 그러니 겉으로 후덕해 보이고 인정 깊은 사람일지라도 어떻게 그 본심을 알 수 있겠는가? 말을 들어보면 그럴 듯 하고 얼굴을 보면 선량해 보이고 세세한 행동까지도 신중히 하므로 우선은 군자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막상 큰일이나 중대한 일에 당하여서는 그의 본색이 드러나고 만다. 국가가 망하는 원인도 따지고 보면 이러한 사람으로부터 비롯되는 것이다.
그런데 나무가 자랄 때는 짐승들에게 짓밟히거나 도끼 따위로 해를 받은 일이 없이 오직 이슬의 덕택에 날로 무성하게 자란다. 따라서 마땅히 굽은 데 없이 곧아야 할 텐데 꼬부라지고 뒤틀려서 이처럼 쓸모 없는 재목이 되고 말았다. 하물며 요즘 같은 세상살이에 있어서이겠는가? 물욕이 진실을 어지럽히고 이해가 판단력을 흐리게 하기 때문에 천성을 굽히고 당초에 먹은 마음에서 떠나고 마는 자가 많다. 때문에 속이는 자가 많고 정직한 자가 적은 것을 이상하게 여길 일은 아니다.'
장씨가 이러한 생각을 내게 전하기에, 나는 이렇게 말해 주었다.
"그대는 정말 잘 보았습니다. 그러나 나에게도 할 말이 있습니다. 서경 홍범편에 오행(五行)을 논하면서, 나무를 곡(曲)과 직(直)으로 설명하였습니다. 그렇다면 나무가 굽은 것은 재목감은 안 될는지 몰라도 나무의 천성으로 보면 당연한 것입니다. 공자(孔子)는 '사람은 정직하게 살아야 하는데 그렇지 않게 살아가는 자는 요행히 죽음만 모면해 가는 것이다.'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정직하지 못한 자가 죽음을 모면하고 살아가는 것 또한 요행일 것입니다.
그러나 내가 보건대, 이 세상에서 굽은 나무는 아무리 서투른 목수일지라도 가져다 쓰지 않는데, 정직하지 못한 사람은 잘 다스려지는 세상에서도 버림받지 않고 쓰여지고 있습니다. 큰 집의 구조를 살펴 보십시오. 공과 경과 대부 그리고 사가 예복을 갖추어 입고 궁전에 드나드는데, 그 중 정직한 도리를 간직하고 있는 자는 보지 못했을 것입니다. 이런 것들을 보면 굽은 나무는 항상 불행을 겪고 사람은 정직하지 않은 자가 항상 행운을 잡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옛말에 '곧기가 현(絃 : 악기 줄)과 같은 자는 길거리에서 죽어 가고 굽기가 구(鉤 : 갈고리)와 같은 자는 공후(公侯)에 봉해진다.'고 하였습니다. 이 말은 정직하지 못한 사람이 굽은 나무보다 많다는 사실을 입증해 주는 것입니다."
요점 정리
작자 : 장 유
갈래 : 설, 한문 수필
성격 : 비유적, 비판적, 예시적, 유추적, 풍자적
제재 : 굽은 나무
구성 :
기 : 좋은 재목을 구하는 어려움
승 : 재목 고르기와 인재 구하기의 어려움
전 : 그릇된 인재 등용에 대한 장자의 지적
결 : 잘못된 인재 등용에 대한 비판
주제 : 정직하지 못한 자가 중용되는 현실, 나무를 통한 인간 세태 비판
장씨 성을 가진 사람이 집을 짓기 위해 나무를 베려고 산에 갔는데, 우거진 숲속의 나무들을 다 둘러 보아도 대부분 쓸모 없는 것들이었다. 그러다가 산꼭대기에서 한 그루의 나무를 발견하였는데 쓸모가 있을 성 싶어 베려고 하는데 뒤에는 굽은 나무 즉 곡목이었다. 이에 도끼를 버리고 탄식을 했다. 이 탄식 속에서 '장씨'는 굽은 나무를 재목감으로 잘못 인식했던 체험을 통해서 사람을 외모로 판단하는 어리석음을 경계하는 한편, 물욕이 사람의 마음을 어지럽혀서 천성이 굽었다고 보고 있다. 이에 대해 '나'는 나무는 굽음과 반 듯함이 쉽게 드러나지만, 사람은 그것이 쉽게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굽은 나무는 목수에게 버려지는데, 정직하지 못한 사람은 세상에서 버림받지 않음을 개탄하고 있다.
