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고풍의상(古風衣裳) - 조지훈

by 송화은율
반응형

고풍의상(古風衣裳) - 조지훈


부연(附椽) : 들연 끝에 덧얹는 짧고 네모진 서까래. 며느리서까래.

cf) 들연 : 오량(五樑)에서 도리로 걸친 서까래. 야연, 장연, 평연, 하연

오량 : 우리 나라의 전통 가옥 건축에서, 보를 다섯 줄로 얹어 넓이가 두 칸 넓이가 되게 집을 짓는 방식

도리 : 목조 건물의 골격이 되는 부재(部材)의 한 가지. 들보와 직각으로 기둥과 기둥을 건너서 위에 얹는 나무.(서까래를 받치는 구실을 함.)

들보, : 건물의, 칸과 칸 사이의 두 기둥 위를 건너지른 나무.

호장 저고리 : 회장 저고리

운혜(雲鞋) : 지난 날, 여자가 신던 마른 신의 한 가지. 신발 앞코에 구름 무뉘를 수 놓았음.

당혜(唐鞋) : 우리 깊고 코가 작은 가죽신의 한가지. 앞뒤에 당초문(唐草紋-덩굴무뉘) 따위를 새김.

호접(胡蝶) : 나비 胡蝶之夢, 壯周之夢

아미(蛾眉) : (누에나방의 눈썹처럼) ‘미인의 아름다운 눈썹을 이르는 말.

 

 

<핵심 정리>

감상의 초점

이 시는 옛 여인의 옷과 춤사위의 아름다움을 예스런 말투와 가락으로 조화 있게 보여 준다. 그러나 단순히 고전적인 미()만을 묘사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사라져 가는 우리 것에 대한 시인 자신의 그리움, 서글픔 등을 작품의 내면에 담고 있다.

성격 : 고전적, 전통적, 감각적

심상 : 시각적, 정적 심상

운율 : 4음보의 산문율

특징 : 의고적(擬古的) 어투, 현재형 진술

시상 전개 : 시선의 이동.(수직적 순서)

구성 : 배경(1-3)

저고리의 우아한 아름다움(4-7)

치마의 선의 미(8-10)

옷맵시와 춤사위의 은은한 아름다움(11-14)

화자의 도취감(감흥)(15-18)

제재 : 고풍 의상

주제 : 우아한 고전적 아름다움의 추구.(전통 의상의 예스러운 아름다움)

 

<연구 문제>

1. 이 시를 전개상 세 단락으로 나눌 때, 둘째 단락의 처음과 끝 어절을 쓰라.

곱아라 숙이고

<해설> 1-3행은 시의 배경이고, 4-14행까지는 고풍 의상의 멋과 춤사위의 아름다움이 묘사된 부분이며, 15-19행은 아름다움에 도취한 화자의 모습이다.

 

2. (1)이 시에 드러나 있는 미()를 한 단어로 쓰고, (2)그러한 미를 형상화하는 시어들을 모두 찾아 쓰라.

(1) 곡선미(曲線美)

(2) 부연, 저고리, 치마, 운혜, 당혜

 

3. 화자가 시적 대상의 아름다움을 무엇에 비유하여 극찬하고 있는가?

호접(胡蹀)

 

4. 나는 이 밤에 옛날에 살아 가 뜻하는 바를 25자 내외로 쓰라.


시간의 흐름을 초월한 화자가 고전미에 도취하여.가 뜻하는 바를 25자 내외로 쓰라.

 

<감상의 길잡이>(1)

우리의 전통적 아름다움은 여러 면에서 찾아볼 수 있겠으나, 이 작품의 작가는 선(), 특히 곡선의 아름다움이 한국적 미()의 본체라고 말한 바 있다. 이 시는 이러한 우리의 전통적 고전미를 옛 여인의 옷맵시와 춤사위에서 포착하고 있다. 조지훈의 대표작처럼 되어 있는승무(僧舞)가 종교적 경지에까지 승화된 춤의 아름다움을 그렸다면, 이 시는 우아한 고풍 의상에서 우리의 고전적 멋을 찾고 있다.

 

이 시의 구조는 단련(單聯)의 산문적 형태를 띠고 있는데, 1-3행은 고요한 분위기를 보이는 시간적, 공간적 배경이고, 4-7행은 저고리의 아름다운 인상이, 8-10행은 치마의 고운 선의 아름다움이 섬세하게 그려져 있다. 11-14행은 옷맵시와 춤사위의 은은한 아름다움이 극치를 이루고, 15-18행에서는 고풍 의상의 아름다움에 대한 화자의 도취감이 눈 감고 거문고 줄 골라 보리니로 표현되고 있다.

 

고풍 의상에 대한 시인의 정서는 단지 아름다움의 예찬에 그치지 않고 이 밤에 옛날에 살아에서 보듯이 시공(時空)을 초월하여 과거로 돌아가 잃어가는 고전미에 대한 강렬한 그리움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마지막 행인 흰 손을 흔들어지이다는 작품의 배경을 이루는 풍경이 운다’, ‘두견이 소리등의 애잔한 분위기와 어울려 옛 것의 아름다움이 상실돼 가는 현실을 슬픔의 멋으로 마무리하고 있다.