내용 연구
이웃에 장씨 성을 가진 자가 살았다. 그가 집을 짓기 위하여 나무를 베려고 산에 갔는데, 우거진 숲 속의 나무들을 모두 둘러보았지만 꼬부라지고 뒤틀린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다 산꼭대기에서 한 그루의 나무를 발견하였는데, 정면에서 바라보나 좌우어세 바라보나 곧았다. 장씨가 쓸 만한 재목이다 싶어 도끼를 들고 다가가 뒤쪽에서 바라보니, 형편없이 굽은 나무였다. 이에 도끼를 버리고 탄식하였다.
'아, 재목으로 쓸 나무는 보면 쉽게 드러나고, 판단하기도 쉬운 법이다. 그런데 이 나무를 내가 세 번이나 바라보고서도 재목감이 아니었다는 사실을 몰랐다. 그러니 겉으로 후덕해 보이고 인정 깊은 사람일지라도 어떻게 그 본심을 알 수 있겠는가? 말을 들어보면 그럴 듯 하고 얼굴을 보면 선량해 보이고 세세한 행동까지도 신중히 하므로 우선은 군자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막상 큰일이나 중대한 일에 당하여서는 그의 본색이 드러나고 만다. 국가가 망하는 원인[국가가 결딴나는 원인]도 따지고 보면 이러한 사람으로부터 비롯되는 것이다.
그런데 나무가 자랄 때는 짐승들에게 짓밟히거나 도끼 따위로 해를 받은 일이 없이 오직 이슬의 덕택에 날로 무성하게 자란다. 따라서 마땅히 굽은 데 없이 곧아야 할 텐데 꼬부라지고 뒤틀려서 이처럼 쓸모 없는 재목이 되고 말았다. 하물며 요즘 같은 세상살이에 있어서이겠는가? 물욕이 진실을 어지럽히고 이해가 판단력을 흐리게 하기 때문에 천성을 굽히고 당초에 먹은 마음에서 떠나고 마는 자가 많다. 때문에 속이는 자가 많고 정직한 자가 적은 것을 이상하게 여길 일은 아니다.'
장씨가 이러한 생각을 내게 전하기에, 나는 이렇게 말해 주었다.
"그대는 정말 잘 보았습니다. 그러나 나에게도 할 말이 있습니다. 서경 홍범편에 오행[(五行 :우주 만물을 이루는 다섯 가지 원소. 금(金), 수(水), 목(木), 화(火), 토(土)를 이른다.)]을 논하면서, 나무를 곡(曲)과 직(直)으로 설명하였습니다. 그렇다면 나무가 굽은 것은 재목감은 안 될는지 몰라도 나무의 천성으로 보면 당연한 것입니다. 공자(孔子)는 '사람은 정직하게 살아야 하는데 그렇지 않게 살아가는 자는 요행히 죽음만 모면해 가는 것이다.'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정직하지 못한 자가 죽음을 모면하고 살아가는 것 또한 요행일 것입니다.
그러나 내가 보건대, 이 세상에서 굽은 나무는 아무리 서투른 목수일지라도 가져다 쓰지 않는데, 정직하지 못한 사람은 잘 다스려지는 세상에서도 버림받지 않고 쓰여지고 있습니다[잘못된 인재 등용 정책을 지적]. 큰 집의 구조를 살펴 보십시오. 공과 경과 대부 그리고 사가 예복을 갖추어 입고 궁전에 드나드는데, 그 중 정직한 도리를 간직하고 있는 자는 보지 못했을 것입니다. 이런 것들을 보면 굽은 나무는 항상 불행을 겪고 사람은 정직하지 않은 자가 항상 행운을 잡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옛말에 '곧기가 현(絃 : 악기 줄)과 같은 자는 길거리에서 죽어 가고 굽기가 구(鉤 : 갈고리 : 원관념은 곡사)와 같은 자는 공후(公侯)에 봉해진다.'고 하였습니다. 이 말은 정직하지 못한 사람이 굽은 나무보다 많다는 사실을 입증해 주는 것입니다."
이해와 감상
이 글은 '곡목'에 대한 '설'이다. '곡목'은 '굽은 나무'라는 뜻이므로, 이 글은 '굽은 나무에 관한 이야기'이다. 그냥 지나칠 수도 있는 사소한 경험을 가지고 두 사람이 자기 생각을 말하였는데, 두 사람의 생각이 자기 생각을 말하였는데, 두 사람의 생각이 어떻게 같고 다른지 판단하면서 읽어야 글 전체의 의도를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유추의 방식을 이용하여 인간 세태를 비판한 글로 성정이 비뚤어진 사람을 '곡목'에 비유하여 인재 등용의 신중함을 기하지 않은 당시의 세태를 비판하고 있지만 아직도 이 글은 현대에 들어와서도 유효하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지도자들을 뽑을 때 그리고 그들이 임명하는 고위직들을 볼 때 이 글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