 

<감상의 길잡이>(2)

조지훈은 시인을 일러 미의 사제(司祭), 미의 건축사이다.”라고 정의함으로써 그 자신을 전통적 시관(詩觀)을 지킨 시인임을 밝힌 바 있다. 이 시는 그러한 그의 시 세계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옛 여인의 옷과 춤사위의 아름다움을 예스런 어투와 가락으로 조화 있게 표현하고 있다. <승무>와 함께 이 시는 고전적 소재와 전통 무용에 대한 시적 탐구의 대표작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승무>가 춤을 소재로 하면서도 번뇌의 종교적 승화를 표현하고 있다면, <고풍 의상>은 한복의 우아함과 이를 통해 표현되는 춤사위의 그윽함을 보여 줌으로써 한 폭의 미인도(美人圖) 같은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고풍스런 의상과 춤의 아름다움을 시적으로 살리기 위해 시인은 부드럽고 우아한 가락과 호장저고리치마운혜당혜호접아미와 같은 옛 정취가 넘치는 시어들을 사용하는 한편, ‘밝도소이다보리니흔들어지이다와 같은 의고적(擬古的) 종결 어미를 구사하여 한층 더 옛스런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다.

 

연 구분이 없는 18행의 단연시이지만 의미상 다섯 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13행의 첫째 단락은 작품의 배경을 어느 깊어가는 봄밤, ‘하늘로 날을 듯한 날렵한 처마의 기와집으로 설정함으로써 고적한 분위기를 느끼게 해 준다. ‘부연 끝이나 반월등은 모두 한국적인 선()의 미를 제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47행의 둘째 단락은 저고리의 아름다움을 제시하는 부분이다. 화려한 빛깔의 무늬가 돋보이는 호장저고리를 노래하면서도, 그 화려함보다는 곱다는 측면을 곱아라 고아라로 반복, 변주하며 강조하고 있음이 특징이다. 한편, 그 고운 것을 은은한 달빛에 비유하여 호장저고리 하얀 동정이 환하니 밝도소이다와 같이 표현함으로써 화려하지 않으면서도 아름다운 우리 고유의 미적 세계를 드러내고 있다. 810행의 셋째 단락은 치마의 아름다움을 묘사하는 부분이다. 89행은 치마 선을 섬세하게 묘사하고 있으며, 10행은 치마 선의 미를 사르르 물결을 친다라는 역동적 이미지로 제시하고 있다. 1114행의 넷째 단락은 한복을 입은 여인의 맵시와 춤사위의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앞서 제시한 한복의 이미지에 어울리게 사뿐히 춤을 여인의 모습이 한 마리 나비에 비유되어 있다. 1518행의 다섯째 단락은 고풍 의상의 아름다움에 대한 화자의 도취감을 보여 주는 부분으로 이 밤에 옛날에 사는 고전적 일체감을 느낀 화자는 눈 감고 거문고 줄 골라 보겠다고 한다.

 

이처럼 이 시는 고전 시대의 풍물에서 민족 고유의 우아하고 섬세한 미를 찾아내 세련된 서정으로 형상화시킴으로써 전통을 중시하는 시 세계의 새로운 지평을 연 작품이다. 특히, 창작 시기가 일제 치하인 점을 생각하면, 우리 것을 점차 상실해 가던 당시에 우리 것에 대한 그리움과 안타까움을 작품 내면에 투영시킴으로써 민족 정서를 환기시켰다는 긍정적 평가에도 불구하고, 좀더 심오한 전통 문화의 정신 세계로 나아가지 못하고 단지 외적 묘사에만 머물고 만 것이라는 비판이 뒤따르기도 한다.

 

<맥락 읽기>

1. 시를 읽은 느낌은?

고요하고 한국적인 분위기인데요.

 

2. 화자는 누구지?

(M.나는 이 밤에 옛날에 살아 눈 감고 거문고를 골라 보리니)

 

3. 나는 어디에 있는가?

한옥집 (부연, 풍경, 처마, 주렴)

3-1. 무엇을 보고 있는가?

춤추는 여인

3-2. 언제요?

밤에(두견이 소리처럼 깊어 가는 밤, 반월)

3-3. 무엇을 하지?

거문고를 골라 보고 있는데요.

 

4. D,E,F는 무슨 이야기지요?

호장 저고리의 아름다운 모습입니다.

 

5. G,H,는 무슨 이야기지요?

치마의 아름다운 모습요

 

6. I.J,K,L에서는 무엇을 보여주지요?

나비처럼 춤추는 여인의 모습.

 

7. M,N에서는?

춤추는 여인의 모습을 바라보는 화자의 감회가 어려있네요.

 

8. 이 시에서 하는 이야기는?

전통적인 소재인 한옥, 한복(을 입은 여인의 모습)에서 우리의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말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